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 분석 및 비교 = Comparison of NANDA-I, NIC, and NOC linkages for musculoskeletal surgical participants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77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0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27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주현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NDA-I(nursing diagnosis), NIC(nursing interention), and NOC(nursing outcome) for musculoskeletal surgical participants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and to identify the NANDA-NIC-NOC linkage to provide proper care for musculoskeletal patients.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were recruited from one hospit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ursing records of participants admitted for musculoskeletal surgery. A total of 700 patents’ records were analyzed to describ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NANDA-I diagnosis, NIC interventions, and NOC outcomes for participants with musculoskeletal surge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software with analysis of frequency. The top five NANDA-I diagnoses associated with NOC outcomes and NIC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1. The average age of 700 participants was 59.7±17.04, 62.6% were women; 30.1% were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2. Comparison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results of a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age(t=-13.628, p=<.001), and chi-square test showed for gender(x2=15.290, p<.001), underlying diseases(x2=65.728, p<.001).
      3. The result of NANDA-I-NOC-NIC linkage for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is as follows:
      Risk for infection-Medication management-Infection severity
      Acute pain-Pain management-Pain control Deficient knowledge-Teaching:preoperative-Knowledge: disease process
      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Incision site care- Wound healing: primary intection
      Hyperthermia-Medication management-Thermoregulation
      4. All nurses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the general ward applied nursing diagnosis 'Risk for infection' to all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The follows applied to all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ing Diagnosis: Risk for infection, Acute pain,
      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Nursing Intervention: Pain management, Analgesic administration, Skin surveillance, Medication management, Medication administration: IM, Teaching: preoperative
      Teaching: procedure/treatment
      Nursing Outcome: Pain level, Infection severity,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Registered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provided more scientific, professional nursing process for musculoskeletal patient using the standard nursing language system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ward and especially it was found out what kind of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outcomes and NANDA-NIC-NOC linkage are often used for the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NANDA-NIC-NOC linkage for patients with specific disease, and also for providing individual nursing care in various clinical fiel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NDA-I(nursing diagnosis), NIC(nursing interention), and NOC(nursing outcome) for musculoskeletal surgical participants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and to i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NDA-I(nursing diagnosis), NIC(nursing interention), and NOC(nursing outcome) for musculoskeletal surgical participants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and to identify the NANDA-NIC-NOC linkage to provide proper care for musculoskeletal patients.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were recruited from one hospit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ursing records of participants admitted for musculoskeletal surgery. A total of 700 patents’ records were analyzed to describ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NANDA-I diagnosis, NIC interventions, and NOC outcomes for participants with musculoskeletal surge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software with analysis of frequency. The top five NANDA-I diagnoses associated with NOC outcomes and NIC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1. The average age of 700 participants was 59.7±17.04, 62.6% were women; 30.1% were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2. Comparison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results of a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age(t=-13.628, p=<.001), and chi-square test showed for gender(x2=15.290, p<.001), underlying diseases(x2=65.728, p<.001).
      3. The result of NANDA-I-NOC-NIC linkage for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is as follows:
      Risk for infection-Medication management-Infection severity
      Acute pain-Pain management-Pain control Deficient knowledge-Teaching:preoperative-Knowledge: disease process
      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Incision site care- Wound healing: primary intection
      Hyperthermia-Medication management-Thermoregulation
      4. All nurses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the general ward applied nursing diagnosis 'Risk for infection' to all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The follows applied to all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ing Diagnosis: Risk for infection, Acute pain,
      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Nursing Intervention: Pain management, Analgesic administration, Skin surveillance, Medication management, Medication administration: IM, Teaching: preoperative
      Teaching: procedure/treatment
      Nursing Outcome: Pain level, Infection severity,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Registered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provided more scientific, professional nursing process for musculoskeletal patient using the standard nursing language system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ward and especially it was found out what kind of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outcomes and NANDA-NIC-NOC linkage are often used for the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NANDA-NIC-NOC linkage for patients with specific disease, and also for providing individual nursing care in various clinical fiel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입원 대상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병동과 시행하지 않는 일반 병동에서 적용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 중인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골격계 수술을 받은 대상자를 계통표집하였으며, 연구자가 간호기록 열람을 통하여 연구도구를 활용, 적용된 항목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진단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NANDA-I에서 선별된 23개의 항목, 간호중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NIC에서 선별된 61개 항목, 간호 결과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NOC에서 선별된 31개 항목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700명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연구 대상자에게 최다빈도로 적용된 간호진단과 이에 대한 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 감염위험성-투약관리-감염심각성
      - 급성통증-통증관리-통증수준
      - 지식부족-교육:수술 전-지식:질병과정
      -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절개부위 간호-상처치유:일차유합
      - 고체온-투약관리-체온조절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대상자 사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 고령, 기저질환 보유자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많이 입원하였으며, 가장 많은 대상자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입원한 수술명은 슬관절치환술로 나타났다
      3. 총 700명의 전체 대상자에게 감염위험성 진단이 100% 적용되었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감염위험성, 급성통증,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3가지 진단이 입원 대상자 전원에게 적용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입원한 대상자의 50% 이상에게 적용된 간호진단은 23개 중 16개로 나타났으나, 일반 병동에서는 4가지 진단 만이 50% 이상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5.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통증관리, 진통제 투여, 피부 감시, 투약관리, 투약: 근육, 교육: 수술 전, 교육: 절차/치료 등 7개 항목에서 대상자 전원에게 수행되었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중재 62개 중 58개의 간호중재가 50%를 넘는 대상자에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 병동에서는 62개 중 13개의 중재만 50%를 넘는 대상자에게 적용되어 큰 차이를 보였다.
