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spent an eventful life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y when the Joseon Dynasty was losing its sovereignty. In the situation of the turbulent period marked by the collapse of traditions and the l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83900
나종선 (원광대학교)
2015
Korean
Dohak(道學) ; Tobonmunmal(道本文末) ; general knowledge of the world(世敎) ; Ganjae(艮齋) ; morals(道德). ; 간재 전우 ; 도학 ; 도본문말 ; 세교 ; 문학관 ; 서발문.
KCI등재
학술저널
403-424(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spent an eventful life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y when the Joseon Dynasty was losing its sovereignty. In the situation of the turbulent period marked by the collapse of traditions and the lo...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spent an eventful life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y when the Joseon Dynasty was losing its sovereignty. In the situation of the turbulent period marked by the collapse of traditions and the loss of national power as a result of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intellects in those days had a consciousness of crisis and coped with the situation in various ways. Ganjae might deliberate on what the scope of practice of principles was to humans, and how far the actions of Confucian scholars should reach in such a troubled time. Ganjae(艮齋)’s scholarship was practical science for opening a new era by re‐creating and developing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until that time, and it provided a ground for establishing the modern value of Neo‐Confucianism.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Ganjae Society and active studies on his Confucian ideas and Neo‐Confucianism, the significances of Ganjae’s thoughts are newly illuminated. While most of previous research works focused on his Neo‐Confucianism,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his literature although he left a large number of poems and prosaic writings and therefore his literary character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Ganjae wrote 92 prologues and 186 epilogues. In the extensive prologues and epilogues, it is believed that Ganjae recorded solutions to break through the national cris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find the viewpoint penetrating the general knowledge of the world (世敎) and his consciousness of self‐discipline, which he, as a scholar who turned his back on the world and pursued study, wanted to transmit to his descendents through his prologues and epilogues. Literature is merely a minor artistic skill but it has the power to rule the temper and to spread public morals infinitely throughout the world. From the viewpoint that literature contributes to people’s ethics and conversion in such an unprecedented troubled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expressing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explored how Ganjae’s view of literature as a means to transmit the way, which Ganjae thought, was expressed through ‘Tobonmunmal (道本文末-The way is first and literature is the next).’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hat his intention that he wanted to disclose clearly like the sun and the moon will be revealed and that the literary character of his prose will also be explained.
국문 초록 (Abstract)
艮齋 田愚(1841~1922)는 조선왕조가 국권을 상실하는 역사의 전환기에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학자이다. 간재는 序 92편과 跋 186편의 序跋文을 썼는데, 그 중 ‘世敎’와 관련한 것이 16편, ‘...
艮齋 田愚(1841~1922)는 조선왕조가 국권을 상실하는 역사의 전환기에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학자이다. 간재는 序 92편과 跋 186편의 序跋文을 썼는데, 그 중 ‘世敎’와 관련한 것이 16편, ‘道本文末’에 관련한 것이 15편이다. 序跋文에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 그것을 타개할 타개책이 들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는 간재의 序跋文을 통하여 스스로 세상을 등지고 講學에 진력하여 후세에 도를 전하고자 하였던 그의 수도의식과 세교가 일맥상통하는 관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未曾有의 난세를 맞이하여 문학이 백성의 윤리와 감화에 보탬이 된다는 관점에서 ‘世敎의 발현 양상’과 ‘道本文末의 文藝觀’을 통해 간재가 생각한 도의 전달 매체로서의 문학관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구한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유자로써 간재 스스로가 짊어졌던 책무가 무엇이었는지 확인해보았다.
간재는 세교를 통해 도학이 바로서야 국가가 존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올바른 선비의 양성이 세교인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들을 교육해야만 나라를 다시 세울 수 있다고 보았다.
글 짓는 참된 자세에 대하여 문장은 화려함을 뽐내는 것이 아니라, 덕과 의로부터 나와야 되고, 공명과 이욕을 쫓는 모습이 없어야 되고, 또한 모든 문장과 글은 도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간재의 생각을 확인하였다.
간재는 도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실천하여 맥을 잇고자 하는 신념이 있었다. 세교와 도학사상은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도민재, "추담별집에 나타난 간재의 의리정신" 간재학회 4 : 2004
3 노진한, "조선전기 글쓰기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 : 1999
4 금장태, "조선시대 선비 정신 연구" 사계절 1997
5 김일환, "선비정신의 현대적 모색" 동양문화연구원 16 : 89-120, 2013
6 최해숙, "나와 규범: 극기 복례" 동양철학연구학회 26 : 2001
7 하정화, "고려시대 유가 문예관의 형성과 전개" 한국미학회 43 (43): 36-68, 2005
8 오종일, "간재학의 현대 한국사상사적 위치" 간재학회 6 : 2007
9 "莊子"
10 "艮齋集"
1 "論語"
2 도민재, "추담별집에 나타난 간재의 의리정신" 간재학회 4 : 2004
3 노진한, "조선전기 글쓰기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 : 1999
4 금장태, "조선시대 선비 정신 연구" 사계절 1997
5 김일환, "선비정신의 현대적 모색" 동양문화연구원 16 : 89-120, 2013
6 최해숙, "나와 규범: 극기 복례" 동양철학연구학회 26 : 2001
7 하정화, "고려시대 유가 문예관의 형성과 전개" 한국미학회 43 (43): 36-68, 2005
8 오종일, "간재학의 현대 한국사상사적 위치" 간재학회 6 : 2007
9 "莊子"
10 "艮齋集"
11 나종선, "艮齋 田愚의 記文 硏究" 동방한문학회 51 (51): 143-164, 2012
12 나종선, "艮齋 田愚의 守道意識과 出處觀 考察"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55-476, 2008
13 나종선, "艮齋 田愚의 守道意識과 出處觀 考察"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55-476, 2008
14 나종선, "艮齋 田愚의 ‘書簡文’에 나타난 義理精神과 抗日意識 考察" 동방한문학회 (43) : 87-106, 2010
15 나종선, "艮齋 田愚의 ‘傳’에 대한 文藝的 考察" 동방한문학회 36 (36): 155-181, 2008
16 "書經"
韓國 漢詩에 나타난 出塞詩의 受用과 變異 -反擬古的 出塞詩를 중심으로-
隋代의 文學 作品 속에 보이는 高句麗 -「無向遼東浪死歌」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