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2가사의 음악적 형식을 살펴본 것이다. 여러 마루로 이루어진 12가사의 특성에 따라 마루의 형식 구조와 마루의 반복에 따른 형식 구조를 함께 살펴 그 형식을 새롭게 정의해보고...
본 연구는 12가사의 음악적 형식을 살펴본 것이다. 여러 마루로 이루어진 12가사의 특성에 따라 마루의 형식 구조와 마루의 반복에 따른 형식 구조를 함께 살펴 그 형식을 새롭게 정의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2가사의 마루는 악구 수에 따라 3악구형, 4악구형, 6악구형, 8악구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특정 주제나 기능을 가진 2-3개의 단락들로 인해 2 부분 형식 또는 3부분 형식을 취하였다. 2부분 형식은 ‘전렴+후렴’, ‘환두+ 환입’, ‘전부+후부’, 3부분 형식은 ‘전부+중부+후부’, ‘전부+후부+후부’, ‘전렴1+전렴2+후렴’, ‘전렴+전렴+전렴(후렴)’으로 구성되었다. 마루의 반복 구조에 따라 12가사는 유절형식과 변형유절형식으로 나뉘었다. <죽지사>와 <권주가>만 유절형식이고, 나머지는 변형유절형식에 해당되었다. 이중 변형유절형식은 다시 원 마루, 변주 마루, 새로운 선율 마루의 배열 관계에 따라 단순 교차형, 반복 교차형, 순환 교차형, 머리 삽입형, 꼬리 삽입형으로 세분화되었다. 마루의 형식 구조와 마루의 반복에 따른 형식 구조를 종합하여 12가사의 형식을 정의한 결과, 예를 들어 <황계사>는 “3악구형의 마루로 된 ‘후렴이있는 변형유절형식’으로, 원 마루와 변주 마루가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1단형식”이고, <수양산가>는 “3악구형의 마루로 된 ‘환입이 있는 변형유절형식’ 으로, 새로운 선율 마루가 꼬리에 삽입된 3단 형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설명 방식은 12가사의 형식 구조를 보다 포괄적이고 입체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식과 차별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