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페미니즘 미술에 나타난 의상의 상징적 의미 =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ostumes seen in the Feminism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4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페미니즘 미술에서 의상은 여성의 정체성을 가장 잘 표현 하는 개념적 매체이다. 미술가들은 그동안 여성이 겪었던 폭 넓은 삶의 문제를 의상을 통해 다양하게 전달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 미술에서 의상을 통해 전달되는 상징적 의미를 범주화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페미니즘 미술의 이론적 논의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1960년대 이후 발표된 페미니즘 미술 중에서 의상이 개입된 작품을 문헌조사와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페미니즘 미술에서는 개념미술에서 일반화된 매체적 형식 외에 차별화된 형식적 특성이 있다. 순수예술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여겨졌던 바느질과 퀼트 같은 여성공예 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여성의 몸을 미술 작품의 구성 요소로 끌어 들인 것이다. 페미니즘 작가들이 의상을 통해 전달하려 했던 메시지는 결혼제도 안에서의 억압과 여성의 부재, 처녀성의 강요와 성적 만족을 위한 결혼, 여성의 성적 도구화와 상품화, 여성에 대한 정신적, 육체적 폭행과 성적 유린, 생물학적 생식이나 사회 활동과 관련된 재생산, 여성 신체의 이상화를 위한 신체적 억압, 여성성의 다원화와 문화적 차이 등으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결론 페미니즘 작가들은 여성의 삶의 다양한 문제들을 의상을 통해 표현하여 여성을 나타내는 또 다른 언어나 표현방식을 만들었다. 이러한 문맥 속에서 의상은 결혼, 신부, 처녀성, 월경, 자궁, 태아, 강간, 죽은 여인, 상품화된 여성, 계층, 다원화된 여성성, 문화적 차이 등의 개념적·상징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페미니즘 미술에서 의상은 여성의 정체성을 가장 잘 표현 하는 개념적 매체이다. 미술가들은 그동안 여성이 겪었던 폭 넓은 삶의 문제를 의상을 통해 다양하게 전달하려 노력하였...

      연구배경 페미니즘 미술에서 의상은 여성의 정체성을 가장 잘 표현 하는 개념적 매체이다. 미술가들은 그동안 여성이 겪었던 폭 넓은 삶의 문제를 의상을 통해 다양하게 전달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 미술에서 의상을 통해 전달되는 상징적 의미를 범주화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페미니즘 미술의 이론적 논의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1960년대 이후 발표된 페미니즘 미술 중에서 의상이 개입된 작품을 문헌조사와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페미니즘 미술에서는 개념미술에서 일반화된 매체적 형식 외에 차별화된 형식적 특성이 있다. 순수예술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여겨졌던 바느질과 퀼트 같은 여성공예 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여성의 몸을 미술 작품의 구성 요소로 끌어 들인 것이다. 페미니즘 작가들이 의상을 통해 전달하려 했던 메시지는 결혼제도 안에서의 억압과 여성의 부재, 처녀성의 강요와 성적 만족을 위한 결혼, 여성의 성적 도구화와 상품화, 여성에 대한 정신적, 육체적 폭행과 성적 유린, 생물학적 생식이나 사회 활동과 관련된 재생산, 여성 신체의 이상화를 위한 신체적 억압, 여성성의 다원화와 문화적 차이 등으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결론 페미니즘 작가들은 여성의 삶의 다양한 문제들을 의상을 통해 표현하여 여성을 나타내는 또 다른 언어나 표현방식을 만들었다. 이러한 문맥 속에서 의상은 결혼, 신부, 처녀성, 월경, 자궁, 태아, 강간, 죽은 여인, 상품화된 여성, 계층, 다원화된 여성성, 문화적 차이 등의 개념적·상징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In Feminism art, costumes are a conceptual medium that best expresses identity of women. Artists have attempted to express diversely a wide range of life issues experienced by women.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nd analyze symbolic meanings expressed through costumes in feminism art.
      Method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theoretical discussions of feminism art. Based on this review, the works of art involving costumes in feminism art released since the 1960s were explored and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net search.
      Results There are some unique formal characteristics in Feminism art,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media forms generalized in conceptual art. Feminism art introduced feminine crafts such as sewing and quilting which used to be regarded inferior to pure art and embraced women’s body as elements of construction for works of art. The message that feminist artists meant to deliver through costumes can be categorized as suppression of women in the hierarchical marriage system, forced virginity and marriage as a means of sexual satisfaction, sexual instrument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femal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re-production related to biological reproduction or social activities, physical suppression of women to enforce an ideal body shape, diversification of femininity and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s.
      Conclusion Feminist artists have created another language or a new mode of expression to represent women by expressing a wide range of women's life issues through costumes. In such a context, costumes have fulfilled an important role in conceptualizing or symbolizing such things as marriage, bride, virginity, menstruation, womb, embryo, rape, dead women, commercialized women, diversification of femininity, class, cultural differences, etc.
      번역하기

      Background In Feminism art, costumes are a conceptual medium that best expresses identity of women. Artists have attempted to express diversely a wide range of life issues experienced by women.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nd analyze symbolic meanin...

