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노년기 여성의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540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Effect of balance walking PT exercise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 and elderly women

      • 형태사항

        vii, 164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정현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36570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Research I and Research II—to identify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that middle-aged, old women underwent after they participated in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re briefly present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Research I involved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30 middle-aged women. During the exercise, we examined the following: physical characteristics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skeletal muscle mass); health fitness factor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lood lipid indicators (TG, TC, LDL-C, and HDL-C); and mental health (sentiment, adjustment to reality, and other area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With regards to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 Balance Walking PT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skeletal muscle mass. Moreover, th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which ar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indicating that such exercise improves th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of middle-aged women. Meanwhile, the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blood lipid indicators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G and TC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HDL-C; it also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LDL-C, but not significantly. Last, the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omain as a sub-factor of mental health change (positive distortion, inconsistency, depression, anxiety, panic attack, agoraphobia, obsess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bsessive and compulsive behaviors, PTSD, anger/attack, and physicalization); issues related to adapting to reality (psychosis); and other areas (suicide, addiction, sleep disorders, vulnerability to str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low controllabi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ear-induced anxiety in the emotional domain, or manic syndrome and paranoia in case the participants had issues related to adapting to reality. Therefore, the 12-week Balance Walking PT exercise is anticipated to be conducive to the subjects for main taining their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and should help any physical changes they undergo; it would also influence a positive change in the lipid metabolism levels, and enhance their mental health. ResearchⅡ involved conducting a balanced walking PT chair exercise twice a week for 36 weeks, with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Subse- quently, the effects on fall prevention physical strength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scale), physical characteristics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TG, TC, LDL-C, HDL-C, AIP, AI, and LCI),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skeletal muscle mass of elderly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Moreover, it did not affect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involving TC, LDL-C, HDL-C, and AI. However, regarding the changes in fall preventi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showing an improvement in the fall prevention physical strength of elderly women. With respect to physical characteristic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reduction in the values of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mass. There was also a positive effect on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in elderly women, as their blood TG was reduced and the rise in AIP and LCI levels was suppressed. Moreover, a positive change was noted in those suffering from depression. Regarding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th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such as motor ability, daily activities, self-management, pain/comfort, anxiety/depression. Consequently, the 36-week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helped elderly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to improve their physical strength for preventing falls.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36 weeks of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can help lower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lance Walking PT exercise program, in which customized setting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users' health status, is judged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wom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mproving their blood lipid indicators after crossing middle ag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Research I and Research II—to identify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that middle-aged, old women underwent after they participated in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using the 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Research I and Research II—to identify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that middle-aged, old women underwent after they participated in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re briefly present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Research I involved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30 middle-aged women. During the exercise, we examined the following: physical characteristics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skeletal muscle mass); health fitness factor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lood lipid indicators (TG, TC, LDL-C, and HDL-C); and mental health (sentiment, adjustment to reality, and other area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With regards to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 Balance Walking PT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skeletal muscle mass. Moreover, th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which