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년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5008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76 p. ; 26cm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년기에는 치아의 상실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시기로 노인 스스로 구강건강관리를 통한 치아의 수명 유지가 필요하며, 구강질환에 대한 정보를 주고 이를 위해 올바른 구강건강생활실천을 유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상당수 노인들이 경제력이 약화됨에 따라서 진료비의 부담 때문에 초기 구강질환의 치료시기를 놓치고 있으며, 평상시의 치주염과 치아우식증의 예방적 관리에도 소홀하여 결국 치아를 잃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치아의 상실로 인한 보철은 건강보험급여에서 제외됨으로서 치료비의 부담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노원구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서비스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년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은 서울시 노원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들로 2009년 10월 20일부터 2009년 11월 10일까지 관내 노인 복지관, 경로당, 보건소 이용자와 가정방문간호를 받고 있는 노인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여자가 남자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연령의 분포는 60대 전기노인이 48.6%. 70대 중기노인이 38.8%, 80세 이상의 후기노인이 12.7%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59.8%로 과반수 이상 이었으며, 혼자서 사는 노인이 39.9%로 나타났다. 월평균 세대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5.6%로, 전신적인 건강상태는 86.2%가 보통 이하로 나타났으며, 고혈압, 관절염, 당뇨병의 순서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로는 일반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 저작, 잇몸 출혈, 온도 자극의 순서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사회 인구학적 특징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전신적인 건강상태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을 뿐이고 성별, 연령, 교육정도, 월평균 세대수입과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구강건강생활실천에서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 평균수입이 많을수록, 전신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잇솔질을 하는 시기는 아침식사 후, 저녁식사 후, 점심식사 후의 순서로 조사 되었다.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세대수입이 높을수록 사용비율이 높았다. 흡연은 남자의 흡연율이 73.5%로 여자보다 월등히 많았다.
      넷째,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의 관련성은 하루 평균잇솔질 횟수와 음식물 저작, 잇몸 출혈, 온도 자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흡연의 경우 일반적인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치료경험에 있어서는 저작, 잇몸출혈, 온도자극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노원구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 구강보건사업에 있어서 노인 틀니사업과 같이 당장 씹기 곤란한 문제의 해결과 동시에 남아 있는 치아나 보철물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예방 차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노년기에는 치아의 상실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시기로 노인 스스로 구강건강관리를 통한 치아의 수명 유지가 필요하며, 구강질환에 대한 정보를 주고 이를 위해 올바른 구강건강생활실천을 ...

      노년기에는 치아의 상실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시기로 노인 스스로 구강건강관리를 통한 치아의 수명 유지가 필요하며, 구강질환에 대한 정보를 주고 이를 위해 올바른 구강건강생활실천을 유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상당수 노인들이 경제력이 약화됨에 따라서 진료비의 부담 때문에 초기 구강질환의 치료시기를 놓치고 있으며, 평상시의 치주염과 치아우식증의 예방적 관리에도 소홀하여 결국 치아를 잃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치아의 상실로 인한 보철은 건강보험급여에서 제외됨으로서 치료비의 부담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노원구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서비스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년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은 서울시 노원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들로 2009년 10월 20일부터 2009년 11월 10일까지 관내 노인 복지관, 경로당, 보건소 이용자와 가정방문간호를 받고 있는 노인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여자가 남자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연령의 분포는 60대 전기노인이 48.6%. 70대 중기노인이 38.8%, 80세 이상의 후기노인이 12.7%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59.8%로 과반수 이상 이었으며, 혼자서 사는 노인이 39.9%로 나타났다. 월평균 세대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5.6%로, 전신적인 건강상태는 86.2%가 보통 이하로 나타났으며, 고혈압, 관절염, 당뇨병의 순서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로는 일반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 저작, 잇몸 출혈, 온도 자극의 순서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사회 인구학적 특징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전신적인 건강상태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을 뿐이고 성별, 연령, 교육정도, 월평균 세대수입과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구강건강생활실천에서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 평균수입이 많을수록, 전신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잇솔질을 하는 시기는 아침식사 후, 저녁식사 후, 점심식사 후의 순서로 조사 되었다.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세대수입이 높을수록 사용비율이 높았다. 흡연은 남자의 흡연율이 73.5%로 여자보다 월등히 많았다.
      넷째,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의 관련성은 하루 평균잇솔질 횟수와 음식물 저작, 잇몸 출혈, 온도 자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흡연의 경우 일반적인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치료경험에 있어서는 저작, 잇몸출혈, 온도자극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노원구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 구강보건사업에 있어서 노인 틀니사업과 같이 당장 씹기 곤란한 문제의 해결과 동시에 남아 있는 치아나 보철물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예방 차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people arrive at old age, they loses their teeth fast. So, old people should delay their losses of teeth by practicing proper oral care. The adequate information about oral diseases will help the aged to put proper oral care in practice. Many old people in Korea don't get proper oral care treatment in time due to the high expenses compared to their reduced income. They also don't practice any preventive cares for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eventually they lose their teeth and need prosthetic treatment. However, prosthetic treatment imposes high expenses on them because national health insurance do not bear expenses for prosthetic treatmen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fundamental data on the oral care service for the aged of the community by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ir oral health behavior.
      Using a questionnaire, this study examined 276 people over the age of 60, who use senior welfare centers, halls for the aged, health centers, and home-nursing between Oct. 20 2009 and Nov 10 2009 in Nowon-Gu,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ed surveyed have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re were two times more females than males. The distribution of age was 48.6% early 60th, 38.8% mid 70th, 12.7% over 80. 59.8% had less than primary school background and 39.9% lived alone. 65.6% had less than one million won of monthly averaged household income. 86.2% were in a bad state of health and wer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rthritis, diabetes in order of occurrence.
      Second,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the recognized oral health status in general. There were several occasions when the aged felt inconveniences such as chewing, gingival bleeding, thermal stimulus in order of occurrence. Although there wer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total health status of the whole body, we could not find any meaning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uality, age,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ird, in the part of oral health behavior, we found that the average frequencies of tooth-brushing increased in proportional with academic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the whole body health status. Tooth-brushing timing is after breakfast, dinner, lunch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creased in proportional with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but in inverse proportional to age. Male smoking rate is 73.5%, much higher than female smoking rat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oral health behavior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to the average frequencies tooth-brushing, chewing, gingival bleeding, thermal stimulus. Smoking concerned the generally recognized oral health status. The experience of oral treatment had meaningful relation to chewing, gingival bleeding, thermal stimulus
      This study result was expected with the fact that it could be applied with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for the aged of the community in Nowon-Gu, Seoul. In senior oral care service, there should be denture services which can help the aged solve problems in chewing, as well as preventive oral care services which can help the aged use the remaining teeth or prosthesis healthily.
      번역하기