      6.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통증수준, 감염심각성, 상처치유:일차유합에서 100%(211명)로 나타났으며 31개의 간호결과 중 28개의 간호결과가 대상자의 50% 이상에서 적용된 반면, 일반 병동에서는 32개 중 8개만 50% 이상의 대상자에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반 병동보다 다빈도로 간호결과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근골격계 질환으로 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통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반병동보다 총체적‧체계적 간호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이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 간호사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간호사가 과학적으로 간호과정을 계획하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간호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요구를 확인하고 개별적‧총체적 전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군에 특화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적용해야하며, 연계체계가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이와 같은 표준간호언어체계가 반복적인 분석, 검토를 통하여 세분화되어 우리나라의 임상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입원 대상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병동과 시행하지 않는 일반 병동에서 ...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입원 대상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병동과 시행하지 않는 일반 병동에서 적용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 중인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골격계 수술을 받은 대상자를 계통표집하였으며, 연구자가 간호기록 열람을 통하여 연구도구를 활용, 적용된 항목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진단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NANDA-I에서 선별된 23개의 항목, 간호중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NIC에서 선별된 61개 항목, 간호 결과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NOC에서 선별된 31개 항목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700명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연구 대상자에게 최다빈도로 적용된 간호진단과 이에 대한 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 감염위험성-투약관리-감염심각성
      - 급성통증-통증관리-통증수준
      - 지식부족-교육:수술 전-지식:질병과정
      -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절개부위 간호-상처치유:일차유합
      - 고체온-투약관리-체온조절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대상자 사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 고령, 기저질환 보유자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많이 입원하였으며, 가장 많은 대상자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입원한 수술명은 슬관절치환술로 나타났다
      3. 총 700명의 전체 대상자에게 감염위험성 진단이 100% 적용되었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감염위험성, 급성통증,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3가지 진단이 입원 대상자 전원에게 적용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입원한 대상자의 50% 이상에게 적용된 간호진단은 23개 중 16개로 나타났으나, 일반 병동에서는 4가지 진단 만이 50% 이상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5.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통증관리, 진통제 투여, 피부 감시, 투약관리, 투약: 근육, 교육: 수술 전, 교육: 절차/치료 등 7개 항목에서 대상자 전원에게 수행되었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중재 62개 중 58개의 간호중재가 50%를 넘는 대상자에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 병동에서는 62개 중 13개의 중재만 50%를 넘는 대상자에게 적용되어 큰 차이를 보였다.
      6.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통증수준, 감염심각성, 상처치유:일차유합에서 100%(211명)로 나타났으며 31개의 간호결과 중 28개의 간호결과가 대상자의 50% 이상에서 적용된 반면, 일반 병동에서는 32개 중 8개만 50% 이상의 대상자에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반 병동보다 다빈도로 간호결과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근골격계 질환으로 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통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반병동보다 총체적‧체계적 간호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이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 간호사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간호사가 과학적으로 간호과정을 계획하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간호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요구를 확인하고 개별적‧총체적 전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군에 특화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적용해야하며, 연계체계가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이와 같은 표준간호언어체계가 반복적인 분석, 검토를 통하여 세분화되어 우리나라의 임상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5
      • C.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9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5
      • C.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9
      • A. 근골격계 질환 수술 대상자 간호 9
      • B.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 12
      • C.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6
      • Ⅲ. 연구방법 20
      • A. 연구설계 20
      • B. 연구대상 20
      • C. 연구도구 22
      • D. 자료 수집 방법 24
      • E. 자료 분석 방법 25
      • F. 연구의 제한점 25
      • G. 윤리적 고려 26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7
      •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7
      • B.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 30
      • C.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40
      • D.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간호진단과 간호진단별 관련요인, 간호진단별 특성 정의 비교 44
      • E.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간호중재 비교 50
      • F.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간호결과 비교 57
      • Ⅴ. 결론 및 제언 62
      • A. 결론 62
      • B. 제언 66
      • 부록 67
      • 참고문헌 112
      • ABSTRACT 1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