ar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indicating that such exercise improves th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of middle-aged women. Meanwhile, the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blood lipid indicators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G and TC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HDL-C; it also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LDL-C, but not significantly. Last, the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omain as a sub-factor of mental health change (positive distortion, inconsistency, depression, anxiety, panic attack, agoraphobia, obsess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bsessive and compulsive behaviors, PTSD, anger/attack, and physicalization); issues related to adapting to reality (psychosis); and other areas (suicide, addiction, sleep disorders, vulnerability to str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low controllabi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ear-induced anxiety in the emotional domain, or manic syndrome and paranoia in case the participants had issues related to adapting to reality. Therefore, the 12-week Balance Walking PT exercise is anticipated to be conducive to the subjects for main taining their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and should help any physical changes they undergo; it would also influence a positive change in the lipid metabolism levels, and enhance their mental health. ResearchⅡ involved conducting a balanced walking PT chair exercise twice a week for 36 weeks, with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Subse- quently, the effects on fall prevention physical strength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scale), physical characteristics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TG, TC, LDL-C, HDL-C, AIP, AI, and LCI),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skeletal muscle mass of elderly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Moreover, it did not affect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involving TC, LDL-C, HDL-C, and AI. However, regarding the changes in fall preventi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showing an improvement in the fall prevention physical strength of elderly women. With respect to physical characteristic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reduction in the values of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mass. There was also a positive effect on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in elderly women, as their blood TG was reduced and the rise in AIP and LCI levels was suppressed. Moreover, a positive change was noted in those suffering from depression. Regarding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th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such as motor ability, daily activities, self-management, pain/comfort, anxiety/depression. Consequently, the 36-week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helped elderly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to improve their physical strength for preventing falls.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36 weeks of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can help lower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lance Walking PT exercise program, in which customized setting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users' health status, is judged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wom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mproving their blood lipid indicators after crossing middle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밸런스워킹PT 운동 참여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Ⅰ과 연구Ⅱ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Ⅰ은 중년기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2회 밸런스워킹PT 운동을 실시한 후, 신체적 특성(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 대사량, 골격근량), 건강 체력 요인(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혈중 지질 지표(TG, TC, LDL-C, HDL- C) 및 정신 건강(정서 영역, 현실 적응 문제 영역, 기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중년 여성의 신체적 특성 변화에서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 대사량, 골격근량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 체력 요인인 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중년기 여성의 건강 체력 요인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G, TC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C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지질 지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LDL-C의 농도 감소는 있었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정신 건강 변화의 하위 변인인 정서 영역(긍정왜곡, 비일관성, 우울, 불안, 공황발작, 임소공포, 강박, 강박증, 강박성격, PTSD, 분노/공격, 신체화)과 현실 적응 문제 영역(정신증), 기타 영역(자살, 중독, 수면문제, 스트레스 취약성, 대인민감성, 낮은 조절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서 영역의 공포불안과 현실 적응 문제 영역의 조증, 편집증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2주간의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중년 여성의 건강 관련 체력을 유지시켜 주었고, 신체적 변화와 지질 대사의 긍정적 수치 변화에 도움을 주었으며,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연구Ⅱ에서는 36주간 주 2회, 75세 이상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낙상 예방 체력(근력, 유연성, 균형척도), 신체적 특성(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골격근량), 혈중 지질 농도 및 동맥경화 지표(TG, TC, LDL-C, HDL-C, AIP, AI, LCI),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측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은 75세 이상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특성 중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의 수치를 감소시켰으나 골격근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예방 체력의 변화 중 근력, 유연성, 균형 척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노인 여성의 낙상 예방 체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인 TC, LDL-C, HDL-C, AI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혈중 TG를 감소시키고 AIP, LCI 수치의 상승을 억제하여 노인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군의 경우 우울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6주간의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은 75세 이상 노인 여성의 신체적 특성 및 낙상 예방 체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노년기 여성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밸런스워킹PT 운동 프로그램은 중년기 이후 여성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혈중 지질 지표를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밸런스워킹PT 운동 참여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Ⅰ과 연구Ⅱ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간략...

