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sector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9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발전하면서 정책과정에서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갈등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갈등관리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고 공공 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교...

      한국사회가 발전하면서 정책과정에서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갈등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갈등관리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고 공공 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갈등관리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효과성은 검증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부문 갈등관리 교육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참여 동기 및 기대, 교육 강사 전문성, 교육내용 충실성, 교육환경 적절성, 교육운영 적절성, 소속기관 교육관심 및 기대 등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교육성과와 교육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교육추천에 다른 독립변수들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지만 소속기관 교육관 심 및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종속변수인 교육훈련 효과성 변수 의 교육성과, 교육효과, 교육 추천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교육효과가 부 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정책적 제언으로 지속적인 교육 참여 확대를 위한 공공 부문 종사자들의 갈등관리 교육 참여 확대, 갈등관리 교육내용의 충실성 개선을 위한 교육내용의 다양화 및 전문화, 갈등관리 교육 이후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사후관리, 소속기관 교육관심과 지지를 통한 교육 효과성 증진, 갈등관리 교육성과 및 교육효과의 관심을 통한 기관성과 향상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implemen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to alleviate these conflicts and to continuously manage them.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has not be...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implemented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to alleviate these conflicts and to continuously manage them.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has not been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in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students and to cla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motivation and expectation of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lecturer, enhancement of education contents,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management, educational interest and expectation of affiliated institu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education recommend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interest and support of affiliate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al effect,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s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And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post - management, improvemen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and support of affiliated institutions, and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al achievement and education e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설계
      • Ⅳ. 교육훈련 효과성 실증 분석
      •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설계
      • Ⅳ. 교육훈련 효과성 실증 분석
      •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민봉, "한국인사행정론" 박영사 2013

      2 김중양, "한국 인사행정론" 법문사 2008

      3 정찬동, "한국 공무원 교육훈련의 시대별 변화분석" 한국행정연구원 19 (19): 61-80, 2010

      4 강여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조사" 한국행정연구소 41 (41): 85-116, 2003

      5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6 윤건, "재난안전관리 공무원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문제와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4 (14): 99-129, 2015

      7 임다희, "인적자본・동기부여・교육복지 이론을 통한 교육격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순서화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185-213, 2013

      8 조성진, "시간관리교육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간관리행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755-781, 2014

      9 이종수, "새 행정학 2.0" 대영문화사 2015

      10 이부형, "사회적 갈등의 경제적 효과 추정과 시사점" 718 : 1-8, 2016

      1 유민봉, "한국인사행정론" 박영사 2013

      2 김중양, "한국 인사행정론" 법문사 2008

      3 정찬동, "한국 공무원 교육훈련의 시대별 변화분석" 한국행정연구원 19 (19): 61-80, 2010

      4 강여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조사" 한국행정연구소 41 (41): 85-116, 2003

      5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6 윤건, "재난안전관리 공무원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문제와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4 (14): 99-129, 2015

      7 임다희, "인적자본・동기부여・교육복지 이론을 통한 교육격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순서화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185-213, 2013

      8 조성진, "시간관리교육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간관리행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755-781, 2014

      9 이종수, "새 행정학 2.0" 대영문화사 2015

      10 이부형, "사회적 갈등의 경제적 효과 추정과 시사점" 718 : 1-8, 2016

      11 "미국 연방재난관리청"

      12 조호현, "대학교육시스템에서 교육서비스과정 품질과 교육성과품질간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5 (25): 61-72, 2007

      13 정영애, "기업교육훈련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8 (8): 89-110, 2006

      14 권원기, "군 위탁교육환경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인행정학회 14 (14): 125-145, 2014

      15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16 박춘성, "교육환경과 사회창의성의 관련 및 교육적용을 위한 소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59-72, 2014

      17 오현복, "교육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기관성과,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A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29, 2015

      18 강여진, "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 및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1 (21): 353-384, 2010

      19 백철현, "공무원 교육훈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5 (5): 25-44, 2000

      20 류현숙,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KIPA 갈등조정・협상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2 (22): 27-51, 2011

      21 홍길표,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 연구" 19 (19): 95-116, 2006

      22 박홍엽, "공공부문의 갈등관리 제도화 모색" 한국공공관리학회 25 (25): 105-132, 2011

      23 강여진, "경찰공무원의 교육훈련 학습 및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4 (14): 159-197, 2005

      24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갈등관리지원센터 설립방안(시안)" 2004

      25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갈등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활성화 방안" 2005

      26 Randall, J. S., "You and Effective Training" 32 : 10-19, 1978

      27 Bartlett, E. J., "What Readers Know" Academic Press 1982

      28 Baldwin, T. T.,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41 : 63-105, 1988

      29 Goldstein, I. L., "Training in Organizations: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Cengage Learning 2001

      30 Leduchwicz, T., "Trainer Role and Effective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3 : 2-9, 1982

      31 Berger, P., "To Empower People: The Role of Mediating Structures in Public Policy"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1977

      32 Tracy, J. B.,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Environment on Varying Levels of Training Outcomes" 12 (12): 5-23, 2001

      33 Holton, E. F., "The Flawed Four-Level Evaluation Model" 7 : 5-21, 1996

      34 Kliger, D. E., "Public Personnel Management: Contexts and Strategies" Person Education Ltd 2003

      35 Brinkerhoff, R. O., "Partnerships for Training Transfer: Lessons from a Corporate Study" 6 (6): 263-273, 1995

      36 Mathieu, J. E., "Influences of Individu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n Measures of Training Effectiveness" 35 (35): 828-847, 1992

      37 Mathieu, J. E., "Individu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Training Effectiveness" 46 (46): 125-147, 1993

      38 Berman, E. M.,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Public Service: Paradoxes, Processes and Problems" Sage 2013

      39 Sternberg, R. J.,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0 Ford, J. J., "Factors Affection the Opportunity to Perform Trained Tasks on the Job" 45 (45): 511-527, 1992

      41 Seyler, D. L., "Factors Affecting Motivation to Transfer Training" 2 (2): 16-, 1998

      42 Kim, M. Y., "Examining and Testing the Ro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in the Public Sector: Evidence from US Federal Agencies" 22 (22): 60-86, 2017

      43 Kirpatrick, D. L.,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1998

      44 Gist, M. 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ost-Training Intervention on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Complex Interpersonal Skills" 44 (44): 837-861, 1991

      45 한국행정연구원, "2017 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 자료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46 1.64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