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진로설계 프로그램 모형에 따른 의학세부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의식성숙도의 차이 = Th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Career Design Program of Medica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2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과대학생이 의학 전문분야를 선택하는 것은 대학의 전공을 선택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진로의 사결정과정의 하나이다. 그러나 의대생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결...

      의과대학생이 의학 전문분야를 선택하는 것은 대학의 전공을 선택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진로의 사결정과정의 하나이다. 그러나 의대생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의전원 2학년 74명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세 그룹이다. A그룹은 소그룹 토론식 프로그램을 수강한 그룹이며, B 그룹은 대그룹 강의식 프로그램을 수강한 그룹이며, C그룹은 프로그램을 수강하지 않은 그룹이었다.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의학세부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의식성숙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세 집단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p〉0.05).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A그룹은 내적 동기 요인 (t=-2.600, p〈0.05)과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 중 결정성(t=-2.575, p〈0.05)과 독립성(t=-2.244, p〈0.05) 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B그룹은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 중 독립성(t=2.202, p〈0.05)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소규모 토론식 진로설계 프로그램이 내적동기와 진로의식성숙의 결정성과 독립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by medical students is as important as the choice of a college major.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by medical students is as important as the choice of a college major.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design program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in 74 second medical students. The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 Group A was small group, Group B was large group, Group C did not take the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program effect, we conduct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 Pre-test ensured homogeneity among the three groups (p〉 0.05). A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ernal motivation(t=-2.600, p〈0.05), and the decisiveness(t=-2.575, p〈0.05) and independence(t=-2.244, p〈0.05) of career maturity. B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ndependence. In conclusion, a small group based career plan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nal motivation for career choice, decisiveness and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예라, "현행 학생지도 프로그램 분석과 학년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221-228, 2013

      2 서우석, "포트폴리오형 진로개발프로그램이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87-206, 2017

      3 권보민,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95-414, 2014

      4 김헌수,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61-278, 2004

      5 서영숙, "진로코칭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38-145, 2016

      6 유효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73-880, 2014

      7 유효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설계프로그램 효과분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7 (17): 131-139, 2015

      8 안혜진, "의과대학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의학교육학회 26 (26): 209-216, 2014

      9 김준환, "의과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경험"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157-165, 2013

      10 정은경, "외국 의과대학에서의 진로탐색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5 (15): 82-86, 2013

      1 허예라, "현행 학생지도 프로그램 분석과 학년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221-228, 2013

      2 서우석, "포트폴리오형 진로개발프로그램이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187-206, 2017

      3 권보민,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95-414, 2014

      4 김헌수,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61-278, 2004

      5 서영숙, "진로코칭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38-145, 2016

      6 유효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73-880, 2014

      7 유효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설계프로그램 효과분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7 (17): 131-139, 2015

      8 안혜진, "의과대학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의학교육학회 26 (26): 209-216, 2014

      9 김준환, "의과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경험"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157-165, 2013

      10 정은경, "외국 의과대학에서의 진로탐색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5 (15): 82-86, 2013

      11 김마리아,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3-151, 2016

      12 권은경, "대학생의 진로상담프로그램 실시전후의 진로성숙도 차이검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75-81, 2013

      13 윤영란, "대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진로지도 수업의 효과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31-340, 2016

      14 "http://www.kucm.ac.kr/bbs/board.php?bo_table=md_news&wr_id=447&page=10"

      15 "http://medicine.yonsei.ac.kr/intro_school/med_news/notice/academic/view.asp?con_no=84229"

      16 J. H. Kim, "The influence of career maturity and avoid success of the university student on career decision-making" Hongik University 1996

      17 G. W. Sung, "The effects of MBTI career program based on blended learning on learners’psychological type-related career comprehension and motivation" 18 (18): 1-23, 2017

      18 G. E. Smith,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uidance class: An organizational comparison" 22 (22): 120-124, 1981

      19 H. S. Kim,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n the career counselling program for students" 15 (15): 139-155, 2001

      20 P. S. Kang, "Specialty preference of the premedical school students in Taegu city" 12 (12): 215-226, 2000

      21 H. J. Yoo, "Reviews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concerning the successful adjustment in medical colleges" 10 (10): 323-335, 1998

      22 L. M. Daniels, "Relieving career anxiety and indecision: the role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ceived control and faculty affiliations" 14 (14): 409-426, 2011

      23 J. P. Leigh, "Physician career satisfaction within specialties" 9 (9): 2009

      24 P. J. Hartung,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Career specialty choice" 67 (67): 1-3, 2005

      25 W. T. Jeon, "Guide of medical specialty choice for medical student" Koonja 2014

      26 K. E. Hauer,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l students' career choices regarding internal medicine" 300 (300): 1154-1164, 2008

      27 S. J. Chung, "Designing of an education model for career planning in medical schools" 13 (13): 309-315, 2001

      28 S. J. Chung, "Designing of an education model for career planning in medical schools" 13 (13): 309-315, 2001

      29 J. O. Crites, "Career maturity inventory" McGraw-Hill 1995

      30 B. W. Kim,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9 (9): 311-333, 1997

      31 H. S. Kim, "A research study on the effects of REBT based problem-solving career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2 (2): 231-250,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