      본 연구는 밸런스워킹PT 운동 참여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Ⅰ과 연구Ⅱ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Ⅰ은 중년기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2회 밸런스워킹PT 운동을 실시한 후, 신체적 특성(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 대사량, 골격근량), 건강 체력 요인(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혈중 지질 지표(TG, TC, LDL-C, HDL- C) 및 정신 건강(정서 영역, 현실 적응 문제 영역, 기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중년 여성의 신체적 특성 변화에서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 대사량, 골격근량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 체력 요인인 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중년기 여성의 건강 체력 요인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G, TC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C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지질 지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LDL-C의 농도 감소는 있었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정신 건강 변화의 하위 변인인 정서 영역(긍정왜곡, 비일관성, 우울, 불안, 공황발작, 임소공포, 강박, 강박증, 강박성격, PTSD, 분노/공격, 신체화)과 현실 적응 문제 영역(정신증), 기타 영역(자살, 중독, 수면문제, 스트레스 취약성, 대인민감성, 낮은 조절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서 영역의 공포불안과 현실 적응 문제 영역의 조증, 편집증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2주간의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중년 여성의 건강 관련 체력을 유지시켜 주었고, 신체적 변화와 지질 대사의 긍정적 수치 변화에 도움을 주었으며,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연구Ⅱ에서는 36주간 주 2회, 75세 이상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낙상 예방 체력(근력, 유연성, 균형척도), 신체적 특성(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골격근량), 혈중 지질 농도 및 동맥경화 지표(TG, TC, LDL-C, HDL-C, AIP, AI, LCI),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측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은 75세 이상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특성 중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의 수치를 감소시켰으나 골격근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예방 체력의 변화 중 근력, 유연성, 균형 척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노인 여성의 낙상 예방 체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인 TC, LDL-C, HDL-C, AI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혈중 TG를 감소시키고 AIP, LCI 수치의 상승을 억제하여 노인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군의 경우 우울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6주간의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은 75세 이상 노인 여성의 신체적 특성 및 낙상 예방 체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노년기 여성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밸런스워킹PT 운동 프로그램은 중년기 이후 여성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혈중 지질 지표를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 문제 4
      • 4. 연구 제한점 5
      • Ⅰ. 서 론 1
      • 1. 연구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 문제 4
      • 4. 연구 제한점 5
      • 5. 조작적 정의 6
      • 1) 노인 여성 6
      • 2) 밸런스워킹PT(Physical Training & Personal Training) 6
      • 3) 낙상 예방 체력 6
      • Ⅱ. 문헌 고찰 7
      • 1. 중년기 이후 여성의 건강 문제 7
      • 2. 중년기 이후 여성의 신체활동 10
      • 3. 밸런스워킹PT(Physical Training & Personal Training) 12
      • 1) 밸런스워킹PT의 특성 13
      • 2) 밸런스워킹PT의 용어 14
      • Ⅲ. 12주간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년 여성의 건강 체력, 혈중 지질 지표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16
      • 1. 연구 필요성 16
      • 2. 연구 목적 및 연구 가설 18
      • 3. 연구 방법 19
      • 1) 연구 대상 19
      • 2) 연구 설계 20
      • 3) 측정 도구 및 방법 23
      • 4) 설문 도구 26
      • 5) 밸런스워킹PT 운동프로그램 27
      • 6) 자료 처리 30
      • 4. 연구 결과 및 고찰 30
      • 1)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년 여성의 신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30
      • 2)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년 여성의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35
      • 3)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년 여성의 혈중 지질 지표에 미치는 영향 39
      • 4)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년 여성의 정신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 43
      • 5. 결론 및 제언 53
      • Ⅳ. 36주간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55
      • 1. 연구 필요성 55
      • 2. 연구 목적 및 연구 가설 58
      • 3. 연구 방법 59
      • 1) 연구 대상 59
      • 2) 연구 설계 60
      • 3) 측정 도구 및 방법 63
      • 4)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프로그램 67
      • 5) 자료 처리 71
      • 4. 연구 결과 및 고찰 71
      • 1)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72
      • 2) 연구 참여자들의 건강 상태 및 건강 행태 73
      • 3)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76
      • 4)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이 노인 여성의 낙상 예방 체력에 미치는 영향 79
      • 5)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 미치는 영향 84
      • 6)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이 노인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89
      • 7)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이 노인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91
      • 5. 결론 및 제언 94
      • Ⅴ. 종합 결론 96
      • 참고문헌 99
      • 부 록 133
      • 국문초록 158
      • Abstract 1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건강교육, 김성찬, 서울: 온누리 출판사, , 2006

