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thnic Composition of Residential Area on Social Activities and Adaptation Type of Foreign Wives in Korea: An Analysis of Neighborhood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9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을 설명하는 요인 중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같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의 비중이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비중이 높을수록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며, 이들의 사회활동이 활발해질수록 적응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혼인이주여성의 적응유형을 통합, 동화, 고립 및 주변화로 구분하고, 이들 네 가지 적응유형과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의 비중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을 위하여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각 시 군 구별로 계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비중이 높아질수록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고 고립 유형의 적응 개연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주변효과는 대도시 지역에서보다는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에서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지역에 같은 민족의 인구가 많을수록 이들과의 접촉과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한국사회에 동화되기보다는 고립되는 적응형태를 나타내는 혼인이주여성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을 설명하는 요인 중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같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 ...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을 설명하는 요인 중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같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의 비중이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비중이 높을수록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며, 이들의 사회활동이 활발해질수록 적응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혼인이주여성의 적응유형을 통합, 동화, 고립 및 주변화로 구분하고, 이들 네 가지 적응유형과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의 비중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을 위하여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외국인 아내 및 같은 민족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각 시 군 구별로 계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지역의 외국인 아내 비중이 높아질수록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을 촉진시키고 고립 유형의 적응 개연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주변효과는 대도시 지역에서보다는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에서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지역에 같은 민족의 인구가 많을수록 이들과의 접촉과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한국사회에 동화되기보다는 고립되는 적응형태를 나타내는 혼인이주여성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ethnic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ea on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a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the ethnic compositional environment exerts an independent effect on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apart from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ceteris paribus rises substantially among foreign wives who live in an area with a large population of transnational couples. However, increased accessibility to and interaction with other foreign wives tend to lead to more ‘isolated’ type of adaptation rather than ‘assimilation’. These effects tend to be stronger when a foreign wife lives in non-metropolitan area. It is also found that higher proportion of the same ethnic population in the residential area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isolated’ type of adaptation among foreign wives.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ethnic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ea on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are analyzed. R...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ethnic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ea on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a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the ethnic compositional environment exerts an independent effect on social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aptation, apart from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ceteris paribus rises substantially among foreign wives who live in an area with a large population of transnational couples. However, increased accessibility to and interaction with other foreign wives tend to lead to more ‘isolated’ type of adaptation rather than ‘assimilation’. These effects tend to be stronger when a foreign wife lives in non-metropolitan area. It is also found that higher proportion of the same ethnic population in the residential area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isolated’ type of adaptation among foreign w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neighborhood effects)
      • Ⅲ. 분석자료와 연구대상의 특성
      • Ⅳ.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
      • Ⅴ.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
      • Ⅰ. 서론
      • Ⅱ.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neighborhood effects)
      • Ⅲ. 분석자료와 연구대상의 특성
      • Ⅳ.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
      • Ⅴ.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
      • Ⅵ. 맺는 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