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5~6세기 신라 석곽옹관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7243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 역사학과 , 2007. 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A) Study on Silla Seokgwak Onggwan Myo in 5~6th Century

      • 형태사항

        ⅲ, 12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노중국
        참고문헌 : p. 110-113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5~6세기대의 석곽옹관묘는 전기의 토광옹관묘에서 계기적으로 발전한 묘제의 한 예이다. 석곽옹관묘는 신라, 가야, 백제지역에서 출현하고 있으나, 신라식 토기가 출현하는 낙동강이동지...

      5~6세기대의 석곽옹관묘는 전기의 토광옹관묘에서 계기적으로 발전한 묘제의 한 예이다. 석곽옹관묘는 신라, 가야, 백제지역에서 출현하고 있으나, 신라식 토기가 출현하는 낙동강이동지역에서 특히 많이 조영되어 있어 이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낙동강동안지역에도 석곽옹관묘만 축조되는 지역과 토광옹관묘와 혼재한 지역이 나타났는데, 대체로 일찍이 신라영역에 편입된 대구·경산· 칠곡· 의성· 상주지역에서는 석곽옹관묘가 축조되었으며, 부산·김해· 울산 등 영남의 남동해안일원에서는 석곽옹관묘와 토광옹관묘가 혼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석곽옹관묘는 축조와 배치에 따라서 독립묘, 부곽, 배묘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묘형에 따라 각기 독자적인 장법이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즉 단독장, 배장, 순장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고에서는 석곽옹관묘의 발생과 더불어 묘혀의 변화에 따른 배치관계를 살피고, 배치관계에 따라 묘형별로 성격규명을 하였다. 특히 전통적으로 이어져오는 토광옹관묘에서 계기적인 변화의 주안점은 무엇인가 하는 점과 독립묘식, 부곽식, 배묘식의 변화를 통시적인 관점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또한 장법과 관련하여 독립장, 순장, 배장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한 하나의 묘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석곽옹관묘는 독립묘식, 배묘식으로 많이 축조되었으며, 일부는 부곽식으로도 축조되었다. 유구 배치상의 주·부곽구조에 부곽에 옹관이 안치되었다는 점은 순장(殉葬)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순장은 고대 우리나라에서 이어져 오던 매장습속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신라 지증왕 3년에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순장을 금지하였다. 이와 같이 순장의 금지는 단순히 사회변화의 반영이라기보다는 전반적인 사회변화중 하나의 계기라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분의 규모에서 변화가 있었고, 신라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 간적적인 규제의 결과로 보인다. 이 과정에 석곽옹관묘 일부는 부곽식으로 축조되었다.
      부곽식 석곽옹관묘에서 순장은 일부는 시신을 매납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을 것이고, 하나는 관습적으로 이어져오는 행위를 단절할 수 없는 관계로 부곽식 구조에 옹관만 안치하는 형식적인 순장이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옹관장의 피장자는 대부분이 유아 또는 소아로 보았으나, 옹관의 규모를 볼 때 큰 항아리 등이 관으로 이용되었을 경우는 성인도 매장되었을 가능성은 있다. 배장된 피장자는 대체로 부모보다는 조부모의 묘에 묻혔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싶다.
      석곽옹관묘의 피장자와 순장관계, 실제 매장과 형식적 매장 등은 관해서는 자료적인 부족으로 인하여 다음 과제로 두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okgwak Onggwan Myo(dolmen pottery tomb) in 5~6 century is an example of tomb system that is developed moment by moment from the Togwang Onggwan Myo(soil pottery tomb). Seokgwak Onggwan Myo appears in Silla, Gaya and Baekje region. It is especial...