      2. 노인복지학, 장인협, 최성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6

      3. 운동생리학, 김대권, 김현권, 서울: 현문사, , 1999

      4. 임상비만학, 대한비만학회, 서울: 고려의학, , 2008

      5. 노화와 건강, 이정숙, 장경태, 서울: 대한미디어, , 1997

      6. 운동과 뇌 건강, 박인성, 코칭능력개발지, 9 (1), 21-30, , 2007

      7. 운동과 정신건강, 유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정기심포지엄 자료집, 1-39, , 1993

      8. Exercise and Immunology, Mackinnon , L. T., , 1992

      9.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본부, 2019년 국민건강통계. 153-155, , 2020

      10. 여성노인 건강관리, 이선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1992

      1. 건강교육, 김성찬, 서울: 온누리 출판사, , 2006

      2. 노인복지학, 장인협, 최성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6

      3. 운동생리학, 김대권, 김현권, 서울: 현문사, , 1999

      4. 임상비만학, 대한비만학회, 서울: 고려의학, , 2008

      5. 노화와 건강, 이정숙, 장경태, 서울: 대한미디어, , 1997

      6. 운동과 뇌 건강, 박인성, 코칭능력개발지, 9 (1), 21-30, , 2007

      7. 운동과 정신건강, 유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정기심포지엄 자료집, 1-39, , 1993

      8. Exercise and Immunology, Mackinnon , L. T., , 1992

      9.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본부, 2019년 국민건강통계. 153-155, , 2020

      10. 여성노인 건강관리, 이선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1992

      11. Sport and physical activity, European Commission, , 2018

      12. WHO신체활동권장지침,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증진총서 제3호, , 2012

      13. 폐경기, 노화와 비만, 여에스더, 대한비만학회지, 11(3), 289-298, , 2002

      14.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고영환, 이대택, 박현, 최대혁, 김상원, 장경태, 서울: 한미의학, , 2005

      15. 맨손체조의 원리와 구성, 김창국, 박성순, 서울: 대경북스, , 1999

      16. 모 성・여성건강 간호학, 고효정, 하영수, 강문정, 정금희, 배정이, 김일옥, 이경혜, 김영화, 김계숙, 서울: 신광, , 2003

      17.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양병창, 전겸구, 최상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 2001

      18. 세계로 가는 밸런스워킹PT, 김태민, 서울: 도서출판 북파크, , 2020

      19. 체육・스포츠와 건강과학, 서영환, 156-207, , 2010

      20.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통계청, 여성가족부, , 2017

      21. 2018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통계청, 여성가족부, , 2020

      22.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Grundy , S. M., 264 ( 23 ) , 3053-3059 ., , 1990

      23. 중년여성의 행복감 구조모형, 김수진, 을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15

      24. Significance of sarcopenia in the edlerly, Dutta , C., 27 , 992-993 ., , 1997

      25. 2017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www.prism.go.kr./, , 2017

      26. 노인 건강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설민신, 서울: 학문사, , 2000

      27. Physical Performance and Perceived exertion, Borg , G., , 1962

      28. 2020 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세종, , 2020

      29. 뇌혈관질환의 예측인자로서의 악력, 정석환, 김재현, 보건행정학회지, 29 (3), 303-311, , 2019

      3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김미혜, 정순둘, 이금룡, 한국노년학, 20 (3), 211-226, , 2002

      31. Menopause from the psychiatrist ’ s point of view, Achte , K., 49 , 1-17 ., , 1980

      32. 고혈압노인의 신체활동 유지 예측요인, 최진이, 이은주, 장애경, 근관절건강 학회지, 22(3), 228-235, , 2015

      33. Affective bene ficence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Morgan , W. P., 17 , 94-100, , 1985

      34.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WHO, , 2010

      35.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실태와 정책과제, 이윤환, 2012 보건복지포럼, 192, 40-51, , 2012

      36.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규범,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미간행논문, , 2005

      37.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 연구, 김용태, 김경은, 한국지방행정학 회, 13 (1), 123-142, , 2016

      38.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 분석, 권영문, 조욱상, 한국체육과학 회지, 24(6), 1339-1350, , 2015

      39. 신체활동 측정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양윤준, 가정의학회지, 25 (11), 380-382, , 2004

      40. 중년기 부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인과 질환, 김승조, 대한가정의학회지, 5(2), 1-9, , 1984

      41. Effects of exercise on stress in thai postmenopausal women ., Sunsern , R., 23 ( 8 ) , 924-932 ., , 2002

      42. EuroQoL-5 Dimension 한 국 가중치 모형의 적용 연구, 류소연, 이영훈, 김진희, 이정애, 최진수, 신민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1), 1-13, , 2009

      43. 사회경제적 건강불평등에 대한 생애적 접근법, 강영호, 예방의학회지, 38 (3), 267-275, , 2005

      44. 노인의 여가활동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희국, 현진희, 한국체육과 학학회지, 20 (2), 351-359, , 2011

