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울주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76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결혼여성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국내 정착과 바람직한 가정생활을 위해 우리사회가 지원해야하는 가장 우선적인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보통의 결혼여성이민자들은 한국어를 전혀 못하거나 일상적인 회화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들과의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겪어 가정불화의 큰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가정해체의 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지만,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은 대부분 한국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은 적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이들이 한국사회에 빨리 적응하는데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요건이어서 근래 정부나 지자체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지원 기관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다. 그러나 결혼여성이민자의 거주기간이 중·장기화 되면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방향이나 목적, 대상군에 따른 사업들이 수정되고, 변화되어야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중·장기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연구 영역 자체가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욕구파악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 중국인 결혼여성이민자가 가장 많이 체류하지만 수도권인 서울, 인천,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시ㆍ도 지역은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가 가장 많이 체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선정하여, 총 9명의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사전 인터뷰를 통해 센터에서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이용 경험과 제한되는 점을 도출ㆍ파악하여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방향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직업교육관련, 자녀교육관련 프로그램이 실시되기를 원하였고, 각각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교육관련 프로그램에서 첫째, 취ㆍ창업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취업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사회에서 일을 하게 된다면 이는 향후 경제적인 안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창업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향후 경제활동과 관련된 기회제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자격증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자격증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면 향후 이들에게 취업과 창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자녀교육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첫째, 미취학 자녀교육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이 자녀교육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와 진학에 대한, 진로에 대한 대화를 통해 소통한다면 이는 향후 가정의 평화와 안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진로ㆍ진학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다. 자녀의 특성과 소질에 따른 올바른 진로ㆍ진학 지도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진로ㆍ진학 지도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현재 대부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국내 정착을 위한 초기 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정책 개선이 필요하겠고, 이와 함께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이 역량 개발을 위한 다양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취업, 창업, 자격증
      번역하기

      결혼여성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국내 정착과 바람직한 가정생활을 위해 우리사회가 지원해야하는 가장 우선적인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보통의 결...

      결혼여성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국내 정착과 바람직한 가정생활을 위해 우리사회가 지원해야하는 가장 우선적인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보통의 결혼여성이민자들은 한국어를 전혀 못하거나 일상적인 회화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들과의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겪어 가정불화의 큰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가정해체의 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지만,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은 대부분 한국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은 적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이들이 한국사회에 빨리 적응하는데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요건이어서 근래 정부나 지자체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지원 기관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다. 그러나 결혼여성이민자의 거주기간이 중·장기화 되면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방향이나 목적, 대상군에 따른 사업들이 수정되고, 변화되어야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중·장기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연구 영역 자체가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욕구파악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 중국인 결혼여성이민자가 가장 많이 체류하지만 수도권인 서울, 인천,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시ㆍ도 지역은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가 가장 많이 체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선정하여, 총 9명의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사전 인터뷰를 통해 센터에서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이용 경험과 제한되는 점을 도출ㆍ파악하여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방향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직업교육관련, 자녀교육관련 프로그램이 실시되기를 원하였고, 각각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교육관련 프로그램에서 첫째, 취ㆍ창업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취업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사회에서 일을 하게 된다면 이는 향후 경제적인 안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창업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향후 경제활동과 관련된 기회제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자격증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에게 자격증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면 향후 이들에게 취업과 창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자녀교육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첫째, 미취학 자녀교육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이 자녀교육과 관련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와 진학에 대한, 진로에 대한 대화를 통해 소통한다면 이는 향후 가정의 평화와 안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진로ㆍ진학에 관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다. 자녀의 특성과 소질에 따른 올바른 진로ㆍ진학 지도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진로ㆍ진학 지도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현재 대부분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국내 정착을 위한 초기 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정책 개선이 필요하겠고, 이와 함께 중ㆍ장기 결혼여성이민자이 역량 개발을 위한 다양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중ㆍ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취업, 창업, 자격증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can be said tha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ives is an education service program to which the South Korean society needs to give the first priority in pursuit of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a desirable family life. Because ordinary immigrant wives speak no Korean or are poor at speaking Korean though they are able to render daily conversation in Korean, it can be a significant factor for family trouble due to a lot of conflicts that may arise among family members. It can even lead to family dissolution; however,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most of whom are good at speaking Korean,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such conflicts.
      Becaus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ives should be given the first priority in allowing th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quickl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have recently given support to it, typically at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MFSC). However, as immigrant wives reside in South Korea for a longer time, there is a need to revise and alter projects according to their direction, goals, or targets at a MFSC. In addition, becaus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even their needs have rarely been identified. While the largest number of immigrant wives in South Korea is Chinese, most of them are Vietnamese in other provincial and municipal areas compared with the capital area, which includes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total of 9 immigrant wives' experiences of using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t the most frequented MFSC in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where the largest number of Vietnamese immigrant wives reside and identify limitations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 and present a direction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mid- and long-term Vietnamese immigrant wives.
      The mid- and long-term Vietnamese immigrant wives wanted a MFSC to provide program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and child education with the following expected effects: In terms of the program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first, it is expected to provid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employment and business commencement. If a MFSC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employment to help them work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program is expected to lead to economic stability. If the center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business commencement, it is expected to give a chance for economic activity. Seco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If a MFSC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the program is expected to give them a chance to get a job or commence business. In terms of the programs related to child education, first,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preschool child education dedicated to Korean is expected. If a MFSC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child education to help them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in relation to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such program is expected to lead to peace and stability at home. Seco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A MFSC is required to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that addresses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guidance based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
      While most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employed at MFSC are focused on early-stage immigrant wives to help them settle themselves in South Korea, there is almost no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to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 create improvement in policies to build an efficient service provision system at the governmental level, and develop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Keyword: mid- and long-term Vietnamese immigrant wif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employment, business commencement,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번역하기

