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Writing lesson plans based on fusion research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7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discussion on whether the painting art appreciation text and links on writing education by utilizing this lead to the writing of a learner-led and actively promote creativity. I will have more to offer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discussion on whether the painting art appreciation text and links on writing education by utilizing this lead to the writing of a learner-led and actively promote creativity. I will have more to offer as follows.
      First, art is a painting scheme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and confidence of learners through writing using text. Can build a detailed plan for how to deploy with the development needs of the teaching plan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through this step.
      Second, professor of art using a text model painting through the study and application examples can complement the shortcomings that may come when the creative writing. In this course students are learning what is truly good writing and develop the insights and skills of writing something that will impress others.
      Third, many learners have demonstrated superior writing skills than writing lesson plan facing the back before the start based on the fusion of thinking. In addition to the significance placed party to reveal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viewing art painting text on writing education to promote creativity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for having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introduction of new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based on the fusion of thinking through which this will be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회화예술 텍스트를 감상하고 이를 활용하여 글쓰기 교육에 연계함으로서 학습자 주도의 능동적인 글쓰기를 유도하고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회화예술 텍스트를 감상하고 이를 활용하여 글쓰기 교육에 연계함으로서 학습자 주도의 능동적인 글쓰기를 유도하고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과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의 개발 필요성과 함께 전개 방법에 대한 상세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둘째,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 모형 연구 및 적용사례를 통해 창의적 글쓰기를 할 때 나올 수 있는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진정 좋은 글쓰기가 무엇인지를 학습하고 다른 이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글쓰기의 안목과 능력을 기르게 된다. 셋째, 많은 학습자들이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을 접한 뒤로 시작 전 보다 월등한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미적 체험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창의력을 증진하는 글쓰기 교육에 대한 회화예술 텍스트의 감상이 어떤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수업 방안의 도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연주, "창의력 개발을 위한 글쓰기 교수 모형 연구 -콘텐츠를 활용한 내용생성하기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0 (10): 189-217, 2011

      2 김춘규, "자기 성찰적 글쓰기 방안 모색 연구-자기 소개서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5) : 49-69, 2014

      3 박일우, "인문학·예술 융복합 신규 교과목 <그림읽기로 세상보기>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41, 2013

      4 손동현, "융복합시대 의사소통교육의 외연" 한국작문학회 (21) : 9-27, 2014

      5 황영미, "영화를 활용한 이과생 대학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09-135, 2013

      6 김지영, "비판적 사고 함양을 위한 시각문화 학습" 한국교양교육학회 5 (5): 39-57, 2011

      7 이원숙, "미술작품 감상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69-195, 2013

      8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9 최상민,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 문제" 한국작문학회 (13) : 223-250, 2011

      10 정희모, "대학글쓰기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 향상을 위한 한 방안" 한국작문학회 9 (9): 277-305, 2009

      1 서연주, "창의력 개발을 위한 글쓰기 교수 모형 연구 -콘텐츠를 활용한 내용생성하기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0 (10): 189-217, 2011

      2 김춘규, "자기 성찰적 글쓰기 방안 모색 연구-자기 소개서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5) : 49-69, 2014

      3 박일우, "인문학·예술 융복합 신규 교과목 <그림읽기로 세상보기>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41, 2013

      4 손동현, "융복합시대 의사소통교육의 외연" 한국작문학회 (21) : 9-27, 2014

      5 황영미, "영화를 활용한 이과생 대학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09-135, 2013

      6 김지영, "비판적 사고 함양을 위한 시각문화 학습" 한국교양교육학회 5 (5): 39-57, 2011

      7 이원숙, "미술작품 감상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69-195, 2013

      8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9 최상민,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 문제" 한국작문학회 (13) : 223-250, 2011

      10 정희모, "대학글쓰기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 향상을 위한 한 방안" 한국작문학회 9 (9): 277-305, 2009

      11 원만희, "대학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과 방법에 관한 시론"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105-118, 2009

      12 이수정, "기초교육으로서의 예술교육의 방향-음악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51-171, 2012

      13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과정중심접근" 교육과학사 226-, 2002

      14 안호영, "글쓰기 2"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5 안호영, "교양 교육과 융합하는 글쓰기-수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75-102, 2013

      16 홍병선, "‌회화예술에서의 상상력과 그 교육적 적용을 위한 대안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565-58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