      45. 운동과 정신건강.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심리학, 류호상,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편, 555-572, , 1997

      46.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수현, 허준수, 정신보건 과 사회복지, 13, 7-22, , 2002

      47. 여성의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현황 및 정책 방안, 김양례, 한태룡, 한국여성 체육학회지, 30(4), 105-124, , 2016

      48. 국민체조와 줄넘기운동의 운동강도에 관한 연구, 안응남, 한국체육학회지, 23 (1), 1141-1151, , 1986

      49. 생활체육활동의 사회인구학적 참여결정요인 분석, 최명섭, 김미옥, 고진수, 체육과학연구, 25(4), 701-712, , 2014

      50. 중년여성의 우울과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연구, 고정은,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2), 97-113, , 2002

      51. 2015 국민건강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 2016

      52. 요가 수련이 폐경기 여성의 정신거간에 미치는 영향, 안혜진, 허진영, 한국 체육과학회지, 16(2), 361-371, , 2007

      53. 어르신들, 겨울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 2020

      54. 중년여성의 스크린골프참여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김용주, 한국스포츠학 회지, 8 (1), 119-132, , 2010

      55.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보윤,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6. 밸런스워킹PT의 지도자와 학습자의 가치정향 비교분석, 정양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21

      57. 복합운동 참여가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범진, 양정옥, 황재심, 이중숙,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2), 177-183, , 2011

      58.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이용미, 김근면, 정유희, 한국콘텐츠학회지, 14(10), 570-582, , 2014

      59. 노인들의 신체운동 참여와 사회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 양성지, 한국체육학 회지, 57(1), 23-36, , 2018

      60.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홍권, 한성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10

      61. 고령 친화 홈트레이닝 운동 의자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이승연, 연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0

      62.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이현주, 노인복지 연구, (61), 291-318, , 2013

      63. 24주간의 규칙적 운동이 노인들의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해중, 김상우,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641-652, , 2005

      64. 농촌지역 관절염대상자를 위한 타이치운동 프로그램 효과, 최정숙, 이경숙, 이은희, 소애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 (1), 118-127, , 2010

      65.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adiponec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현, 동아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66. 장기간 복합운동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류호상, 손준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 (4), 183-195, , 2010

      67.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한 노후준비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최희정, 서순림, 성인간호학회지, 27 (5), 594-603, , 2015

      68. 20세 이상 한국인에서 상대 악력과 제2형 당뇨병과의 관련성, 최은영, 대한 임상건강증진학회, 19(2), 77-83, , 2019

      69. 한국무용의 미학적 구조연구: 양학적 사유 구조를 중심으로, 김용복,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70. 12주간의 요가운동이 고령 여성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유갑숙, 원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8

      71. 노인의 우울과 자가건강 수준, 사회적 지지 정도에 관한연구, 유원섭, 엄민경, 유인영, 노인간호학회지, 4 (2), 153-162, , 2002

      72. 성인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및 운동 강도에 대한 고찰, 박동호, 김창선, 김광준, 운동과학, 24(2), 99-107, , 2015

      73.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재일, 대구 한의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11

      74. 밸런스워킹PT 참여자의 운동 수행 및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노은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

      75. 생활무용이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 한국 스포츠리서치, 16(6), 449-458, , 2005

      76. 운동형태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유용권, 군산 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2003

      77. 노년기 여가스포츠가 욕구충족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덕, 한국 스포츠리서치, 15(4), 179-192, , 2004

      78. 중년기 여성의 우울증 분석과 치료방안 –인지치료 중심으로-, 최정우, 목원대 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2006

      79. 남자 중학생의 PEI 수준에 따른 체력, 신체조성 및 식습관의 차이, 송광섭, 권성진, 권선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 (2), 95-101, , 2011

      80. 여고생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 심폐지구력, 식이 섭취와의 관계, 홍예진, 성 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81. 전신진동운동이 노인의 균형, 근력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진환, 김영민, 대한물리의학회지, 12 (4), 61-71, , 2017

      82.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Radloff , L. S., 1 ( 3 ) , 385-401 ., , 1977

      83.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심폐기능,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최영희, 신윤희, 대한간호학회지, 26(2), 372-386, , 1995