      It can be said tha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ives is an education service program to which the South Korean society needs to give the first priority in pursuit of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a desirable fam...

      It can be said tha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ives is an education service program to which the South Korean society needs to give the first priority in pursuit of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a desirable family life. Because ordinary immigrant wives speak no Korean or are poor at speaking Korean though they are able to render daily conversation in Korean, it can be a significant factor for family trouble due to a lot of conflicts that may arise among family members. It can even lead to family dissolution; however,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most of whom are good at speaking Korean,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such conflicts.
      Becaus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ives should be given the first priority in allowing th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quickl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have recently given support to it, typically at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MFSC). However, as immigrant wives reside in South Korea for a longer time, there is a need to revise and alter projects according to their direction, goals, or targets at a MFSC. In addition, becaus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even their needs have rarely been identified. While the largest number of immigrant wives in South Korea is Chinese, most of them are Vietnamese in other provincial and municipal areas compared with the capital area, which includes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total of 9 immigrant wives' experiences of using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t the most frequented MFSC in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where the largest number of Vietnamese immigrant wives reside and identify limitations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 and present a direction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mid- and long-term Vietnamese immigrant wives.
      The mid- and long-term Vietnamese immigrant wives wanted a MFSC to provide program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and child education with the following expected effects: In terms of the program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first, it is expected to provid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employment and business commencement. If a MFSC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employment to help them work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program is expected to lead to economic stability. If the center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business commencement, it is expected to give a chance for economic activity. Seco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If a MFSC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the program is expected to give them a chance to get a job or commence business. In terms of the programs related to child education, first,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preschool child education dedicated to Korean is expected. If a MFSC provides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with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child education to help them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in relation to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such program is expected to lead to peace and stability at home. Seco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regarding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A MFSC is required to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that addresses academic progress and career guidance based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
      While most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employed at MFSC are focused on early-stage immigrant wives to help them settle themselves in South Korea, there is almost no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 to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 create improvement in policies to build an efficient service provision system at the governmental level, and develop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mid- and long-term immigrant wives.

      Keyword: mid- and long-term Vietnamese immigrant wif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employment, business commencement,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선행연구 검토 4
      • 1.3 연구 방법과 범위 7
      • Ⅱ. 한국어교육 정책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10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선행연구 검토 4
      • 1.3 연구 방법과 범위 7
      • Ⅱ. 한국어교육 정책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10
      • 2.1 한국어교육 정책 10
      • 2.1.1 여성가족부 한국어교육 정책 10
      • 2.1.2 법무부 한국어교육 정책 11
      • 2.2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14
      • 2.2.1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현황 14
      • 2.2.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18
      • 2.2.3 울주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21
      • 2.2.4 울주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24
      • Ⅲ. 중·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를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요구조사 및 분석 28
      • 3.1 중·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요구조사 28
      • 3.1.1 조사 방법 28
      • 3.1.2 조사 대상 29
      • 3.2 중·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요구분석 30
      • 3.2.1 인터뷰 사전 준비 분석 30
      • 3.2.2 인터뷰 조사 분석 33
      • Ⅳ. 요구 분석에 따른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방향 50
      • 4.1 중·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직업교육관련 프로그램 개선방향 50
      • 4.1.1 취업·창업교육 프로그램 51
      • 4.1.2 자격증 취득교육 프로그램 56
      • 4.2 중·장기 베트남 결혼여성이민자 자녀교육관련 프로그램 개선방향 59
      • 4.2.1 미취학 자녀교육 프로그램 60
      • 4.2.2 진로·진학 자녀교육 프로그램 64
      • V. 결론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