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개발기금의 규모 예측 및 운영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the size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and suggestions for operational improvement: Focusing on Gyeonggi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8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개발기금의 현황과 정책적 필요성을 분석하고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개발기금에 대한 역사적 변천과정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개발기금을 둘러싼 이슈 및 정책적 기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현재 지역개발기금의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지역개발기금의 미래 채권 발행과 융자규모 및 수익성을 예측하고, 사회정책적 효용성을 검토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채권발행 규모 감소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고 융자규모 또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기금규모와 순이익에 대한 다양한 추정방식 통해 예측한 결과, 기금의 순손실과 고갈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지역개발기금이 갖고 있는 사회정책적 효용성을 살펴보면 지방자치 원리에 부합하며, 지역 재원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주민 후생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유용성을 갖는 정책으로 평가된다. 지역개발기금은 복지증진을 위한 투자사업에 적절히 활용되며, 세대 간 형평성을 높이고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개발 채권의 의무매입 대상과 이자율 조정, 계약기준의 조정, 기금 조성 상한제 및 융자대상 확대 등의 개선사항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채권 의무매입 검토와 소상공인에 대한 경제적 부담 경감 등을 고려해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할 때 지역개발 기금들을 운영하는 지방정부들은 제시된 정책적 제언들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통해 지역개발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사회적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개발기금의 현황과 정책적 필요성을 분석하고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개발기금에 대한 역사적 변천과정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개발기금의 현황과 정책적 필요성을 분석하고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개발기금에 대한 역사적 변천과정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개발기금을 둘러싼 이슈 및 정책적 기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현재 지역개발기금의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지역개발기금의 미래 채권 발행과 융자규모 및 수익성을 예측하고, 사회정책적 효용성을 검토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채권발행 규모 감소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고 융자규모 또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기금규모와 순이익에 대한 다양한 추정방식 통해 예측한 결과, 기금의 순손실과 고갈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지역개발기금이 갖고 있는 사회정책적 효용성을 살펴보면 지방자치 원리에 부합하며, 지역 재원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주민 후생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유용성을 갖는 정책으로 평가된다. 지역개발기금은 복지증진을 위한 투자사업에 적절히 활용되며, 세대 간 형평성을 높이고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개발 채권의 의무매입 대상과 이자율 조정, 계약기준의 조정, 기금 조성 상한제 및 융자대상 확대 등의 개선사항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채권 의무매입 검토와 소상공인에 대한 경제적 부담 경감 등을 고려해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할 때 지역개발 기금들을 운영하는 지방정부들은 제시된 정책적 제언들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통해 지역개발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사회적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related to regional development funds, elucidating the policy necessity of these funds and proposing improvements for their management. Theoretical discussions on local funds and a status analysis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were conducted, alongside investigations of similar international cases. This research also includes predictions of the bond issuance size and profitability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heir socio-policy ut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stimated outcomes of bond issuance, lending size, and profitability could vary significantly based on the analytical method, indicating the need for preparedness against a potential decrease in bond issuance sizes. By 2030, the fund's lending size is projected to be less than that of 2022, and depending on the estimation method, there is a possibility of net losses and depletion of funds. The theoretical and policy utility of the regional development funds reveals their substantial social benefit, aligning with principles of local autonomy and efficient allocation of regional resources to enhance resident welfare. Additionally, the funds internalize external diseconomies and are being appropriately utilized in investment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welfare improvement. The funds also contribute to intergenerational equity in public goods consumption and are expected to yield budget savings by ensuring adequate public goods supply.
      Nevertheless, the study identifies a need for improvement and review in several areas. A meticulous examination and flexible adjustment of the compulsory purchase target group for regional development bonds is necessary. The mandatory purchase of bonds should be maintained, but adjustments in targets and criteria during economic downturns are warranted. A positive reassessment of the mandatory purchase of bonds for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is suggested, as they use and congest regional roads, increasing the financial needs for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djustments to the interest rates of regional development bonds to reflect benchmark interest rates may increase conformity to regional development fund policies and alleviate critical public opinion. Revisions to the purchase standards for regional development bonds, including exemption from mandatory purchase for small-scale contracts, could relieve the economic burden on small businesses. Last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cap on the cre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and expanding lending targets to ensure that the fund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ir intended purpose and to invigorate them through loans for private sector project initiatives.
      번역하기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related to regional development funds, elucidating the policy necessity of these funds and proposing improvements for their management. Theoretical discussions on local fund...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related to regional development funds, elucidating the policy necessity of these funds and proposing improvements for their management. Theoretical discussions on local funds and a status analysis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were conducted, alongside investigations of similar international cases. This research also includes predictions of the bond issuance size and profitability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heir socio-policy ut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stimated outcomes of bond issuance, lending size, and profitability could vary significantly based on the analytical method, indicating the need for preparedness against a potential decrease in bond issuance sizes. By 2030, the fund's lending size is projected to be less than that of 2022, and depending on the estimation method, there is a possibility of net losses and depletion of funds. The theoretical and policy utility of the regional development funds reveals their substantial social benefit, aligning with principles of local autonomy and efficient allocation of regional resources to enhance resident welfare. Additionally, the funds internalize external diseconomies and are being appropriately utilized in investment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welfare improvement. The funds also contribute to intergenerational equity in public goods consumption and are expected to yield budget savings by ensuring adequate public goods supply.
      Nevertheless, the study identifies a need for improvement and review in several areas. A meticulous examination and flexible adjustment of the compulsory purchase target group for regional development bonds is necessary. The mandatory purchase of bonds should be maintained, but adjustments in targets and criteria during economic downturns are warranted. A positive reassessment of the mandatory purchase of bonds for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is suggested, as they use and congest regional roads, increasing the financial needs for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djustments to the interest rates of regional development bonds to reflect benchmark interest rates may increase conformity to regional development fund policies and alleviate critical public opinion. Revisions to the purchase standards for regional development bonds, including exemption from mandatory purchase for small-scale contracts, could relieve the economic burden on small businesses. Last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cap on the cre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funds and expanding lending targets to ensure that the fund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ir intended purpose and to invigorate them through loans for private sector project initia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재 ; 박현환, "지역정보를 통해 본 한국에서 티부가설 적용의 함의: 지역개발기금 공채부과율 인하 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1 (21): 1-20, 2018