      84. 노인만성질환자의 운동 참여가 신체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중철, 배종진, 박기덕, 허안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4), 313-318, , 2011

      85. 만성질환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만성질환유형을 중 심으로, 심옥수, 남상권, 노인복지연구, 53, 239-259, , 2011

      86. 발레 무용수의 공연직전 스트레칭이 근력과 유연성에 미치 는 영향, 김경래, 전태원, 김연수, 김승택, 김은경, 김광준, 김미연, 김기정, 김효중, 서한교, 김경배, 한국체육학회지, 44(6), 399-406, , 2005

      87. 한국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미숙, 정광조, 예술심리치료연구, 4(2), 199-225, , 2008

      88. 5주간 Pilates 매트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유 연성 미치는 영향, 홍순미, 양점홍, 이명수,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0(2), 185-190, , 2002

      89.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HRQoL ) inmarried working women, Son , Y . J., 19 ( 3 ) , 422-435, , 2007

      90. 노인체육 편: 운동유형이 노인여성의 체력과 균형능력에 미 치는 영향, 박현경, 조철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1), 663-670, , 2009

      91. 아쿠아로빅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 향, 박미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92. 비만중년여성들 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 만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김덕중, 조현철, 김형돈, 김종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 (2), 811-820, , 2011

      93. 장기간 운동이 여성 고령자의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성태, 우재홍, 엄우섭, 박상연, 이동기, 김연수, 강현주, 전태원, 박익렬, 체육과학연구, 15(2), 19-31, , 2004

      94. 16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체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추연경, 손준호, 코칭능력개발지, 14 (3), 105-114, , 2012

      95.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승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96.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건강관련요소에 미치는 영향, 이장원, 유현승,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6 (1), 95-107, , 2021

      97. 중년여성 우울증 완화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정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98.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human plasma ., Haskell , W. L., 12 , 204-244 ., , 1984

      99. 하타요가와 에어로빅이 중년여성의 신체효능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지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100. 밸런스워킹PT 운동 프로그램이 정적자세, 보행변인,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대성, 정남주, 김태민,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635-646, , 2020

      101. 라인댄스와 걷기운동이 비만여성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에 미치는 효과, 백군자, 하주영, 글로벌 건강과 간호, 10(1), 4-13, , 2020

      102.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양지, 이완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4(1), 41-50, , 2012

      103. 성인여성의 체지방률, BMI 및 허리둘레로 구분한 비만유형 간 신체구성의 비교, 김기진, 고진호,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5 (1), 1-7, , 2007

      104. 여성노인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 울에 미치는 영향, 전혜자, 김미량,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2), 15-27, , 2009

      105.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설정, 조은희, 이상원, 전진호,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4(3), 148-163, , 2000

      106. 복합 수중운동 전후 노년기 여성의 건강관련 체력, 인체측정학적 요 인의 차이, 이재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107. 복합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체 조성 및 CBC에 미치는 영향, 김종원, 김도연, 이정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8(2), 971-982, , 2014

      108. 서키트트레이닝이 중년여성 의 신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강신범, 서해근, 김상권, 나재철, 이상우, 김준모,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8 (1), 66-73, , 2000

      109. 유수용성 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속도, 일상생활 활 동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엄기매, 배영숙, 김난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2), 233-241, , 2009

      110.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신체조 성, 체력 및 피부건강에 미치는 효과, 강병용, 박재인, 이재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1085-1096, , 2016

      111. 장기간의 마라톤과 조깅이 노인 남성의 심혈관계 질환 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문희, 운동과학, 13 (4), 505-512, , 2004

      112. 24주간 운동이 고령여성의 신체기능 체력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노종철, 강설중, 백운효,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8(1), 93-98, , 2010

      113. 관절주변의 인대와 근육상해 발생 시 유연성 회복과 치유를 위한 스 트레칭 방법, 윤성원, 스포츠과학, 85, 40-49, , 2003

      114.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여성노인의 치매관련인자 및 혈중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조연숙, 신군수, 신소영,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3), 71-86, , 2014

      115.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신체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최혜영, 이건아, 성인간호학회지, 32(3), 292-304, , 2020