      The Seokgwak Onggwan Myo(dolmen pottery tomb) in 5~6 century is an example of tomb system that is developed moment by moment from the Togwang Onggwan Myo(soil pottery tomb). Seokgwak Onggwan Myo appears in Silla, Gaya and Baekje region. It is especially constructed a lot at Idong area around Nakdong river where Silla style pottery appears and this is a cultural characteristic peculiar to this region. However there are regions where only Seokgwak Onggwan Myo is constructed and regions where it is mixed with Togwang Onggwan Myo. Generally Seokgwak Onggwan Myo was constructed in daegu, Gyeongsan, Chilgok, Euiseong and Sangju regions that were assigned earlier to Silla region, and Seokgwak Onggwan Myo was mixed with Togwang Onggwan Myo at the whole area of Southeastern coast of Yeongnam like Busan, Gimhae and Ulsan.
      Seokgwak Onggwan Myo is classified as independent tomb, Bugwak and Baemyo depending on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riginal burial method was carried out depending on the type of tomb. There are independent tomb, Baejang and Sunjang in order.
      This study considered the origination of Seokgwak Onggwan Myo,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omb's typ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tomb. Especially it tried to find what is the keynote of momentary change in Togwang Onggwan Myo handed down traditionally, and the change of independent tomb style, Bugwak style and Baemyo style in diachronic method. It also tried to define the conception of independent burial, Sunjang burial and Baejang burial clearly and to explain a tomb system through it.
      Seokgwak Onggwan Myo was constructed a lot in independent tomb style and Baemyo style, and some in Bugwak style. As for the main and side tomb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remains, as pottery is laid in Bugwak(the side tomb), it may well do to see it as Sunjang(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e Sunjang is one of customs of burial handed down from the ancient time. The wide-spreaded Sunjang in the society was prohibited at the 3rd year of King Silla Jijeung's reign. Such prohibition seems to be a general social change rather than a simple reflection of it.
      In this respect, there was a change on the level of the size of tomb that had effect on the whole society directly or indirectly, and it seemed to be resulted from direct or indirect regulations. In this process, some of Seokgwak Onggwan Myo was constructed in Bugwak style.
      As for Seokgwak Onggwan Myo in Bugwak style, part of Sunjang might be implemented in the way of burying dead body. Another way of Sunjang, however, can not be excluded. That is Sunjang in the way of laying only the pottery within the structure of Bugwak style, since the traditional behavior can not be broken off.
      Existing studies saw that the buried in pottery might mostly be infants or little child. However, as for the size of pottery, adult can be buried when a big pottery is used as coffin. In case of Baejang(rear burial), the buried might be buried in the tomb of grand parents rather than that of parents.
      Concerning Seokgwak Onggwan Myo, the relation between the buried and Sunjang, real burial and formal burial are still remained for the following researchers because of the lacking sour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1
      • 2. 연구사 검토와 연구방법 = 4
      • 2.1. 연구사검토 = 4
      • 2.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8
      • 3. 석곽옹관묘 유적 자료 검토 및 분석 = 12
      • 1. 머리말 = 1
      • 2. 연구사 검토와 연구방법 = 4
      • 2.1. 연구사검토 = 4
      • 2.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8
      • 3. 석곽옹관묘 유적 자료 검토 및 분석 = 12
      • 3.1 유적 자료 검토 = 12
      • 3.2 석곽옹관묘 유적 분석 = 43
      • 4. 석곽옹관묘의 유형분류 = 47
      • 4.1 獨立墓式(도면11) = 51
      • 4.2 副槨式(도면 12, 13) = 54
      • 4.3 倍墓式(도면 14∼15) = 58
      • 5. 석곽옹관묘의 발생과 전개 = 62
      • 5.1 석곽옹관묘의 발생 = 62
      • 5.2 석곽옹관묘의 전개 = 66
      • 6. 석곽옹관묘의 성격과 편년 = 74
      • 6.1 석곽옹관묘의 성격 = 74
      • 6.2 석곽옹관묘 유적 편년 = 85
      • 7. 맺음말 = 94
      • 참고문헌 = 110
      • Abstract = 114
      • 초록 =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