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강교육, 김성찬, 서울: 온누리 출판사, , 2006
2. 노인복지학, 장인협, 최성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6
3. 운동생리학, 김대권, 김현권, 서울: 현문사, , 1999
4. 임상비만학, 대한비만학회, 서울: 고려의학, , 2008
5. 노화와 건강, 이정숙, 장경태, 서울: 대한미디어, , 1997
6. 운동과 뇌 건강, 박인성, 코칭능력개발지, 9 (1), 21-30, , 2007
7. 운동과 정신건강, 유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정기심포지엄 자료집, 1-39, , 1993
8. Exercise and Immunology, Mackinnon , L. T., , 1992
9. 국민건강영양조사, 질병관리본부, 2019년 국민건강통계. 153-155, , 2020
10. 여성노인 건강관리, 이선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1992
11. Sport and physical activity, European Commission, , 2018
12. WHO신체활동권장지침,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건강증진총서 제3호, , 2012
13. 폐경기, 노화와 비만, 여에스더, 대한비만학회지, 11(3), 289-298, , 2002
14.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고영환, 이대택, 박현, 최대혁, 김상원, 장경태, 서울: 한미의학, , 2005
15. 맨손체조의 원리와 구성, 김창국, 박성순, 서울: 대경북스, , 1999
16. 모 성・여성건강 간호학, 고효정, 하영수, 강문정, 정금희, 배정이, 김일옥, 이경혜, 김영화, 김계숙, 서울: 신광, , 2003
17.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양병창, 전겸구, 최상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 2001
18. 세계로 가는 밸런스워킹PT, 김태민, 서울: 도서출판 북파크, , 2020
19. 체육・스포츠와 건강과학, 서영환, 156-207, , 2010
20.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통계청, 여성가족부, , 2017
21. 2018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통계청, 여성가족부, , 2020
22.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Grundy , S. M., 264 ( 23 ) , 3053-3059 ., , 1990
23. 중년여성의 행복감 구조모형, 김수진, 을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15
24. Significance of sarcopenia in the edlerly, Dutta , C., 27 , 992-993 ., , 1997
25. 2017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www.prism.go.kr./, , 2017
26. 노인 건강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설민신, 서울: 학문사, , 2000
27. Physical Performance and Perceived exertion, Borg , G., , 1962
28. 2020 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세종, , 2020
29. 뇌혈관질환의 예측인자로서의 악력, 정석환, 김재현, 보건행정학회지, 29 (3), 303-311, , 2019
3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김미혜, 정순둘, 이금룡, 한국노년학, 20 (3), 211-226, , 2002
31. Menopause from the psychiatrist ’ s point of view, Achte , K., 49 , 1-17 ., , 1980
32. 고혈압노인의 신체활동 유지 예측요인, 최진이, 이은주, 장애경, 근관절건강 학회지, 22(3), 228-235, , 2015
33. Affective bene ficence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Morgan , W. P., 17 , 94-100, , 1985
34.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WHO, , 2010
35.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실태와 정책과제, 이윤환, 2012 보건복지포럼, 192, 40-51, , 2012
36.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규범,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미간행논문, , 2005
37.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 연구, 김용태, 김경은, 한국지방행정학 회, 13 (1), 123-142, , 2016
38.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 분석, 권영문, 조욱상, 한국체육과학 회지, 24(6), 1339-1350, , 2015
39. 신체활동 측정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양윤준, 가정의학회지, 25 (11), 380-382, , 2004
40. 중년기 부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인과 질환, 김승조, 대한가정의학회지, 5(2), 1-9, , 1984
41. Effects of exercise on stress in thai postmenopausal women ., Sunsern , R., 23 ( 8 ) , 924-932 ., , 2002
42. EuroQoL-5 Dimension 한 국 가중치 모형의 적용 연구, 류소연, 이영훈, 김진희, 이정애, 최진수, 신민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1), 1-13, , 2009
43. 사회경제적 건강불평등에 대한 생애적 접근법, 강영호, 예방의학회지, 38 (3), 267-275, , 2005
44. 노인의 여가활동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희국, 현진희, 한국체육과 학학회지, 20 (2), 351-359, , 2011
45. 운동과 정신건강.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심리학, 류호상,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편, 555-572, , 1997
46.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수현, 허준수, 정신보건 과 사회복지, 13, 7-22, , 2002
47. 여성의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현황 및 정책 방안, 김양례, 한태룡, 한국여성 체육학회지, 30(4), 105-124, , 2016
48. 국민체조와 줄넘기운동의 운동강도에 관한 연구, 안응남, 한국체육학회지, 23 (1), 1141-1151, , 1986
49. 생활체육활동의 사회인구학적 참여결정요인 분석, 최명섭, 김미옥, 고진수, 체육과학연구, 25(4), 701-712, , 2014
50. 중년여성의 우울과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연구, 고정은,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2), 97-113, , 2002
51. 2015 국민건강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 2016
52. 요가 수련이 폐경기 여성의 정신거간에 미치는 영향, 안혜진, 허진영, 한국 체육과학회지, 16(2), 361-371, , 2007
53. 어르신들, 겨울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 2020
