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尹愭 文學의 動物形象과 寓意 = Description of animals and its essence in Yoon Ki’s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3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rspective in Yoon Ki(尹愭)’s literature is known to be as follows: The purpose of poems and writings is not to entertain readers with description of the nature such as bright full moon but to satirize the upper echelons of society by recording the reality as it appears. Instead of criticizing the upper class directly, Yoon Ki made his pieces with animals, figurative characters. To understand his intentions, we’ll look through how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 are described and what they stand for.
      First, for those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s, many researches focused on a fable prose(寓言散文). In fact, when looking into a collection of Yoon Ki’s works, approximately 66 works are considered to be shown in the title directly or use animal as the subject. In the cases of serial poetry(連作詩) or idle talk(雜說), they show a single title but develop into several different topics, as it goes deeper. Roughly, there are more than seventy works of poetry that address animal as a subject matter or the subject itself.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description and the meaning of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 in this follows: First, Took examples of poetry that address animal description and Looked into how Yoon Ki described them. Second, Analyzed concretely a fable prose which had been studied to a certain degree. Third, Looked into various animal description that was neglected for discussion. Fourth, Demonstrated that animals’ network of meaning is not simple as it may seem, especially, the meaning of certain animal could be varied accordance with situation. Fifth, Delved into the emblem(寓意) rooted from the embodiment of animals. Through these steps, I’d like to demonstrate Yoon Ki’s ability to write a fable and his literary grace.
      Yoon Ki’s literary tendency corresponds with that of a fable(寓言). For the conclusion, he tends to accord typicality to animals described in his chinese poem, and a fable prose; moreover, he regularly shows certain mental phenomenon on specific period of time. Wish discussion develops further, lightening the true value of his literary grace in fable literature.
      번역하기

      Perspective in Yoon Ki(尹愭)’s literature is known to be as follows: The purpose of poems and writings is not to entertain readers with description of the nature such as bright full moon but to satirize the upper echelons of society by recording t...

      Perspective in Yoon Ki(尹愭)’s literature is known to be as follows: The purpose of poems and writings is not to entertain readers with description of the nature such as bright full moon but to satirize the upper echelons of society by recording the reality as it appears. Instead of criticizing the upper class directly, Yoon Ki made his pieces with animals, figurative characters. To understand his intentions, we’ll look through how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 are described and what they stand for.
      First, for those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s, many researches focused on a fable prose(寓言散文). In fact, when looking into a collection of Yoon Ki’s works, approximately 66 works are considered to be shown in the title directly or use animal as the subject. In the cases of serial poetry(連作詩) or idle talk(雜說), they show a single title but develop into several different topics, as it goes deeper. Roughly, there are more than seventy works of poetry that address animal as a subject matter or the subject itself.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description and the meaning of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 in this follows: First, Took examples of poetry that address animal description and Looked into how Yoon Ki described them. Second, Analyzed concretely a fable prose which had been studied to a certain degree. Third, Looked into various animal description that was neglected for discussion. Fourth, Demonstrated that animals’ network of meaning is not simple as it may seem, especially, the meaning of certain animal could be varied accordance with situation. Fifth, Delved into the emblem(寓意) rooted from the embodiment of animals. Through these steps, I’d like to demonstrate Yoon Ki’s ability to write a fable and his literary grace.
      Yoon Ki’s literary tendency corresponds with that of a fable(寓言). For the conclusion, he tends to accord typicality to animals described in his chinese poem, and a fable prose; moreover, he regularly shows certain mental phenomenon on specific period of time. Wish discussion develops further, lightening the true value of his literary grace in fable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명자 尹愭(1741∼1826년)의 문학은 ‘史家的 眼目으로 진실을 추구하고 음풍농월을 지양하고 지배층을 풍자하며 세태를 경계하는 風謠’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윤기의 문학에서 동물을 소재로 한 시문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윤기의 문학에서 묘사한 다양한 동물형상에 대하여 다수의 연구에서 寓言散文으로서 주목하였다. 실제로 無名子集을 살펴보면 제목에 직접 나타나거나 동물을 소재로 쓰인 작품이 약 66편 정도로 파악 된다. 이 가운데 연작시나 잡설 같은 경우에는 제목은 하나이지만 작품 내부로 들어가 살피면 편수가 더 늘어난다. 개략적으로 보아도 70편 이상의 시문에서 동물을 주제나 소재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윤기의 시문에서 동물형상을 다룬 작품을 예시하고 표현 방법을 살폈다. 둘째, 기존에 다소의 연구가 이뤄진 우언산문에 대하여는 좀 더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셋째, 기존에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운문에 나타난 다양한 동물형상을 살펴보았다. 넷째, 시문에 묘사하고 있는 다양한 동물의 의미망이 단순하지 않음을 밝혔다. 특히 한 동물에 대해서 동일한 상징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동일 동물내부에서도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섯째, 동물의 형상화를 통하여 만들어낸 寓意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의 우언 작가로서 능력과 작품의 品格을 밝히고자 하였다.
      윤기의 문학적 경향은 寓言의 특성과 일치하는 바가 있다. 그가 그려낸 동물형상의 한시와 우언산문은 대체로 대상을 묘사할 때 典型性을 확보하였다. 또 한 역사 시기의 특수한 정신 현상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번역하기

