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개화기 민간인 발행의 일본어 학습서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1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seems that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Japanese authors of such textbooks came to Korea and published them by making use of their own experiences of learning Korean. In the introductory remarks, the authors emphasised that there had been a growing need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presumabl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ales of th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authors of such textbooks not only edited them but als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promot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Some of them regarded the Japanese language as a means of obtaining new knowledge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tradition of culture, art, and study, and so forth.
      In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textbooks published by the Japanese authors were self-contained materials for beginners to study Japanese convers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period, various types of textbooks (not only conversation materials but also grammar books based on the grammar and translations of sentences and comprehensive textbooks covering conversation, the grammar, and sentences. This wide range of textbook types reflected the authors’ views o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aims of publishing textbooks.
      I argue that these shifts in the types of textbooks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are due to not only differences in the nationalities of the authors (i.e., Japanese vs. Korean) but also social factors that had been changing as time went by.
      번역하기

      It seems that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Japanese authors of such textbooks came to Korea and published them by making use of their own experiences of learning Korean. In the introductory remarks, the authors emphasised that there had...

      It seems that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Japanese authors of such textbooks came to Korea and published them by making use of their own experiences of learning Korean. In the introductory remarks, the authors emphasised that there had been a growing need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presumabl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ales of th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authors of such textbooks not only edited them but als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promot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Some of them regarded the Japanese language as a means of obtaining new knowledge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tradition of culture, art, and study, and so forth.
      In the initial phase of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 textbooks published by the Japanese authors were self-contained materials for beginners to study Japanese convers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period, various types of textbooks (not only conversation materials but also grammar books based on the grammar and translations of sentences and comprehensive textbooks covering conversation, the grammar, and sentences. This wide range of textbook types reflected the authors’ views o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aims of publishing textbooks.
      I argue that these shifts in the types of textbooks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are due to not only differences in the nationalities of the authors (i.e., Japanese vs. Korean) but also social factors that had been changing as time went b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민족 독립 운동사 2권 국권수호운동Ⅱ > Ⅳ. 국권수호를 위한 사회·문화운동 > 8. 언론·출판 > 7)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 근현대 잡지 자료"

      3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 근현대 인물 자료 朴重華"

      4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 근현대 인물 자료 崔在翊"

      5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6" 현대문화사 238-248, 2009

      6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직원록 자료: 崔在翊"

      7 이윤상,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89-94, 2006

      8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6책" 탑출판사 1-340, 1983

      9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5책" 탑출판사 1-678, 1986

      10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4책" 탑출판사 1-364, 1977

      1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민족 독립 운동사 2권 국권수호운동Ⅱ > Ⅳ. 국권수호를 위한 사회·문화운동 > 8. 언론·출판 > 7)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 근현대 잡지 자료"

      3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 근현대 인물 자료 朴重華"

      4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 근현대 인물 자료 崔在翊"

      5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6" 현대문화사 238-248, 2009

      6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직원록 자료: 崔在翊"

      7 이윤상,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89-94, 2006

      8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6책" 탑출판사 1-340, 1983

      9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5책" 탑출판사 1-678, 1986

      10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4책" 탑출판사 1-364, 1977

      11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3책" 탑출판사 1-214, 1985

      12 진청, "독습일한척독(獨習日韓尺牘)에 대하여" 언어정보연구원 51 : 173-194, 2020

      13 주현희, "근대 지식의 전파와 확산에 대한 고찰 - 송헌석의 생애와 저술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75-101, 2020

      14 이강민, "근대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 역락 232-, 2015

      15 황운, "개화기 일본어 학습서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연구사 분석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93) : 129-145, 2021

      16 정훈, "개화기 북산 임규의 근대성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106) : 91-122, 2018

      17 채휘균, "개화기 금지교과서의 유형과 내용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26) : 175-196, 2004

      18 편무진, "韓國資料』의 기초적 연구, 韓國人을 위한 日語學習書를 중심으로/1" 한국일본문화학회 (11) : 175-203, 2001

      19 한중선, "韓國 開化期 日本語 學習書『日話獨習』에 관한 考察" 일본연구소 (74) : 593-612, 2017

      20 황운, "韓国開化期の日本語教育に関する考察 -日本語学習書による日本語教育の成立を中心に-"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75-193, 2017

      21 황운, "韓国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日語工夫』(1891)に関する考察"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13-230, 2015

      22 黄雲, "韓国開化期における日本語教育に関する考察" 麗澤大学大学院 2016

      23 한중선, "開化期 日本語 學習書 小考" 한국일어일문학회 25 : 139-168, 1994

      24 植田晃次, "銀行員・弓場重栄と朝鮮語-日本近代朝鮮語教育史の視点から-" 大阪大学大学院言語文化研究科 47 : 3-24, 2021

      25 成玧妸, "近代日本語資料としての『日韓韓日新会話』"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国語研究室 (4) : 37-57, 2008

      26 김대래, "移住와 支配 : 개항이후 부산거주 일본인에 관한 연구(1876-1910)" 한국경제통상학회 27 (27): 141-169, 2009

      27 植田晃次, "日本語言文化研究 第3輯(上)" 延辺大学出版社 63-72, 2014

      28 "島井浩の経歴と著書" 1-11, 2013

      29 김주용, "偶丁 林圭의 생애와 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92) : 7-33, 2020

      30 丸善株式会社, "丸善百年史:日本近代化のあゆみと共に-上巻" 丸善出版 1015-, 1980

      31 한원미, "「獨習 日語正則」의 한일 대역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2 이강민, "1909年刊 '韓日英新會話'에 대하여"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9 : 367-379, 2013

      33 陳南澤, "1895年刊『日本語独案内』について" 岡山大学言語教育センター 11 : 43-5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apanese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5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