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字符 勿의 字源 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76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서 勿은 갑골문 ( , , 勿)과 ( , 勿)을 모두 가리키기도 한다. ‘雜文’을 가리켰던 ( , , 勿)과 ‘쏘다’를 가리켰던 ( , 勿)은 갑골문 단계에서 형체가 서로 달랐다. ( , , 勿)는 卜辭에서 주로 ...

      해서 勿은 갑골문 ( , , 勿)과 ( , 勿)을 모두 가리키기도 한다. ‘雜文’을 가리켰던 ( , , 勿)과 ‘쏘다’를 가리켰던 ( , 勿)은 갑골문 단계에서 형체가 서로 달랐다. ( , , 勿)는 卜辭에서 주로 ‘雜文’으로 쓰였다. 字源에 대해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 ’은 쟁기( )와 쟁기질을 할 때 나오는 ‘쟁기 밥’을 그려 ‘雜文’을 나타낸다 하고, 다른 하나는 ‘ ’의 는 칼을, 斜線은 칼로 자른 물건을 나타내어 ‘分割’을 나타낸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이 部 件인 利는 본래 ‘禾+ ’로, 쟁기로 땅을 갈면 벼에게 이롭기 때문에 ‘이롭다’란 의를 갖게 되었다고 하고, 利가 聲符인 , 黎 등은 아직도 부건 ( )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음에서 쟁기와 쟁기 밥을 그린 것이 맞다 한다. 후자는 ‘ ’는 (分)의 상부 ‘ ’이 칼로 잘려진 물건을 나타내듯이 分割, 切斷 을 나타내는데, 잡다하게 잘려진 것으로부터 雜文이 인신되었다고 한다. 또, 同源 혹은 후치자인 物 과 刎이 전적이나 복사에서 ‘베다’란 뜻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의가 ‘분할’이라 한다. 物은 ( , , 勿)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갑골문에 物이 존재하는가는 아직 쟁론 중인데,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람들은 ‘ ’처럼 ‘ + 牛’의 合文만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 반대는 ‘ ’처럼 엄연히 존재 했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馬 牡 牝 ’같이, 복사는 ‘ + 牛’로만 존재했다고 한다. ( , 勿)은 활을 쏜 뒤 시위가 진동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 ‘쏘다’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복사에서 는 대부분 부정사로 쓰였다. 그런데 ‘雜文’을 나타내었던 이 西周 金文에 이르러 과 같이 부정사 로 쓰이면서 큰 혼란을 겪는다. 말하자면 자신들의 본의 혹은 引伸義와는 상관없이 모두 부정사로 쓰이면서 누가 ‘勿’의 初文인지 헛갈리기 시작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eseo(楷書) Mul(勿) represents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and ( , Mul ‘勿’) both. Chia-ku-wen(甲骨文) ( , , Mul ‘勿’) represents ‘Japmun(雜文)’, ( , Mul ‘勿’) represents ‘shoot an arrow’. There are two th...

      Haeseo(楷書) Mul(勿) represents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and ( , Mul ‘勿’) both. Chia-ku-wen(甲骨文) ( , , Mul ‘勿’) represents ‘Japmun(雜文)’, ( , Mul ‘勿’) represents ‘shoot an arrow’.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Jawon(字源) of ( , , Mul ‘勿’). First, ‘ ’ represents plough and furrow slice which was produced when plowing, so it means ‘Japmun(雜文)’. second, of represents knife, and Saseon(斜線) represents stuff cut with a knife, so it means ‘divide(分割)’.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originally represents trembling string after shooting an arrow, so it means ‘shoot an arrow’. However, it was used as infinitive such as ‘Mu (毋)’ in Chia-ku-wen(甲骨文). The shape of ( , Mul ‘勿’)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 ) - ( ) - (㢭) - ( Bal‘癹’) - - Bal(發)’
      By Seoju(西周) Geummun(金文), ( , , Mul ‘勿’) which was represented ‘Japmun(雜 文)’ came into infinitive. Therefore, in 金文, with ( , Mul ‘勿’) which was being used as infinitive already, both ( , Mul ‘勿’) and , Mul‘勿’) was used as infinitive.
      Mul(物) have much to do with ( , , Mul ‘勿’). It is still under debate whether Mul(物) exist or not in Chia-ku-wen(甲骨文). People who claims that it did not exist said Mul(物) only exist as Habmun(合文) of ‘ + Wu(牛)’ just like ‘ ’.
      As proof of it, They claimed it only existed as ‘ + Wu(牛)’ with ‘ 馬(Ma) 牡(Mo) 牝(Bin) ’, However, the opponent of it claimed that Mul(物) existed clearly like ‘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言
      • Ⅱ. ( , , 勿), 物의 字源과 字形 演變
      • 1. 『說文解字』의 勿의 字源
      • 2. 甲骨文 ( , )의 字形과 字源
      • 3. 物의 字源과 字形 演變
      • Ⅰ. 序言
      • Ⅱ. ( , , 勿), 物의 字源과 字形 演變
      • 1. 『說文解字』의 勿의 字源
      • 2. 甲骨文 ( , )의 字形과 字源
      • 3. 物의 字源과 字形 演變
      • Ⅲ. ( , 勿)의 字源과 字形 演變
      • Ⅳ. ( , )과 ( , 勿)의 부정사적 용법(
      • Ⅴ. 結語
      • ▮參考文獻 Reference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裘錫圭, "釋勿 發" 2 : 35-38,

      2 徐協貞, "通釋 1권"

      3 李孝定, "讀栔識小錄" 35 : 46-48,

      4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8

      5 許愼,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6 郭沫若, "萃考"

      7 徐中舒, "耒耜考" 2 (2): 13-17,

      8 王襄, "簠室殷契徵文"

      9 方述鑫, "秦漢魏晉篆隸字形表" 四川辭書出版社 1995

      1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甲骨文編" 中華書局 1965

      1 裘錫圭, "釋勿 發" 2 : 35-38,

      2 徐協貞, "通釋 1권"

      3 李孝定, "讀栔識小錄" 35 : 46-48,

      4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8

      5 許愼,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6 郭沫若, "萃考"

      7 徐中舒, "耒耜考" 2 (2): 13-17,

      8 王襄, "簠室殷契徵文"

      9 方述鑫, "秦漢魏晉篆隸字形表" 四川辭書出版社 1995

      1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甲骨文編" 中華書局 1965

      11 趙誠, "甲骨文簡明詞典"

      12 于省吾, "甲骨文字詁林(全四冊)" 中華書局 1996

      13 姚孝遂, "甲骨文字詁林" 中華書局 1996

      14 胡光煒, "甲骨文例(下卷)"

      15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16 吳其昌, "殷虛書契解詁"

      17 陳夢家, "殷虛卜辭綜術"

      18 郭沫若, "殷契粹編" 日本文求堂 1927

      19 屈萬里, "小屯殷虛文字甲編考釋"

      20 唐蘭, "天壤閣甲骨文存"

      21 高明, "古文字類編" 中華書局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