      When people arrive at old age, they loses their teeth fast. So, old people should delay their losses of teeth by practicing proper oral care. The adequate information about oral diseases will help the aged to put proper oral care in practice. Many old...

      When people arrive at old age, they loses their teeth fast. So, old people should delay their losses of teeth by practicing proper oral care. The adequate information about oral diseases will help the aged to put proper oral care in practice. Many old people in Korea don't get proper oral care treatment in time due to the high expenses compared to their reduced income. They also don't practice any preventive cares for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eventually they lose their teeth and need prosthetic treatment. However, prosthetic treatment imposes high expenses on them because national health insurance do not bear expenses for prosthetic treatmen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fundamental data on the oral care service for the aged of the community by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ir oral health behavior.
      Using a questionnaire, this study examined 276 people over the age of 60, who use senior welfare centers, halls for the aged, health centers, and home-nursing between Oct. 20 2009 and Nov 10 2009 in Nowon-Gu,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ed surveyed have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re were two times more females than males. The distribution of age was 48.6% early 60th, 38.8% mid 70th, 12.7% over 80. 59.8% had less than primary school background and 39.9% lived alone. 65.6% had less than one million won of monthly averaged household income. 86.2% were in a bad state of health and wer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rthritis, diabetes in order of occurrence.
      Second,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the recognized oral health status in general. There were several occasions when the aged felt inconveniences such as chewing, gingival bleeding, thermal stimulus in order of occurrence. Although there wer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total health status of the whole body, we could not find any meaning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uality, age,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ird, in the part of oral health behavior, we found that the average frequencies of tooth-brushing increased in proportional with academic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the whole body health status. Tooth-brushing timing is after breakfast, dinner, lunch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creased in proportional with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but in inverse proportional to age. Male smoking rate is 73.5%, much higher than female smoking rat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oral health behavior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to the average frequencies tooth-brushing, chewing, gingival bleeding, thermal stimulus. Smoking concerned the generally recognized oral health status. The experience of oral treatment had meaningful relation to chewing, gingival bleeding, thermal stimulus
      This study result was expected with the fact that it could be applied with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for the aged of the community in Nowon-Gu, Seoul. In senior oral care service, there should be denture services which can help the aged solve problems in chewing, as well as preventive oral care services which can help the aged use the remaining teeth or prosthesis health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 제2장 이론적 배경
      • 제1절 구강건강상태의 의의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 제2장 이론적 배경
      • 제1절 구강건강상태의 의의
      • 1. 구강건강상태의 개념
      • 2. 구강건강상태의 특징
      • 3. 노년기 구강건강상태의 유형
      • 제2절 구강건강생활실천의 의의
      • 1. 구강건강생활실천의 개념
      • 2. 구강건강생활실천의 특징
      • 3. 구강건강생활실천의 유형
      • 제3절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과의 관계
      • 제4절 보건과 복지
      • 1.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 2. 우리나라 보건소의 구강보건사업
      • 3. 서울시 노원구의 지역보건의료계획
      • 제3장 연구방법
      • 제1절 연구설계
      • 1. 연구모형
      • 2. 가설설정
      • 제2절 조사 설계
      • 1. 연구대상
      • 2. 자료수집 방법
      • 3. 측정도구 분석
      • 제4장 연구 분석
      • 제1절 조사대상 및 기본적 통계 분석
      • 1. 사회 인구학적 특징에 대한 빈도 분석
      • 2.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빈도 분석
      • 3. 구강건강생활실천에 대한 빈도 분석
      • 제2절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 제3절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생활실천
      • 제4절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생활실천의 관계
      • 제5장 결론
      • 제1절 결론
      • 제2절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