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석환, "후기세속사회의 종교성과 탈종교성에 대한 공공신학적 연구" 세계선교연구원 (49) : 249-279, 2019
2 채병관, "한국의 "가나안 성도"와 영국의 "소속 없는 신앙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0 (40): 161-182, 2016
3 김성수, "한국기독교사에서 퀘이커주의와 함석헌의 위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3) : 163-194, 2005
4 지용수, "한국교회 트렌드 2023: 정확한 조사 데이터에 근거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23년 한국교회 전망과 전락" 규장 2023
5 김진영, "한국 개신교인 수 771만 추정...가나안 성도 226만명"
6 임영빈, "한국 개신교와 탈종교화 - 막스 베버의 합리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이론학회 (58) : 103-124, 2020
7 김현성, "크리스천 대학생, 42%는 가나안 성도..."
8 정지석, "퀘이커 영성 연구" 한신신학연구소 50 (50): 98-135, 2013
9 김영태, "퀘이커 신비주의에 관한 고찰" (창간) : 81-103, 1999
10 브린튼, 하워드, "퀘이커 350년" 퀘이커서울출판부 2018
1 성석환, "후기세속사회의 종교성과 탈종교성에 대한 공공신학적 연구" 세계선교연구원 (49) : 249-279, 2019
2 채병관, "한국의 "가나안 성도"와 영국의 "소속 없는 신앙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0 (40): 161-182, 2016
3 김성수, "한국기독교사에서 퀘이커주의와 함석헌의 위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3) : 163-194, 2005
4 지용수, "한국교회 트렌드 2023: 정확한 조사 데이터에 근거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23년 한국교회 전망과 전락" 규장 2023
5 김진영, "한국 개신교인 수 771만 추정...가나안 성도 226만명"
6 임영빈, "한국 개신교와 탈종교화 - 막스 베버의 합리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이론학회 (58) : 103-124, 2020
7 김현성, "크리스천 대학생, 42%는 가나안 성도..."
8 정지석, "퀘이커 영성 연구" 한신신학연구소 50 (50): 98-135, 2013
9 김영태, "퀘이커 신비주의에 관한 고찰" (창간) : 81-103, 1999
10 브린튼, 하워드, "퀘이커 350년" 퀘이커서울출판부 2018
11 정재영, "종교 세속화의 한 측면으로서소속 없는 신앙인들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9) : 575-606, 2014
12 김경은, "일상기도로서의 주기도문 활용 :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시대를 생각하며" 한국실천신학회 (83) : 113-138, 2023
13 이주형, "영적 우울과 어두운 밤의 위로" 한국실천신학회 (66) : 189-214, 2019
14 김난예, "신앙과 실천을 위한 퀘이커 교육의 핵심 가치" 한국기독교학회 (100) : 275-302, 2016
15 정재영, "비제도권 교회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4) : 895-922, 2021
16 차명호, "달란트 시장이 된 교회 : 소비주의적 교회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7) : 655-687, 2021
17 이주형, "기독(목회)상담과 영성 형성: 영성상담을 위한 예비적 제언"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9 (29): 191-212, 2018
18 최승현, "기독 청년 중 20%가 가나안 교인…10년 후 2배 전망"
19 이수인 ; 전병철, "교회를 떠나는 청년들의 이유와 대안 모색을 위한 델파이 연구" ACTS 신학연구소 48 : 138-172, 2021
20 정재영, "교회 안 나가는 그리스도인 : 가나안 성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IVP 2015
21 안창덕, "가나안 신자의 종교인류학 : 교회 밖 신앙의 종교성" 동연 2023
22 양희송,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 한국 교회가 직면한 최대 현실, 가나안 성도를 말한다" 포이에마 2014
23 김현준, "‘교회 밖’ 신앙모임의 종교적 기능: 한국 개신교 포스트-복음주의의 탄생과 성격에 관한 시론"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1 (41): 167-190, 2017
24 박성원 ; 권수영, "‘가나안 성도’들의 탈(脫) 교회에서의 신앙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8 (28): 69-106, 2017
25 Scorgie, Glen, "Zondervan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Zondervan 2011
26 Choi, Hyaeweol, "The Sacred and the Secular : Protestant Christianity as Lived Experience in Modern Korea : An Introduction" 25 (25): 279-289, 2020
27 Sheldrake, Philip,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5
28 Steere, Douglas V., "Quaker Spirituality: Selected Writings" Paulist Press 1984
29 Bock, Cherie, "Quaker Spirituality of Protestant Spiritual Traditions"
30 Ryrie, Alec, "Protestants: The Radicals that Made the Modern World" William Collins 2017
31 조성호, "MZ세대의 특징과 미래지향적 기독교 영성 형성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9) : 229-258, 2022
32 Cho, Euiwan, "Burnout Society : Examining Korean Protestantism’s Rising Interest in Apophatic and Desert Spirituality" 13 (13): 22-38, 2020
33 Teahan, John F, "A Dark and Empty Way : Thomas Merton and the Apophatic Tradition" 58 : 263-287,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