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Living Apart on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Jeju : Comparison of Young-old and Old-o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0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7년에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의 제주지역 전기노인 200명, 후기노인 232명, 총 432명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은 정서적,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에게 도움받음은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녀에게 도움줌은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후기노인보다 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 집단에서는 지원교환 변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후기노인 집단에서는 자녀에게 정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경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수준에 차이가 있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영역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특성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노인가족복지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7년에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의 제주지역 전기노인 200명, 후기노인 232명, 총 432명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은 정서적,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에게 도움받음은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녀에게 도움줌은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후기노인보다 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 집단에서는 지원교환 변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후기노인 집단에서는 자녀에게 정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경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수준에 차이가 있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영역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특성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노인가족복지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old and old-old groups among the Jeju elderly. The study analyzed 432 cases (200 young-old and 232 old-old) of elderly in Jeju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in Korea.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living apar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elderly score are higher in the old-old than in the young-old category. Besides, the elderly’s financial support of their children shows a higher score in the young-old than the old-old category. Second, in the young-old group, non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variabl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old-old group, the elderly’s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positively impacts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mproving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and their children who live apart.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old and old-old groups among the Jeju elderly. The study analyzed 432 cases (200 young-old and 232 old-old) ...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old and old-old groups among the Jeju elderly. The study analyzed 432 cases (200 young-old and 232 old-old) of elderly in Jeju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in Korea.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living apar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elderly score are higher in the old-old than in the young-old category. Besides, the elderly’s financial support of their children shows a higher score in the young-old than the old-old category. Second, in the young-old group, non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variabl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old-old group, the elderly’s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positively impacts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mproving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and their children who live ap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민, "호적중초에 나타난 19세기 제주도 가족과 가구의 성격" 역사문화학회 13 (13): 371-396, 2010

      2 호남지방통계청, "호남⋅제주지역 고령자 1인 가구의 생활상"

      3 호남지방통계청, "통계로 본 2020년 호남⋅제주 혼인⋅이혼 현황 및 분석"

      4 김영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자살행동가능성 :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21 (21): 169-190, 2020

      5 변화순, "중년기 퇴직남성 부부의 갈등과 적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6 강지영, "중고령층 연령집단별 물질적 결핍 궤적 및 궤적집단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소 55 : 5-34, 2017

      7 신승배, "제주특별자치도 독거노인 정신건강조사 분석 보고서" 제주특별 자치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광역치매센터⋅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9

      8 장승심, "제주지역 다문화 가족의 특징" 탐라문화연구원 (41) : 139-177, 2012

      9 강봉수, "제주정체성으로써 ‘제주정신’에 대한 연구 성과와 제주문화문법" 50 : 181-225, 2018

      10 고승한, "제주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6) : 333-388, 2010

      1 김창민, "호적중초에 나타난 19세기 제주도 가족과 가구의 성격" 역사문화학회 13 (13): 371-396, 2010

      2 호남지방통계청, "호남⋅제주지역 고령자 1인 가구의 생활상"

      3 호남지방통계청, "통계로 본 2020년 호남⋅제주 혼인⋅이혼 현황 및 분석"

      4 김영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자살행동가능성 :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21 (21): 169-190, 2020

      5 변화순, "중년기 퇴직남성 부부의 갈등과 적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6 강지영, "중고령층 연령집단별 물질적 결핍 궤적 및 궤적집단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소 55 : 5-34, 2017

      7 신승배, "제주특별자치도 독거노인 정신건강조사 분석 보고서" 제주특별 자치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광역치매센터⋅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9

      8 장승심, "제주지역 다문화 가족의 특징" 탐라문화연구원 (41) : 139-177, 2012

      9 강봉수, "제주정체성으로써 ‘제주정신’에 대한 연구 성과와 제주문화문법" 50 : 181-225, 2018

      10 고승한, "제주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6) : 333-388, 2010

      11 고보선, "제주여성독거노인 사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57-92, 2014

      12 윤용택, "제주섬 생태문화의 현대적 의의" 탐라문화연구원 (37) : 317-352, 2010

      13 이창기,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환경: 도전, 적응, 초월의 메카니즘" 9 : 17-35, 1992

      14 김혜숙, "제주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159-186, 2013

      15 김진영, "제주 장수노인의 인구현황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23 : 1-35, 2003

      16 남석인, "전기·후기노인의 노후불안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7 (47): 67-96, 2019

      17 정규형, "전기·후기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3) : 45-78, 2016

      18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19 보건복지부, "자살예방백서" 중앙자살예방센터 2019

      20 김영범, "자녀와의 지원교환과 노인이 느끼는 삶의 행복감 -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13 (13): 173-194, 2012

      21 김영범, "자녀와의 지원교환과 노인의 부양책임감에 대한 인식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18 : 47-65, 2008

      22 김세진, "자녀와의 동거유형별 지원교환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113-142, 2017