      116. 비만중년여성의 복합운동지속과 중지 후 재 실시가 건강관 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양점홍, 정순득, 한국체육학회지, 46(6), 591-600, , 2007

      117. 도수체조유형에 따른 운동부하후 심박수, 혈압 및 혈액성분 변화에 관현 비교연구, 조정호, 전영오, 고영환, 한국체육학회지, 29(2), 263-274, , 1990

      118. 노인 걷기운동이 하지근지구력, 전신지구력과 상체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박현애, 노국희, 대한간호학회지, 43(4), 536-546, , 2013

      119. 새천년건강체조의 기본체조 수행 시 연령대별 에너 지소비량과 운동 강도 비교연구, 이가영, 오재근, 김영주,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1251-1261, , 2010

      120. 운동중재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인슐린 저항성, 동맥경화지 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순희, 서정기,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195-1209, , 2014

      121.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중년여성의 혈중지질과 동맥경화지수 에 미치는 효과, 박종진, 경성대학교기초과학연구논문집, 15 (3), 331-341, , 2004

      122. 스포츠 마사지가 비만 중년여성의 심혈관계 기능과 혈당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정하련, 윤신중, 신명희, 김대식, 백승현,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4), 47-56, , 2009

      123. 운동형태가 폐경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FFA, HOMA-IR, hs CRP에 미치는 효과, 김찬회, 순아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2), 271-293, , 2016

      124. 복합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신체구성, 혈주지질, 혈관탄력성 및 근력 에 미치는 영향, 이영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125. 중년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 로그램 효과 연구, 편성진, 한국자치행정학보, 24(1), 307-302, , 2010

      126. 노인우울과 경제적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 역할보 완점과 역할강화관점을 중심으로, 최보라, 지은정, 최지현,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 (4), 57-85, , 2016

      127. 에어로빅댄스 운동이 폐경기 우울증 복부비만 여성의 대사 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심영제, 김지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9(2), 701-709, , 2015

      128. 복합운동이 고혈압 전 단계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동맥경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김상철, 김종휴, 서정훈,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1 (1), 37-42, , 2014

      129. 재가운동 프로그램이 고령자 여성의 생활기능 체력 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상근, 김윤식, 안정덕, 한국콘텐츠학회, 13(3), 381-391, , 2013

      130. 강도별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체성분, 심폐기능혈중지질 및 혈중호 르몬에 미치는 영향, 유병강,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131.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 WHOQOL ) :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Group., 41 ( 10 ) , 1403-1409 ., , 1995

      132.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재미요인과 정신건강 및 참여지속의도 관계분석, 김현우, 이기봉, 오아람,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1), 17-37, , 2019

      133.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혈중지질, 염증표지인자와 비만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국두홍,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08

      134.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혈중지질과 심혈관계질환 위 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권호준,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4), 1-12, , 2009

      135. 관상동맥질환에서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에 대한 베타차단제의 영향, 방인걸, 김영주, 체육과학연구, 17(3), 23-32, , 2006

      136.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및 중재효과, 윤현숙, 허소영, 한국노년학, 27 (3), 649-666, , 2007

      137. 신호수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과 건강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준홍, 조은효, 전태원,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9(3), 235-247, , 2015

      138.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자아자 존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한규량, 김현숙, 유수정,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 2002

      139. 12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농촌 노인의 심폐기 능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혁출, 김창균, 이만균, 한국체육학회, 47(4), 377- 387, , 2008

      140. 복합운동에 따른 폐경 전․후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 관 및 염증지표 및 호르몬의 변화, 허만동, 이경렬, 한국체육과학회지, 21(3), 887-898, , 2012

      141. 유산소・서킷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초등학생의 신체조 성과 혈액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창복, 정소봉, 발육발달학회지, 12 (4), 91-100, , 2004

      142.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과 유산소 복합운동이 중년비만 여성의 신체 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박주식, 코칭능력개발지, 11 (4), 153-161, , 2009

      143.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의 건강 관련체 력과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효과, 윤수미, 김승영,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7 (4), 315- 319, , 2019

      144. 요가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건강 체력과 우울증 스트레스관련지표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 권유찬, 박상갑,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2), 999-1010, , 2008

