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에서 게재되는 확보를 시각의 정치, 특히 ‘안면성’을 통하여 분석하고 있다. 즉, 이 연구는 일본 도쿄서적(東京書籍)이 2006년 이후 2021년까지 4차례 개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28294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7-232(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에서 게재되는 확보를 시각의 정치, 특히 ‘안면성’을 통하여 분석하고 있다. 즉, 이 연구는 일본 도쿄서적(東京書籍)이 2006년 이후 2021년까지 4차례 개정...
이 연구는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에서 게재되는 확보를 시각의 정치, 특히 ‘안면성’을 통하여 분석하고 있다. 즉, 이 연구는 일본 도쿄서적(東京書籍)이 2006년 이후 2021년까지 4차례 개정한 『새로운 사회 공민(新しい社会 公民)』의 제5장 「지구사회와 우리(地球社会と私たち)」의 발행 연도별 화보를 비교·검토하여 교과서 개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교과서의 화보가 단순히 시각적 최신성 확보와 심미적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단원과 교호하면서 해당 단원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드러낸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1 심광택, "한국·중국·일본 초등 사회과의 전환점: 생태적 다중시민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2 (52): 31-51, 2013
2 황영주, "집단 기억과 감정의 공간으로서 사회교과서: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일반사회 국제정치영역 비교" 21세기정치학회 27 (27): 137-164, 2017
3 이경민, "제국의 렌즈 식민지 사진과 만들어진 우리 근대의 초상" 산책자 2010
4 제임스 R. 라이언, "제국을 사진 찍다: 대영제국의 사진과 시각화" 그린비 2015
5 이주경, "일본의 정치개혁과 보수화의 메커니즘" 한국정치학회 52 (52): 5-28, 2018
6 노기호, "일본교육기본법의 개정 내용과 특징"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299-336, 2007
7 황영주,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기억과 감정의 경쟁: 동경서적(東京書籍)과 육붕사(育鵬社)의 “국제정치” 단원 비교" 21세기정치학회 29 (29): 43-72, 2019
8 황영주, "일본 교과서의 보수화 추이: 이쿠호샤(育鵬社) 2012년·2018년 발행 중학교 일반사회 교과서 제5장 국제정치 단원 비교" 글로벌교육연구학회 12 (12): 77-102, 2020
9 황영주, "일본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기억과 감정의 변화: 도쿄서적(東京書籍) 2006년, 2012년, 2018년도 발행 중학교 사회교과서 제5장 「국제정치(地球社会とわたしたち)」단원 비교" 21세기정치학회 30 (30): 63-90, 2020
10 남상구, "일본 교과서 문제의 역사적 경위와 실태:국제주의와 애국주의 길항" 한일관계사학회 (54) : 361-399, 2016
1 심광택, "한국·중국·일본 초등 사회과의 전환점: 생태적 다중시민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2 (52): 31-51, 2013
2 황영주, "집단 기억과 감정의 공간으로서 사회교과서: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일반사회 국제정치영역 비교" 21세기정치학회 27 (27): 137-164, 2017
3 이경민, "제국의 렌즈 식민지 사진과 만들어진 우리 근대의 초상" 산책자 2010
4 제임스 R. 라이언, "제국을 사진 찍다: 대영제국의 사진과 시각화" 그린비 2015
5 이주경, "일본의 정치개혁과 보수화의 메커니즘" 한국정치학회 52 (52): 5-28, 2018
6 노기호, "일본교육기본법의 개정 내용과 특징"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299-336, 2007
7 황영주,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기억과 감정의 경쟁: 동경서적(東京書籍)과 육붕사(育鵬社)의 “국제정치” 단원 비교" 21세기정치학회 29 (29): 43-72, 2019
8 황영주, "일본 교과서의 보수화 추이: 이쿠호샤(育鵬社) 2012년·2018년 발행 중학교 일반사회 교과서 제5장 국제정치 단원 비교" 글로벌교육연구학회 12 (12): 77-102, 2020
9 황영주, "일본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기억과 감정의 변화: 도쿄서적(東京書籍) 2006년, 2012년, 2018년도 발행 중학교 사회교과서 제5장 「국제정치(地球社会とわたしたち)」단원 비교" 21세기정치학회 30 (30): 63-90, 2020
10 남상구, "일본 교과서 문제의 역사적 경위와 실태:국제주의와 애국주의 길항" 한일관계사학회 (54) : 361-399, 2016
11 서유리, "시대의 얼굴 : 잡지 표지로 보는 근대" 소명출판 2016
12 김인화 ; 김명섭, "기억의 국제정치학: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동북아시아" 사회과학연구소 38 (38): 66-89, 2007
13 황영주, "교과서에 드러난 시각의 정치:일본 도쿄서적과 이쿠호샤 중학교 일반사회 교과서 제5장 국제정치 단원 화보 비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4 (4): 155-205, 2021
14 "義務教育諸学校教科用図書検定基準(改正後全文)"
15 天笠 茂, "現代社会の教育課程政策における政治・行政・経営をめぐる諸課題" 25 : 110-, 2016
16 "東京書籍 家族と国家の解体を狙う" 新しい歴史教科書をつくる会
17 "来年度使用の中学教科書, 東京書籍が道徳, 英語などでシェア1位"
18 五味文彦, "新しい社會 公民" 東京書籍 2006
19 坂上康俊, "新しい社會 公民" 東京書籍 2018
20 五味文彦, "新しい社會 公民" 東京書籍 2012
21 矢ケ崎典降, "新しい社會 公民" 東京書籍 2021
22 "教科書検定の方法"
23 "中學校用 敎科書 目錄 (令和3年度使用)"
24 文部科学省, "中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 社會編" 文部科学省 1998
25 文部科学省編, "中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 社會編" 文部科学省 2014
26 文部科学省編, "中學校學習指導要領(平成29年告示)社會編" 文部科学省 2017
27 文部科学省編, "中學校學習指導要領 解說(平成29年告示)社會編" 文部科学省 2017
28 文部科学省, "中學校學習指導要領 社會編" 文部科学省 1998
29 文部科学省, "中學校學習指導要領 社會編" 文部科学省 2014
30 "これからの大学教育等の在り方について(第三次提言素案)"
31 Crilley, Rhys, "Visual narratives of global politics in the digital age: an introduction" 33 (33): 628-637, 2020
32 Bleiker, Roland, "Visual Global Politics" Routledge 2018
33 Crilley, Rhys, "The visual politics of legitimation in the digital age:the cases of the British Army and the Syrian Opposition" University of Birmingham 2016
34 Callahan, W. A, "The Visual Turn in IR : Documentary Film making as a Critical Method" 43 (43): 891-910, 2015
35 Schneider, Claudia,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Controversy in East Asian Perspective" 617 : 107-122, 2008
36 Bleiker, Roland, "The Aesthetic Turn in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30 (30): 509-533, 2001
37 Mitchell, W. J. T, "Picture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38 Brown, Chris, "International Society. Global Polity: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London 2015
39 권오현, "2017년·2018년 일본 학습지도요령 개정과 사회과 교육의 주요 변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1-20, 2019
2030세대 남성 중심 온라인 커뮤니티와 남성성 규범: 반 페미니즘 정서를 중심으로
‘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남북한 동질성 회복 담론에 대한 인정론적 이해
‘저항 민족주의’의 계승과 발전: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자본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삼중운동(Triple Movement)”: 하버마스와 슈트렉의 유럽통합논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