54. 중년여성의 스크린골프참여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김용주, 한국스포츠학 회지, 8 (1), 119-132, , 2010
55.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보윤,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6. 밸런스워킹PT의 지도자와 학습자의 가치정향 비교분석, 정양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21
57. 복합운동 참여가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범진, 양정옥, 황재심, 이중숙,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2), 177-183, , 2011
58.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이용미, 김근면, 정유희, 한국콘텐츠학회지, 14(10), 570-582, , 2014
59. 노인들의 신체운동 참여와 사회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 양성지, 한국체육학 회지, 57(1), 23-36, , 2018
60.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홍권, 한성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10
61. 고령 친화 홈트레이닝 운동 의자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이승연, 연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0
62.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이현주, 노인복지 연구, (61), 291-318, , 2013
63. 24주간의 규칙적 운동이 노인들의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해중, 김상우,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641-652, , 2005
64. 농촌지역 관절염대상자를 위한 타이치운동 프로그램 효과, 최정숙, 이경숙, 이은희, 소애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 (1), 118-127, , 2010
65.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adiponec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현, 동아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66. 장기간 복합운동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류호상, 손준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 (4), 183-195, , 2010
67.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한 노후준비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최희정, 서순림, 성인간호학회지, 27 (5), 594-603, , 2015
68. 20세 이상 한국인에서 상대 악력과 제2형 당뇨병과의 관련성, 최은영, 대한 임상건강증진학회, 19(2), 77-83, , 2019
69. 한국무용의 미학적 구조연구: 양학적 사유 구조를 중심으로, 김용복,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70. 12주간의 요가운동이 고령 여성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유갑숙, 원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8
71. 노인의 우울과 자가건강 수준, 사회적 지지 정도에 관한연구, 유원섭, 엄민경, 유인영, 노인간호학회지, 4 (2), 153-162, , 2002
72. 성인을 위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및 운동 강도에 대한 고찰, 박동호, 김창선, 김광준, 운동과학, 24(2), 99-107, , 2015
73.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재일, 대구 한의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11
74. 밸런스워킹PT 참여자의 운동 수행 및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노은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
75. 생활무용이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 한국 스포츠리서치, 16(6), 449-458, , 2005
76. 운동형태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유용권, 군산 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2003
77. 노년기 여가스포츠가 욕구충족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덕, 한국 스포츠리서치, 15(4), 179-192, , 2004
78. 중년기 여성의 우울증 분석과 치료방안 –인지치료 중심으로-, 최정우, 목원대 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2006
79. 남자 중학생의 PEI 수준에 따른 체력, 신체조성 및 식습관의 차이, 송광섭, 권성진, 권선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 (2), 95-101, , 2011
80. 여고생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 심폐지구력, 식이 섭취와의 관계, 홍예진, 성 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81. 전신진동운동이 노인의 균형, 근력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진환, 김영민, 대한물리의학회지, 12 (4), 61-71, , 2017
82.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Radloff , L. S., 1 ( 3 ) , 385-401 ., , 1977
83.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심폐기능,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최영희, 신윤희, 대한간호학회지, 26(2), 372-386, , 1995
84. 노인만성질환자의 운동 참여가 신체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중철, 배종진, 박기덕, 허안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4), 313-318, , 2011
85. 만성질환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만성질환유형을 중 심으로, 심옥수, 남상권, 노인복지연구, 53, 239-259, , 2011
86. 발레 무용수의 공연직전 스트레칭이 근력과 유연성에 미치 는 영향, 김경래, 전태원, 김연수, 김승택, 김은경, 김광준, 김미연, 김기정, 김효중, 서한교, 김경배, 한국체육학회지, 44(6), 399-406, , 2005
87. 한국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미숙, 정광조, 예술심리치료연구, 4(2), 199-225, , 2008
88. 5주간 Pilates 매트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유 연성 미치는 영향, 홍순미, 양점홍, 이명수,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0(2), 185-190, , 2002
89.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HRQoL ) inmarried working women, Son , Y . J., 19 ( 3 ) , 422-435, , 2007