      무명자 尹愭(1741∼1826년)의 문학은 ‘史家的 眼目으로 진실을 추구하고 음풍농월을 지양하고 지배층을 풍자하며 세태를 경계하는 風謠’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윤기의 문학에서 동물을 소...

      무명자 尹愭(1741∼1826년)의 문학은 ‘史家的 眼目으로 진실을 추구하고 음풍농월을 지양하고 지배층을 풍자하며 세태를 경계하는 風謠’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윤기의 문학에서 동물을 소재로 한 시문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윤기의 문학에서 묘사한 다양한 동물형상에 대하여 다수의 연구에서 寓言散文으로서 주목하였다. 실제로 無名子集을 살펴보면 제목에 직접 나타나거나 동물을 소재로 쓰인 작품이 약 66편 정도로 파악 된다. 이 가운데 연작시나 잡설 같은 경우에는 제목은 하나이지만 작품 내부로 들어가 살피면 편수가 더 늘어난다. 개략적으로 보아도 70편 이상의 시문에서 동물을 주제나 소재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윤기의 시문에서 동물형상을 다룬 작품을 예시하고 표현 방법을 살폈다. 둘째, 기존에 다소의 연구가 이뤄진 우언산문에 대하여는 좀 더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셋째, 기존에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운문에 나타난 다양한 동물형상을 살펴보았다. 넷째, 시문에 묘사하고 있는 다양한 동물의 의미망이 단순하지 않음을 밝혔다. 특히 한 동물에 대해서 동일한 상징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동일 동물내부에서도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섯째, 동물의 형상화를 통하여 만들어낸 寓意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의 우언 작가로서 능력과 작품의 品格을 밝히고자 하였다.
      윤기의 문학적 경향은 寓言의 특성과 일치하는 바가 있다. 그가 그려낸 동물형상의 한시와 우언산문은 대체로 대상을 묘사할 때 典型性을 확보하였다. 또 한 역사 시기의 특수한 정신 현상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승준, "한중 우언의 동물 상징" 국학연구원 (137) : 311-355, 2007

      2 윤주필, "한국 우언산문에 나타난 자연물 모방의 경향과 특징"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5-45, 2008

      3 윤주필, "틈새의 미학" 집문당 2003

      4 윤주필,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5 임완혁, "문헌과 해석" 문헌과 해석사 2005

      6 김병건, "무명자 윤기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7 尹 愭, "韓國文集叢刊 256" 民族文化推進會 2000

      8 김재환, "韓國寓話小說硏究" 집문당 1994

      9 김병건, "無名子 尹? 한시의 時代槪括과 諷戒的 성격" 우리한문학회 12 (12): 293-324, 2005

      10 임완혁, "無名子 尹愭의 散文世界" 우리한문학회 19 : 719-745, 2008

      1 윤승준, "한중 우언의 동물 상징" 국학연구원 (137) : 311-355, 2007

      2 윤주필, "한국 우언산문에 나타난 자연물 모방의 경향과 특징"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5-45, 2008

      3 윤주필, "틈새의 미학" 집문당 2003

      4 윤주필,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5 임완혁, "문헌과 해석" 문헌과 해석사 2005

      6 김병건, "무명자 윤기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7 尹 愭, "韓國文集叢刊 256" 民族文化推進會 2000

      8 김재환, "韓國寓話小說硏究" 집문당 1994

      9 김병건, "無名子 尹? 한시의 時代槪括과 諷戒的 성격" 우리한문학회 12 (12): 293-324, 2005

      10 임완혁, "無名子 尹愭의 散文世界" 우리한문학회 19 : 719-745, 2008

      11 김병건, "無名子 尹愭의 思想과 文學" 성균관대학교 2004

      12 김병건, "尹愭 文學의 美意識" 동방한문학회 (49) : 393-429,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