      Background In Feminism art, costumes are a conceptual medium that best expresses identity of women. Artists have attempted to express diversely a wide range of life issues experienced by women.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nd analyze symbolic meanings expressed through costumes in feminism art.
      Method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theoretical discussions of feminism art. Based on this review, the works of art involving costumes in feminism art released since the 1960s were explored and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net search.
      Results There are some unique formal characteristics in Feminism art,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media forms generalized in conceptual art. Feminism art introduced feminine crafts such as sewing and quilting which used to be regarded inferior to pure art and embraced women’s body as elements of construction for works of art. The message that feminist artists meant to deliver through costumes can be categorized as suppression of women in the hierarchical marriage system, forced virginity and marriage as a means of sexual satisfaction, sexual instrument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femal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re-production related to biological reproduction or social activities, physical suppression of women to enforce an ideal body shape, diversification of femininity and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s.
      Conclusion Feminist artists have created another language or a new mode of expression to represent women by expressing a wide range of women's life issues through costumes. In such a context, costumes have fulfilled an important role in conceptualizing or symbolizing such things as marriage, bride, virginity, menstruation, womb, embryo, rape, dead women, commercialized women, diversification of femininity, class, cultural differences, et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2 Phoca, S., "포스트페미니즘" 김영사 2005

      3 여성문화연구소, "페미니즘의 개념들" 동녘 2015

      4 Tuttle, L., "페미니즘사전" 동문선 1999

      5 윤난지, "페미니즘과 미술" 눈빛 2009

      6 박남희, "페미니즘(Feminism) 미술에 나타난 공예와 여성의 상관적 정체성 연구 - 주디 시카고(Judy Chicago)의 ‘디너 파티(Dinner Party)’와 미리암 샤피로(Miriam Schapiro)의 ‘파마주(Femmages)’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1 (11): 85-110, 2008

      7 정영인, "페미니즘 작가의 바느질 작업에 내재된 자아치유적 요소 연구-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 : 261-272, 2008

      8 Korsmeyer, C., "페미니즘 미학 입문"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9

      9 최정숙, "페미니즘 미술의 흐름과 비평에 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6

      10 박일호, "페미니즘 미술의 전개와 그 의의"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289-298, 2016

      1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2 Phoca, S., "포스트페미니즘" 김영사 2005

      3 여성문화연구소, "페미니즘의 개념들" 동녘 2015

      4 Tuttle, L., "페미니즘사전" 동문선 1999

      5 윤난지, "페미니즘과 미술" 눈빛 2009

      6 박남희, "페미니즘(Feminism) 미술에 나타난 공예와 여성의 상관적 정체성 연구 - 주디 시카고(Judy Chicago)의 ‘디너 파티(Dinner Party)’와 미리암 샤피로(Miriam Schapiro)의 ‘파마주(Femmages)’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1 (11): 85-110, 2008

      7 정영인, "페미니즘 작가의 바느질 작업에 내재된 자아치유적 요소 연구-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 : 261-272, 2008

      8 Korsmeyer, C., "페미니즘 미학 입문"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9

      9 최정숙, "페미니즘 미술의 흐름과 비평에 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6

      10 박일호, "페미니즘 미술의 전개와 그 의의"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289-298, 2016

      11 Gouma-Peterson, T., "페미니즘 미술의 이해" 시각과언어 1998

      12 최가정, "페미니즘 미술을 통한 여성이미지 연구 : 서구 1970·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3 이경자, "페미니즘 미술 속에 나타난 신체미술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박정실, "패션사진에 나타난 3세대 페미니즘 여성이미지" 한국의류산업학회 17 (17): 33-41, 2015

      15 Millet, K., "성의 정치학" 현대사상사 2009

      16 양진숙, "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248-261, 2012

      17 Reckitt, H., "미술과 페미니즘" 미메시스 2007

      18 Michaud, Y., "미술, 여성, 그리고 페미니즘" 궁리 2001

      19 강태희, "미국의 페미니스트 미술과 이론" 2 : 79-110, 1990

      20 조정미, "개념미술에서 의상의 역할" 한국의류학회 35 (35): 828-840, 2011

      21 Marzona, D., "개념미술" 마로니에북스 2008

      22 Lewitte, S., "Pharagraphs on conceptual art" 5 (5): 79-83, 1967

      23 Kramarae, C., "Feminism art movement. Routled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Women : Global Women's Issues and Knowledge(1)" Taylor & Francis 2000

      24 Wood, P., "Conceptual art" London 2002

      25 Godfrey, T., "Conceptual Art" Paidon Press 1998

      26 Flynt, H., "Concept Art" Heiner Friedrich 1963

      27 김연희, "20세기 후반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성모마리아> 도상의 차용과 재해석 연구" 현대미술사학회 (35) : 7-3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