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effect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Moderated Mediation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Perceived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7085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덕여자대학교 , 아동-심리학과 , 2022. 8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88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주영

      • UCI식별코드

        I804:11021-000000107463

      • 소장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취약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을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 대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 우울, 인지적 취약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 지각된 스트레스의 부정적 지각 요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 및 우울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를 인지적 취약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인지적 취약성이 매개 역할을 하며 그 과정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조절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울한 청소년에 대한 치료적 개입 시,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가족 요인의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개인 내적 요인의 인지적 취약성, 환경적 요인의 지각된 스트레스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취약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을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 대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 우울, 인지적 취약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 지각된 스트레스의 부정적 지각 요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 및 우울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를 인지적 취약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인지적 취약성이 매개 역할을 하며 그 과정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조절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울한 청소년에 대한 치료적 개입 시,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가족 요인의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개인 내적 요인의 인지적 취약성, 환경적 요인의 지각된 스트레스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perceived stres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18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the process which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s depression mediated by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 depression, and cognitive vulnerability. However, in the negative perception factor of perceived stress,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Secon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cognitive vulner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Fourth, perceived str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Fifth, the process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ing depression mediated by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was moderated by perceived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gnitive vulner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moderates this process. Therefore,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depressed adolescents should consider family factors such as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individual factors such as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in an integrated wa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perceived stres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18 first and second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perceived stres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18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the process which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s depression mediated by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 depression, and cognitive vulnerability. However, in the negative perception factor of perceived stress,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Secon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cognitive vulner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Fourth, perceived str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Fifth, the process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ing depression mediated by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was moderated by perceived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gnitive vulner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moderates this process. Therefore,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depressed adolescents should consider family factors such as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individual factors such as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in an integrated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7
      • 3. 연구 모형 8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7
      • 3. 연구 모형 8
      • Ⅱ. 이론적 배경
      • 1. 청소년 우울의 특징 9
      • 2.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 11
      • 3. 우울의 인지적 취약성: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우울 간의 관계 14
      • 4. 지각된 스트레스의 영향 17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21
      • 2. 측정 도구 23
      • 3. 자료 분석 28
      • Ⅳ. 연구 결과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9
      • 2.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취약성의 매개효과 31
      • 3. 인지적 취약성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33
      • 4.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인지적 취약성,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36
      • Ⅴ. 논의
      • 1. 논의 및 결론 40
      • 2. 의의 및 제언 44
      • 참고문헌 48
      • 부록1. 설문지 66
      • 부록2. 자료수집 온라인 커뮤니티 및 SNS 목록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