90. 노인체육 편: 운동유형이 노인여성의 체력과 균형능력에 미 치는 영향, 박현경, 조철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1), 663-670, , 2009
91. 아쿠아로빅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 향, 박미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92. 비만중년여성들 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 만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김덕중, 조현철, 김형돈, 김종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 (2), 811-820, , 2011
93. 장기간 운동이 여성 고령자의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성태, 우재홍, 엄우섭, 박상연, 이동기, 김연수, 강현주, 전태원, 박익렬, 체육과학연구, 15(2), 19-31, , 2004
94. 16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체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추연경, 손준호, 코칭능력개발지, 14 (3), 105-114, , 2012
95.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승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96.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건강관련요소에 미치는 영향, 이장원, 유현승,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6 (1), 95-107, , 2021
97. 중년여성 우울증 완화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정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98.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human plasma ., Haskell , W. L., 12 , 204-244 ., , 1984
99. 하타요가와 에어로빅이 중년여성의 신체효능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지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100. 밸런스워킹PT 운동 프로그램이 정적자세, 보행변인,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대성, 정남주, 김태민,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635-646, , 2020
101. 라인댄스와 걷기운동이 비만여성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에 미치는 효과, 백군자, 하주영, 글로벌 건강과 간호, 10(1), 4-13, , 2020
102.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양지, 이완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4(1), 41-50, , 2012
103. 성인여성의 체지방률, BMI 및 허리둘레로 구분한 비만유형 간 신체구성의 비교, 김기진, 고진호,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5 (1), 1-7, , 2007
104. 여성노인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 울에 미치는 영향, 전혜자, 김미량,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2), 15-27, , 2009
105.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설정, 조은희, 이상원, 전진호,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4(3), 148-163, , 2000
106. 복합 수중운동 전후 노년기 여성의 건강관련 체력, 인체측정학적 요 인의 차이, 이재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107. 복합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체 조성 및 CBC에 미치는 영향, 김종원, 김도연, 이정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8(2), 971-982, , 2014
108. 서키트트레이닝이 중년여성 의 신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강신범, 서해근, 김상권, 나재철, 이상우, 김준모,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8 (1), 66-73, , 2000
109. 유수용성 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속도, 일상생활 활 동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엄기매, 배영숙, 김난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2), 233-241, , 2009
110.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신체조 성, 체력 및 피부건강에 미치는 효과, 강병용, 박재인, 이재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1085-1096, , 2016
111. 장기간의 마라톤과 조깅이 노인 남성의 심혈관계 질환 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문희, 운동과학, 13 (4), 505-512, , 2004
112. 24주간 운동이 고령여성의 신체기능 체력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노종철, 강설중, 백운효,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8(1), 93-98, , 2010
113. 관절주변의 인대와 근육상해 발생 시 유연성 회복과 치유를 위한 스 트레칭 방법, 윤성원, 스포츠과학, 85, 40-49, , 2003
114.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여성노인의 치매관련인자 및 혈중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조연숙, 신군수, 신소영,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3), 71-86, , 2014
115.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신체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최혜영, 이건아, 성인간호학회지, 32(3), 292-304, , 2020
116. 비만중년여성의 복합운동지속과 중지 후 재 실시가 건강관 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양점홍, 정순득, 한국체육학회지, 46(6), 591-600, , 2007
117. 도수체조유형에 따른 운동부하후 심박수, 혈압 및 혈액성분 변화에 관현 비교연구, 조정호, 전영오, 고영환, 한국체육학회지, 29(2), 263-274, , 1990
118. 노인 걷기운동이 하지근지구력, 전신지구력과 상체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박현애, 노국희, 대한간호학회지, 43(4), 536-546, , 2013
119. 새천년건강체조의 기본체조 수행 시 연령대별 에너 지소비량과 운동 강도 비교연구, 이가영, 오재근, 김영주,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1251-1261, , 2010
