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월, "훈민정음에 대한 중국운서의 영향 관계 연구 - 삼대어문정책을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회 (50) : 256-274, 2009
2 James Scarth Gale, "한영뎐(韓英字典)" The Fukuin Printing Co., LT. 1911
3 James Scarth Gale, "한영대자전"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1931
4 리델, "한어문전, Grammaire Coreenne"
5 권재일, "한국어 문법의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6 고영근, "한국 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7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알기》를 중심으로" 언어학회 2 (2): 1977
8 서민정, "주변어로서 조선어, ‘국어’ 되기" 인문학연구소 65 : 7-31, 2009
9 서민정, "주변부 국어학의 재발견을 위한 이극로 연구 ― 국가어로서 ‘국어’ 형성에서 역할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5) : 323-348, 2009
10 이근수, "조선조의 어문 정책 연구" 개문사 1979
1 이영월, "훈민정음에 대한 중국운서의 영향 관계 연구 - 삼대어문정책을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회 (50) : 256-274, 2009
2 James Scarth Gale, "한영뎐(韓英字典)" The Fukuin Printing Co., LT. 1911
3 James Scarth Gale, "한영대자전"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1931
4 리델, "한어문전, Grammaire Coreenne"
5 권재일, "한국어 문법의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6 고영근, "한국 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7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알기》를 중심으로" 언어학회 2 (2): 1977
8 서민정, "주변어로서 조선어, ‘국어’ 되기" 인문학연구소 65 : 7-31, 2009
9 서민정, "주변부 국어학의 재발견을 위한 이극로 연구 ― 국가어로서 ‘국어’ 형성에서 역할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5) : 323-348, 2009
10 이근수, "조선조의 어문 정책 연구" 개문사 1979
11 문세영, "조선어 사전" 조선어사전 간행위원회 1938
12 홍기문, "조선문전요령"
13 유길준, "조선문전"
14 임영철, "일본의 언어 계획 및 언어정책" 한국사회언어학회 6 (6): 1998
15 Samir Amin, "유럽 중심주의" 세종출판사 2000
16 최낙복, "유 길준 문법의 형태론 연구" 동아대학교 어학연구소 10 : 1995
17 梁啓超, "월남망국사" 태학사 2007
18 김희상, "울이글틀"
19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함께 2006
20 Edward W. Sai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7
21 야스다 도시아키(安全敏朗), "언어의 구축" 제이앤씨출판사 2009
22 정열모, "신편 고등국어문법" 한글문화사 1946
23 이규방, "신찬 조선어법"
24 강내희, "식민지시대 영어교육과 영어의 사회적 위상" 영미문학연구회 18 : 262-291, 2005
25 유길준, "서평: 유 길준(1909), 대한문전" 박이정 173-187, 2000
26 이한섭, "서유견문(어휘색인)" 박이정 2000
27 유길준, "서유견문" 일조각 1971
28 이병근, "서양인 편찬의 개화기 한국어 대역사전과 근대화―한국 근대 사회와 문화의 형성과정에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8 : 1-31, 2001
29 강정인, "서구 중심주의를 넘어서" 아카넷 2004
30 중앙일보사 부설 동서문제연구소, "북한 인명사전" 중앙일보사 1990
31 채백, "독립신문의 참여 인물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135-161, 2006
32 유길준, "대한문전"
33 류대영, "대한 성서공회사 Ⅱ" 대한성서공회 66-67, 1994
34 최낙복, "김희상 문법의 통어론 연구" 이중언어학회 (28) : 391-414, 2005
35 황화상, "김희상 문법의 재조명-「울이글틀」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2) : 29-54, 2004
36 서민정, "근대 지식인의 언어 인식: 언어 관련 저서의 머리말 역주를 통해" 박이정 2009
37 강영주, "국학자 홍기문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68) : 154-198, 2004
38 주시경, "국어문법" 박문서관 1910
39 이연숙, "국어라는 사상" 소명출판사 2006
40 이병근, "개화기의 어휘 정리와 사전 편찬" 주시경연구소 1 : 1988
41 송민, "개화기의 어휘 개신에 대하여" 국민대학교 11 : 1992
42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5 : 65-84, 1984
43 류대영, "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44 서민정, "개화기 우리말 기술에 반영된 서구 언어적 시각―『한불자뎐』과 『한영자뎐』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283) : 155-185, 2009
45 송민, "개화기 신문명 어휘의 성립 과정" 국민대학교 8 : 1989
46 류방란, "개화기 배재학당의 교육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사학회 8 : 161-200, 1998
47 김형철, "개화기 국어 연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7
48 박영섭, "개화기 국어 어휘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11 : 161-176, 2002
49 송민, "갑오경장기의 어휘" 국립국어연구원 4 (4): 1994
50 Horace Grant Underwood, "韓英字典" Kelly & Walsh 1890
51 Les Missionnaires de Corée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韓佛字典" C. Lévy, Imprimeur-Libraire 1880
52 이병근,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33, 2003
53 梁明姬, "洪起文의 국어 문법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73-92, 2002
54 고영근, "兪吉濬의 國文觀과 社會思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05-426, 2004
55 한재영, "兪吉濬과 『大韓文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55-475, 2004
56 정승철, "『국어문법』(주시경)과 English Lessons" 국어국문학회 134 : 73-88,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