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TD를 이용한 XML Pull 파서 생성기 = XML Pull Parser Generator Using DT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5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용량의 XML 문서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파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XML 문서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XML Pull 파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

      대용량의 XML 문서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파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XML 문서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XML Pull 파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Object 모델과 Push 모델 파서인 DOM과 SAX는 Pull 모델의 Pull 파서에 비해 메모리의 사용이 비효율적이고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고 XML 파서는 XML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DTD가 변경되면 파서를 새로 작성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TD 문서를 파싱하여 XML 파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파서 생성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XML Pull 파서 생성기는 DTD 파서를 이용하여 XML 문서의 구조를 파악하고 DTD infoset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Pull 파서의 비유효성 문제를 해결한 Pull 파서를 자동으로 생성해줌으로써 XML 파서 개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parser, which is needed to process the massive XML documents swiftly, it needs hard works. Accordingly, it is increasing that the needs of study for method to form XML parser automatically which helps us process the massive XML doc...

      In order to develop parser, which is needed to process the massive XML documents swiftly, it needs hard works. Accordingly, it is increasing that the needs of study for method to form XML parser automatically which helps us process the massive XML documents rapidly. DOM of Object model parser and SAX of Push model parser got defects which their use of memory is not efficient and the speed is low as compared with Pull parser of Pull model. XML parser has a weak point that it needs to form new parser whenever DTD, which defines the structure of XML documents, modifies. These several points made this thesis proposes the parser generator that forms XML parser automatically parsing DTD documents. XML pull parser generator that this paper suggests grasps the XML document's structure and creates DTD infoset. all of them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ments of XML parser by forming Pull parser, whose problem with inefficiency is settled, automatical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utka DTD Parser"

      2 Dennis M.sosnoski, "XML documents on the run, Part 1,2,3" 2002

      3 "XML Spy"

      4 Boris Chidlovskii, "Using Regular Automata as XML schemas" 1-10, 2000

      5 "Stylus Studio XML"

      6 "SAX Parser Benchmarks"

      7 "Oxygen XML"

      8 W3C,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1 (Second Edition)"

      9 Aleksander Slominski, "Design of a Pull and Push Parser System for Streaming"

      10 "Common XML Pull Parsing API"

      1 "wutka DTD Parser"

      2 Dennis M.sosnoski, "XML documents on the run, Part 1,2,3" 2002

      3 "XML Spy"

      4 Boris Chidlovskii, "Using Regular Automata as XML schemas" 1-10, 2000

      5 "Stylus Studio XML"

      6 "SAX Parser Benchmarks"

      7 "Oxygen XML"

      8 W3C,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1 (Second Edition)"

      9 Aleksander Slominski, "Design of a Pull and Push Parser System for Streaming"

      10 "Common XML Pull Parsing API"

      11 "Cafe con Leche XML News and Resources"

      12 Ronaldo dos Santos Mello, "A method for unification of XML schemata" 44 : 241-249, 2002

      13 Patricia Rodriguez-Gianolli, "A Semantic Approach to XML-based Data Integration" 117-132,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