120. 운동중재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인슐린 저항성, 동맥경화지 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순희, 서정기,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195-1209, , 2014
121.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중년여성의 혈중지질과 동맥경화지수 에 미치는 효과, 박종진, 경성대학교기초과학연구논문집, 15 (3), 331-341, , 2004
122. 스포츠 마사지가 비만 중년여성의 심혈관계 기능과 혈당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정하련, 윤신중, 신명희, 김대식, 백승현,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4), 47-56, , 2009
123. 운동형태가 폐경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FFA, HOMA-IR, hs CRP에 미치는 효과, 김찬회, 순아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2), 271-293, , 2016
124. 복합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신체구성, 혈주지질, 혈관탄력성 및 근력 에 미치는 영향, 이영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125. 중년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 로그램 효과 연구, 편성진, 한국자치행정학보, 24(1), 307-302, , 2010
126. 노인우울과 경제적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 역할보 완점과 역할강화관점을 중심으로, 최보라, 지은정, 최지현,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 (4), 57-85, , 2016
127. 에어로빅댄스 운동이 폐경기 우울증 복부비만 여성의 대사 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심영제, 김지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9(2), 701-709, , 2015
128. 복합운동이 고혈압 전 단계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동맥경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김상철, 김종휴, 서정훈,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1 (1), 37-42, , 2014
129. 재가운동 프로그램이 고령자 여성의 생활기능 체력 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상근, 김윤식, 안정덕, 한국콘텐츠학회, 13(3), 381-391, , 2013
130. 강도별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체성분, 심폐기능혈중지질 및 혈중호 르몬에 미치는 영향, 유병강,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131.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 WHOQOL ) :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Group., 41 ( 10 ) , 1403-1409 ., , 1995
132. 건강증진교실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재미요인과 정신건강 및 참여지속의도 관계분석, 김현우, 이기봉, 오아람,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1), 17-37, , 2019
133.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혈중지질, 염증표지인자와 비만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국두홍,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2008
134.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혈중지질과 심혈관계질환 위 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권호준,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4), 1-12, , 2009
135. 관상동맥질환에서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에 대한 베타차단제의 영향, 방인걸, 김영주, 체육과학연구, 17(3), 23-32, , 2006
136.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및 중재효과, 윤현숙, 허소영, 한국노년학, 27 (3), 649-666, , 2007
137. 신호수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과 건강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준홍, 조은효, 전태원,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9(3), 235-247, , 2015
138.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자아자 존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한규량, 김현숙, 유수정,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 2002
139. 12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농촌 노인의 심폐기 능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혁출, 김창균, 이만균, 한국체육학회, 47(4), 377- 387, , 2008
140. 복합운동에 따른 폐경 전․후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 관 및 염증지표 및 호르몬의 변화, 허만동, 이경렬, 한국체육과학회지, 21(3), 887-898, , 2012
141. 유산소・서킷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초등학생의 신체조 성과 혈액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창복, 정소봉, 발육발달학회지, 12 (4), 91-100, , 2004
142.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과 유산소 복합운동이 중년비만 여성의 신체 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박주식, 코칭능력개발지, 11 (4), 153-161, , 2009
143.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의 건강 관련체 력과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효과, 윤수미, 김승영,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7 (4), 315- 319, , 2019
144. 요가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건강 체력과 우울증 스트레스관련지표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 권유찬, 박상갑,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2), 999-1010, , 2008
145. 제2형 당뇨병환자들의 요가운동과 유산소운동량이 신체조성, 동맥경 화지수, HbA1c에 미치는 영향, 최영미,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2009
146. 성인여성의 생애주기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 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손연정, 박영례, 기본간호학회지, 16(3), 353-361, , 2009
