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Patient Centered Task Oriented Training 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35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지향적 훈련을 통해 환자 스스로 과제를 선택하고 수행하였을 때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와 치료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8...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지향적 훈련을 통해 환자 스스로 과제를 선택하고 수행하였을 때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와 치료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P, W시 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군과 전통적 작업치료군으로 각각 8주간 주5회 1회 15분씩 실시하였다. 각 치료효과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8.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과제지향적 훈련과 전통 작업치료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두 치료 모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는 과제지향적 훈련이 전통 작업치료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지향적 훈련과 전통 작업치료 모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을 향상 시키고,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과제지향적 훈련은 치료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elf-selecting and performing tasks through task-oriented training on patient’s quality of life, daily activities, and treatment satisfaction. Method : The purpose o...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elf-selecting and performing tasks through task-oriented training on patient’s quality of life, daily activities, and treatment satisfaction.
      Metho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elf-selecting and performing tasks through task-oriented training on patient’s quality of life, daily activities, and treatment satisfaction.
      Result :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both treatment method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daily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In particular, task-oriented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 Both task-oriented training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daily activities. Especially, patient-centered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is very helpful in improving treatment satisfaction in stroke patients. Therefore,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trea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및 도구
      • Ⅲ. 연구결과
      • Ⅳ. 고 찰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및 도구
      • Ⅲ. 연구결과
      • Ⅳ. 고 찰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영,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 31 (31): 283-297, 2007

      2 여형남, "집단재활체조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병원간호사회 18 (18): 424-434, 2012

      3 백영림,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손 활동으로 구성한 과제 지향적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8 (18): 79-94, 2010

      4 장우식,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대한물리의학회 8 (8): 271-280, 2013

      5 노동희, "과제 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153-1163, 2015

      6 방요순, "과제 지향적 활동이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49-62, 2007

      7 Barker, R. N., "Training of reaching in stroke survivors with severe and chronic upper limb paresis using a novel nonrobotic device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39 (39): 1800-1807, 2008

      8 Van Peppen, R. P., "The impa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 what’s the evidence" 18 (18): 833-862, 2004

      9 Lee, J. M.,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Activity and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1 (1): 23-34, 2012

      10 Son, J. R., "The Effect of Task Orien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Stroke" Gachon University 2015

      1 정한영,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 31 (31): 283-297, 2007

      2 여형남, "집단재활체조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병원간호사회 18 (18): 424-434, 2012

      3 백영림,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손 활동으로 구성한 과제 지향적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8 (18): 79-94, 2010

      4 장우식,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대한물리의학회 8 (8): 271-280, 2013

      5 노동희, "과제 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153-1163, 2015

      6 방요순, "과제 지향적 활동이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49-62, 2007

      7 Barker, R. N., "Training of reaching in stroke survivors with severe and chronic upper limb paresis using a novel nonrobotic device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39 (39): 1800-1807, 2008

      8 Van Peppen, R. P., "The impa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 what’s the evidence" 18 (18): 833-862, 2004

      9 Lee, J. M.,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Activity and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1 (1): 23-34, 2012

      10 Son, J. R., "The Effect of Task Orien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Stroke" Gachon University 2015

      11 Carr, J. H., "Stroke Rehabilitation" Butterworth helenemann 2003

      12 Garrison, S. J., "Rehabilitation of the stroke patient, rehabilitation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 JB Lippincott 1977

      13 Gergory, T. T., "Rehabilitation of reaching after stroke : task-related training versus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85 (85): 1613-1618, 2004

      14 Trombly, C. A.,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Williams & Wilkins 2013

      15 Langhorne P., "Motor recovery after stroke : a systematic review" 8 (8): 741-754, 2009

      16 Schmidt, R. A., "Motor control and learning" Human kinetics 1999

      17 Park, J. H.,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28 (28): 508-513, 1989

      18 Carr, J. H., "In movement science foundations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Pro-Ed 2000

      19 Richard, L., "Impioving poststroke recovery : neuroplasticity and task-oriented training" 11 (11): 251-259, 2009

      20 Lee, T. Y., "Factor Analysis of Elements Affecting Activities of DailyLiving in Stroke Patients" 9 (9): 25-36, 2001

      21 Dromerick, A. W., "Does the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during acute rehabilitation reduce arm impairment after ischemic stroke?" 31 (31): 2984-2988, 2000

      22 Linda, S. W.,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30 (30): 1362-1369, 1999

      23 Jang, S. H., "Corrtical reorganization induced by task-oriented training in chronic hemiplegia stroke patients" 14 (14): 137-141, 2003

      24 Lin, K. C., "Constraint-induced therapy versus dose-matched control intervention to improve motor ability, basic/extended daily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23 (23): 160-165, 2009

      25 Rijken, P. M., "Clinical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therapists with chronic diseases : A quantitative approach" 12 : 143-150, 1998

      26 Summers J. J.,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252 : 76-82, 2007

      27 Moon, J. I.,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Daegu University 2003

      28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