      2 서정섭 ; 김태영, "지역개발기금제도의 합리적 운영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7 (7): 99-124, 2002

      3 이용환, "지역개발기금제도의 운영성과와 과제" (3) : 12-27, 2016

      4 양지숙, "지역개발기금의 운용실태 및 감사시사점" 감사연구원 2020

      5 이희재, "지역개발기금 재원 조달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 : 28-43, 2016

      6 경기도, "지역개발기금 운영현황(2012-2022년)"

      7 이현우 ; 민병길 ; 가선영, "지방자치단체 지역개발기금의 효율적 운영방안: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24 (24): 149-180, 2019

      8 허명순, "지방자치단체 기금운용 실태 분석" 감사연구원 2012

      9 권순현, "지방기금 운용 효율화를 위한 개선과제" 이화사회과학원 20 : 93-132, 2008

      10 김중은,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해체 후 관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9

      1 이희재 ; 박현환, "지역정보를 통해 본 한국에서 티부가설 적용의 함의: 지역개발기금 공채부과율 인하 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1 (21): 1-20, 2018

      2 서정섭 ; 김태영, "지역개발기금제도의 합리적 운영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7 (7): 99-124, 2002

      3 이용환, "지역개발기금제도의 운영성과와 과제" (3) : 12-27, 2016

      4 양지숙, "지역개발기금의 운용실태 및 감사시사점" 감사연구원 2020

      5 이희재, "지역개발기금 재원 조달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 : 28-43, 2016

      6 경기도, "지역개발기금 운영현황(2012-2022년)"

      7 이현우 ; 민병길 ; 가선영, "지방자치단체 지역개발기금의 효율적 운영방안: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24 (24): 149-180, 2019

      8 허명순, "지방자치단체 기금운용 실태 분석" 감사연구원 2012

      9 권순현, "지방기금 운용 효율화를 위한 개선과제" 이화사회과학원 20 : 93-132, 2008

      10 김중은,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해체 후 관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9

      11 이희재, "울산광역시 지역개발기금의 합리적 운영방안:적정 자동차 공채매입률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12 김정주, "노후 인프라 투자 촉진을 위한 지역개발기금 활용방안, 건설이슈포커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0

      13 이현우, "경기도 기금 활성화 및 운용개선방안 연구: 지역개발기금을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