147.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관 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요인, 김종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 (1), 99-109, , 2013
148. 10주간의 유산소운동이 비만 성인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 질, 산화스트레스 및 hs-CRP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김남수, 한국체육과학회지, 26 (6), 1007- 1017, , 2017
149. 12주간 순환운동이 여성노인의 기능체력, 에스트라 디올, 세로토닌,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하수민, 김지현, 김도연,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 (3), 199-217, , 2017
150. 노인의 취업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 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백기,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151.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렙틴, 코티졸, 스트 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효과, 양승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2), 795-802, , 2008
152. 탄력밴드를 활용한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중성지 방 개선과 신체조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은상, 서현,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7(4), 329- 333, , 2019
153. 성인남성의 건강증진행동 강화를 예측하기 위한 건강지각과 건강관 심 및 건강증진행동의 구조적관계, 강현중, 한국산학기술지, 15(5), 2797-2805, , 2014
154. 12주 복합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비만지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레 지스틴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신재숙, 한국체육과학회, 29 (4), 935-944, , 2020
155. 성인의 현재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후 건강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희, 고민석, 대한보건연구, 39(2), 63-75, , 2013
156. 26주간의 시니어 신체리듬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노인여성의 체력과 혈중지질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남정, 박주영, 민현주, 대한무용학회지, 57, 85-100, , 2008
157. 복합운동프로그램이 Sarcopenia 여성노인을 위한 건강체력과 항노화호르몬 및 근감소증 예방에 미치는 영향, 박진기, 박상갑, 강세영, 김은희, 권유찬, 장재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435-442, , 2010
158. 순환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 및 동맥경화 지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성림, 한국체육과학회지, 18(1), 1019-1030, , 2009
159. 여성노인의 장기간 사회서비스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신체조 성과 신체기능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효과, 한승완, 최경훈,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8(1), 69-80, , 2020
160. 중년기와 노년기 폐경 여성의 신체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 는 영향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김혜영, 임지영, 가정간호학회지, 20(2), 97-104, , 2013
161. 12주간의 밸런스워킹PT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체력요인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 김태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 (2), 185-202, , 2019
162.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 및 저항운동의 병행이 비만 남자 중 학생의 혈중 지질, 렙틴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최춘길, 한국체육학회지, 43(1), 15-24, , 2004
163. 줄넘기와 걷기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 이만균, 한지연, 체육과학연 구, 20 (2), 199-211, , 2009
164. 건강행위와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이 중년여성의 건 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4년 한국의료패널 자료이용, 최소은, 문지현, 김민아, 가정간호학회지, 26(1), 72-80, , 2019
165. 남자 청소년의 상대 악력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연구: 제6-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2016년도)자료를 이용하여, 김정현, 박성화, 이상호, 중앙대 학교 학교체육연구소, 7(3), 83-94, , 2019
166. 신체활동과 만성질환・우울증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성: 제5기 1,2차년도(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박세윤, 체육과학연구, 25(2), 249-258, , 2014
167.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20 years of age and over , by sex , age , race and ethnicity , and body mass index : United States , 2003-2006, Ervin , R . B., 5 ( 13 ) , 1-7 ., , 2009
168. 장・노년기 여성의 운동 프 로그램 시행 전・후의 신체계측치와 혈액검사치의 변화 비교-일개 도시 보건지소를 중심으로, 권준경, 이경수, 황선휘, 김경원, 손석준, 장은진,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34 (3), 359-367, , 2009
169. 여자 노인의 근육량 및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신체활동 및 식이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제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정두환, 김정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9(4), 469-483, , 2018
170. 순환성 저항운동과 저항성 및 유산소 병행운동이 중년여성의 체지방 량, 제지방량과 기초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집단간의 운동종류에 따른 신 체조성 효과 비교, 송정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