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원의 관점에서 본 창의경영학교 운영 실태 및 학교개선 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창의경영학교의 운영 실태 및 학교개선 효과를 교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 적이 있다. 창의경영학교 소속 교원 2,090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와 두 차례에 걸친 10명의 ...

      이 연구는 창의경영학교의 운영 실태 및 학교개선 효과를 교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 적이 있다. 창의경영학교 소속 교원 2,090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와 두 차례에 걸친 10명의 사업 담당 교사 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운영 실태와 학교 개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창의경영학교의 교원들은 사업 조직, 인력, 프로그램, 예산 등이 대체적으로 잘 운영되었고, 이 사업으로 인하여 학교가 좋아졌다고 인식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경영학교의 철학 및 지원방식이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사업을 직접 시행해야 하는 교원들의 공감을 이끌어낸 데 기인하는 바가 크다. 둘째, 창 의경영학교 소속 교원들이라 할지라도 학교급, 학교 유형, 사업 운영기간 등 학교 특성에 따 라 사업의 운영 실태 및 학교 개선에 대한 인식은 달랐으며, 특히, 초등학교 교원, 학력향상 형과 사교육절감형 학교 소속 교원, 그리고 사업 운영기간이 긴 학교 교원의 인식이 더 긍정 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가 창의적인 학교경영을 통해 교육력 제고를 도모할 경우에도 학교급에 따른 제도적 제약이나 사업효과의 가시성, 운영의 지속성 등에 따라 교원들의 체감 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부가 유사한 재정 지원사업을 추진할 경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views of teachers on the operational status and outcomes of the Creative Management School(CMS) project, a large scale financial project initiated by the government and maintained over the past four years since 2011. Ba...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views of teachers on the operational status and outcomes of the Creative Management School(CMS) project, a large scale financial project initiated by the government and maintained over the past four years since 2011.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from online survey of 2,090 teachers and interviews of 10 teachers serving at CMSs, we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eachers tend to perceive the outcomes of the CMSs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personnel, program,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s of CMSs very positively. This means that the CMS project has been well accepted by the teachers due to its philosophy and multilateral support measures. Seco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depending upon the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school level, CMS project type, and project operation period. This implies that while the CMSs reveal the potential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autonomous and creative management strategies, such factors as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visibility of project outcomes also influence upon the view of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for a better design of large scale financial support project aiming at improv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 "한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교육의 역할과 향후 과제" 경제연구소 31 (31): 1-30, 2010

      2 오상철,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실태 파악 및 위기학교 컨설팅 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 이화진,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지원 체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 및 KICE 자료 개발·사이트 안내"

      5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6 김윤나, "학교부적응청소년 지원정책 사업에 관한 정책참여자의 평가"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23, 2012

      7 성문기, "창의경영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운영관리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1 (11): 83-96, 2013

      8 김순남, "창의경영학교 운영 실태 및 향후 과제"

      9 김순남,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와 향후 과제"

      10 김이경, "창의경영학교 백서(Ⅱ)"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5

      1 이영, "한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교육의 역할과 향후 과제" 경제연구소 31 (31): 1-30, 2010

      2 오상철,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실태 파악 및 위기학교 컨설팅 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 이화진,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지원 체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 및 KICE 자료 개발·사이트 안내"

      5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6 김윤나, "학교부적응청소년 지원정책 사업에 관한 정책참여자의 평가"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23, 2012

      7 성문기, "창의경영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운영관리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1 (11): 83-96, 2013

      8 김순남, "창의경영학교 운영 실태 및 향후 과제"

      9 김순남,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와 향후 과제"

      10 김이경, "창의경영학교 백서(Ⅱ)"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5

      11 김이경, "창의경영학교 백서(Ⅰ)"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4

      12 김순남, "창의경영학교 개념 구조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47-64, 2012

      13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 진입으로 선진 일류국가 실현.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자료집 ② 창의인재 양성(2008.2∼2013.2)"

      14 유성창, "음악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8 (18): 751-773, 2014

      15 권덕원, "예술중점학교 성과 평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5-69, 2013

      16 교육과학기술부,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기본계획"

      17 교육과학기술부, "단위학교 재정지원 사업 체계화 방안"

      18 김지하, "단위학교 재정지원 사업 운영 현황 및 성과 분석: 공교육 내실화 및 학교 교육력 제고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1

      19 김이경, "교육정책 집행요인이 교원의 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창의경영학교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회 52 (52): 223-244, 2014

      20 유정애, "교육수혜자측면에서 본 체육교육혁신형 창의경영학교 운영성과 평가"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111-1127, 2014

      21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만족도와 성과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7

      22 한혜정, "교과 중점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현황 및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99-124, 2012

      23 유성창, "과학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05-328, 2014

      24 교육부, "2014년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추진계획(안)"

      25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운영 세부추진계획"

      26 안태연, "2013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 운영 결과 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7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운영 및 신규학교 선정 기본계획 안내"

      28 김정민, "2012년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종합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3

      29 한국교육개발원, "2012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운영 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2012

      30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도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신규학교 선정 결과"

      31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창의경영학교 지원사업 운영 기본계획"

      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지정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우수 사례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