      145. 제2형 당뇨병환자들의 요가운동과 유산소운동량이 신체조성, 동맥경 화지수, HbA1c에 미치는 영향, 최영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2009

      146. 성인여성의 생애주기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 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손연정, 박영례, 기본간호학회지, 16(3), 353-361, , 2009

      147.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관 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요인, 김종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 (1), 99-109, , 2013

      148. 10주간의 유산소운동이 비만 성인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 질, 산화스트레스 및 hs-CRP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김남수, 한국체육과학회지, 26 (6), 1007- 1017, , 2017

      149. 12주간 순환운동이 여성노인의 기능체력, 에스트라 디올, 세로토닌,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하수민, 김지현, 김도연,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 (3), 199-217, , 2017

      150. 노인의 취업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 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백기,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151.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렙틴, 코티졸, 스트 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효과, 양승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2), 795-802, , 2008

      152. 탄력밴드를 활용한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중성지 방 개선과 신체조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은상, 서현,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7(4), 329- 333, , 2019

      153. 성인남성의 건강증진행동 강화를 예측하기 위한 건강지각과 건강관 심 및 건강증진행동의 구조적관계, 강현중, 한국산학기술지, 15(5), 2797-2805, , 2014

      154. 12주 복합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비만지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레 지스틴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신재숙, 한국체육과학회, 29 (4), 935-944, , 2020

      155. 성인의 현재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후 건강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희, 고민석, 대한보건연구, 39(2), 63-75, , 2013

      156. 26주간의 시니어 신체리듬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노인여성의 체력과 혈중지질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남정, 박주영, 민현주, 대한무용학회지, 57, 85-100, , 2008

      157. 복합운동프로그램이 Sarcopenia 여성노인을 위한 건강체력과 항노화호르몬 및 근감소증 예방에 미치는 영향, 박진기, 박상갑, 강세영, 김은희, 권유찬, 장재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435-442, , 2010

      158. 순환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 및 동맥경화 지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성림, 한국체육과학회지, 18(1), 1019-1030, , 2009

      159. 여성노인의 장기간 사회서비스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신체조 성과 신체기능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효과, 한승완, 최경훈,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8(1), 69-80, , 2020

      160. 중년기와 노년기 폐경 여성의 신체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 는 영향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김혜영, 임지영, 가정간호학회지, 20(2), 97-104, , 2013

      161. 12주간의 밸런스워킹PT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체력요인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 김태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 (2), 185-202, , 2019

      162.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 및 저항운동의 병행이 비만 남자 중 학생의 혈중 지질, 렙틴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최춘길, 한국체육학회지, 43(1), 15-24, , 2004

      163. 줄넘기와 걷기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 이만균, 한지연, 체육과학연 구, 20 (2), 199-211, , 2009

      164. 건강행위와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이 중년여성의 건 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4년 한국의료패널 자료이용, 최소은, 문지현, 김민아, 가정간호학회지, 26(1), 72-80, , 2019

      165. 남자 청소년의 상대 악력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연구: 제6-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2016년도)자료를 이용하여, 김정현, 박성화, 이상호, 중앙대 학교 학교체육연구소, 7(3), 83-94, , 2019

      166. 신체활동과 만성질환・우울증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성: 제5기 1,2차년도(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박세윤, 체육과학연구, 25(2), 249-258, , 2014

      167.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20 years of age and over , by sex , age , race and ethnicity , and body mass index : United States , 2003-2006, Ervin , R . B., 5 ( 13 ) , 1-7 ., , 2009

      168. 장・노년기 여성의 운동 프 로그램 시행 전・후의 신체계측치와 혈액검사치의 변화 비교-일개 도시 보건지소를 중심으로, 권준경, 이경수, 황선휘, 김경원, 손석준, 장은진,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34 (3), 359-367, , 2009

      169. 여자 노인의 근육량 및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신체활동 및 식이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제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정두환, 김정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9(4), 469-483, , 2018

      170. 순환성 저항운동과 저항성 및 유산소 병행운동이 중년여성의 체지방 량, 제지방량과 기초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집단간의 운동종류에 따른 신 체조성 효과 비교, 송정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