      23 임효연, "일본 대도시 독거노인의 자녀와의 지원교환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47 (47): 59-66, 2009

      24 이원식,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5 (45): 5-37, 2018

      25 김현정, "세대간 지원교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265-288, 2010

      26 김정석,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20 (20): 155-168, 2000

      27 한경혜,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21 (21): 55-80, 2000

      28 최재권, "세대 간의 생활문화를 통해 본 제주도 안밖거리 주거 연구" 24 : 129-136, 2000

      29 최희진, "세대 간 지원교환의 장기적․단기적 호혜성: 아들과 딸의 비교" 한국노년학회 37 (37): 83-102, 2017

      30 오영은, "성인자녀와의 사회적 지원교환이 농촌과 도시 1인 가구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노인실태조사 2011년, 2017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29 (29): 47-68, 2020

      31 박경순, "성인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교환이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68) : 273-302, 2015

      32 박현식,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년세대와 신노년세대 인식 비교" 한국지역사회학회 22 (22): 217-237, 2014

      33 임민경,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한국융합학회 9 (9): 265-277, 2018

      34 김영범, "비공식 사회지원망 종류와 삶의 만족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20 (20): 129-156, 2019

      35 이신영, "독거노인의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유형과 관련요인" 한국가족학회 23 (23): 105-136, 2011

      36 배진희,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197-216, 2004

      37 이형실, "농촌 노인의 세대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비교" 대한가정학회 41 (41): 57-69, 2003

      38 신용석, "노인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216-250, 2017

      39 곽인숙,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07-127, 2011

      40 김재경,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5) : 5-29, 2020

      41 김미령, "노인의 부양의무기대, 부모역할만족 및 자녀결속력이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 161-188, 2008

      42 남석인, "노인 - 자녀 간 정서적 지원 교환양상이 재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자녀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1) : 115-147, 2016

      43 윤현숙,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3 (23): 15-28, 2003

      44 문수경, "노부모와 비동거 자녀와의 만남 빈도, 상호 호혜적 정서지원, 그리고 우울과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671-686, 2017

      45 민무숙, "노모와 성인 딸/며느리 간의 상호원조유형이 부양부담도에 미치는 영향" 15 (15): 74-90, 1995

      46 이인정, "노년기 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19 (19): 35-50, 1999

      47 정진경, "노년기 부모-성인자녀간 지원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2 (32): 895-912, 2012

      48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가균형발전지표 지역실태조사 결과 발표"

      49 Leopold, T., "The temporal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A within-family analysis of parent-child reciprocity" 27 : 252-263, 2013

      50 Ha, J. H.,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support from children on widowed older adults’ psychological adjustment: A longitudinal analysis" 50 : 471-481, 2010

      51 Glenn, N., "The effect of offspr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s" 43 : 409-421, 1981

      52 Floridi, G., "Social policies and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Italy and South Korea" 15 (15): 330-345, 2020

      53 Henretta, J. C., "Selection of children to provide care: The effect of earlier parental transfers" 52 : 110-119, 1997

      54 Sechrist, J., "Perceptions of equity, balance of support exchange, and mother-adult child relations" 76 (76): 285-299, 2014

      55 Hoff, A.,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grandparentgrandchild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Germany" 27 : 643-665, 2007

      56 Lally, M, "Lifespan Development: A Psychological Perspective Second Edition"

      57 Silverstein, M., "Intergenerational support to aging parents : The role of norms and needs" 27 (27): 1068-1084, 2006

      58 Chen, J., "Intergenera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young-, old- and oldest-old adults in China" 22 (22): 412-420, 2018

      59 Fingerman, K. L., "Helicopter parents and landing pad kids:Intense parental support of grown children" 74 : 880-896, 2012

      60 Smith, J.,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58 (58): 715-732, 2002

      61 Reinhardt, J. P., "Good to have but not to use : Differential impact of perceived and received support on well-being" 23 (23): 117-129, 2006

      62 Szinovacz, M. E., "Changes in adult child caregiver networks" 47 (47): 280-295, 2007

      63 Gujarati, D. N., "Basic Econometrics"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 2009

      64 Crispell, D., "American maturity" 15 (15): 31-42, 1993

      65 Neugarten, B. L.,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the young-old" 415 (415): 187-198, 1974

      66 공선희, "2020년도 제주지역 노인 및 베이비부머 실태조사"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 2020

      67 제주특별자치도, "2020 제주의 사회지표" 제주특별자치도 2020

      68 정경희,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69 허원영, "19세기 濟州島의 戶籍制 운영과 가족제도의 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80-108, 2013

      70 김혜숙, "100세 시대 대응한 제주도민의 가족생활실태 및가족정책에 관한 욕구조사 연구-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45) : 227-26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6-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이화사회복지연구회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영문명 : Ewha Society of Social Work Research -> Korean Academy of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