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희 이전 도통론(道統論)에 관한 연구 - 孟子, 韓愈, 二程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aotong Theory before Zhu Xi: Focusing on Mencius, Han Yu, and the Cheng Brot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6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교의 창시자라 불리는 공자라는 인물은 동아시아 역사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송대의 도학자들은 이러한 공자의 달라진 위상에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 즉 도통론을 제시하면서 공자와 그의 제자들을 정치적 지위나 권위(즉, 君臣 등의 정치적 지배권력)와는 별개의 새로운 학적 전통의 창시자, 후계자로 설정하고, 이들의 사상을 도학이라는 송대 유학자들의 독특한 학문 체계로 재탄생시켰다. 유교의 도통론은 단순한 유교적 이론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유교적 교리의 담지자층인 유학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생활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이념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교적 도통론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교가 단순히 혈연적 유대나 정치적 권력 획득을 맹종하는 조직이 아님을 도통론의 다양한 발전 양상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먼저 도통론의 최초 형태라고 간주되는 맹자의 도통론을 살펴보고, 한유의 도통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당의 한유와의 비교 작업을 진행할 것인데, 이는 기존의 한·당 유학으로부터 송대 유학으로의 변천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주된 관심은 도통론을 구성하는 내용과 형식, 즉 전수된 도의 실질적 내용이 무엇이냐는 것과 이 도를 전수하는 형식에 대한 상이한 이해를 분석하고, 이들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번역하기

      유교의 창시자라 불리는 공자라는 인물은 동아시아 역사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송대의 도학자들은 이러한 공자의 달라진 위상에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

      유교의 창시자라 불리는 공자라는 인물은 동아시아 역사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송대의 도학자들은 이러한 공자의 달라진 위상에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 즉 도통론을 제시하면서 공자와 그의 제자들을 정치적 지위나 권위(즉, 君臣 등의 정치적 지배권력)와는 별개의 새로운 학적 전통의 창시자, 후계자로 설정하고, 이들의 사상을 도학이라는 송대 유학자들의 독특한 학문 체계로 재탄생시켰다. 유교의 도통론은 단순한 유교적 이론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유교적 교리의 담지자층인 유학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생활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이념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교적 도통론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교가 단순히 혈연적 유대나 정치적 권력 획득을 맹종하는 조직이 아님을 도통론의 다양한 발전 양상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먼저 도통론의 최초 형태라고 간주되는 맹자의 도통론을 살펴보고, 한유의 도통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당의 한유와의 비교 작업을 진행할 것인데, 이는 기존의 한·당 유학으로부터 송대 유학으로의 변천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주된 관심은 도통론을 구성하는 내용과 형식, 즉 전수된 도의 실질적 내용이 무엇이냐는 것과 이 도를 전수하는 형식에 대한 상이한 이해를 분석하고, 이들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fucius, regarded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has been perceived through various imagery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During the Song dynasty, Neo-Confucian scholars articulated the theory of Daotong (道統論, Transmission of the Way) to grant religious legitimacy to Confucius's elevated status. They established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s founders and inheritors of a distinct intellectual tradition, independent of political hierarchy or authority (such as ruler-subject relationships), thus reinterpreting their thoughts within the unique intellectual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Far from being merely theoretical, Daotong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Confucian scholars, who transmitted doctrinal teachings, and ordinary people's daily live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Confucian Daotong theory, aiming to demonstrate that Confucianism transcends mere familial or political interests. Beginning with the foundational version proposed by Mencius and extending to Han Yu’s reinterpretation, the paper focuses particularly on Han Yu's Tang dynasty perspective as a key turning point, highlighting the shift from Han-Tang Confucianism toward Song Neo-Confucianism.
      The central objective is to clarify and analyze the distinct understandings of both the content transmitted within the Daotong theory and the formal mechanisms of transmission itself, thereby illuminating crucial differences among historical interpretations.
      번역하기

      Confucius, regarded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has been perceived through various imagery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During the Song dynasty, Neo-Confucian scholars articulated the theory of Daotong (道統論, Transmission of the Way) to gra...

      Confucius, regarded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has been perceived through various imagery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During the Song dynasty, Neo-Confucian scholars articulated the theory of Daotong (道統論, Transmission of the Way) to grant religious legitimacy to Confucius's elevated status. They established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s founders and inheritors of a distinct intellectual tradition, independent of political hierarchy or authority (such as ruler-subject relationships), thus reinterpreting their thoughts within the unique intellectual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Far from being merely theoretical, Daotong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Confucian scholars, who transmitted doctrinal teachings, and ordinary people's daily live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Confucian Daotong theory, aiming to demonstrate that Confucianism transcends mere familial or political interests. Beginning with the foundational version proposed by Mencius and extending to Han Yu’s reinterpretation, the paper focuses particularly on Han Yu's Tang dynasty perspective as a key turning point, highlighting the shift from Han-Tang Confucianism toward Song Neo-Confucianism.
      The central objective is to clarify and analyze the distinct understandings of both the content transmitted within the Daotong theory and the formal mechanisms of transmission itself, thereby illuminating crucial differences among historical interpreta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