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자녀들의 상호문화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8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specific content and structur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children's education of study participants. ...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specific content and structur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children's education of study participants. Thirteen married immigrant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ndu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Phenomenological tex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procedure presented by Colaizzi.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w data, it was composed of 86 sub-topics, 23 topics, and 8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in eight categories: respect for differences, discovery of positivity behind negation, acceptance of subjectivity of truth, universality that is neither inferior nor superior, Cultural appropriation, end of cultural imperialism, learning for mutual recognition, and cultural nomad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best study in Korea o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onducted by mothers, and the researchers made suggestions on inter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he follow-up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low-educated mothers, not high-educated m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자녀들의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자녀 교육에 나타난 상호문화 교육의 구체적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자녀들의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자녀 교육에 나타난 상호문화 교육의 구체적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13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수행했다. 현상학적 텍스트는 Colaizzi가 제시한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86개의 하위주제와 23개의 주제, 8개의 범주로 구성했다. 연구결과는 다름의 존중, 부정의 이면에서 긍정의 발견, 진리의 주관성 수용, 열등도 우월도 아닌 보편성, 주체적 문화적 전유, 문화 제국주의의 종전, 상호인정의 학습, 문화유목민으로 8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들에 의해 수행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국내 최고의 연구라는 의의가 있으며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제언을 했다. 후속연구에서는 고학력 어머니들이 아닌 저학력 어머니들의 교육 경험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수자,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독일 상호문화 교육과 비교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2 박봉수 ; 김영순, "포토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 K씨의 생애사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6) : 335-362, 2018

      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022, 6월호"

      4 이춘양 ; 박미숙,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 교육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67-375, 2018

      5 Diamond, J. M,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인류의 내일에 관한 중대한 질문" 김영사 2016

      6 Hardt M., "제국" 이학사 2001

      7 김영옥,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4 : 31-64, 2010

      8 최승은,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의 자녀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1 (101): 77-109, 2019

      9 갈라노바딜노자 ; 박미숙 ; 김영순, "우즈베키스탄계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이중언어교육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2 (22): 317-342, 2016

      10 민도식, "스포츠를 통한 이주민의 사회통합과 문화변용 스트레스, 사회문화적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1 이수자,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독일 상호문화 교육과 비교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2 박봉수 ; 김영순, "포토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 K씨의 생애사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6) : 335-362, 2018

      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022, 6월호"

      4 이춘양 ; 박미숙,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 교육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67-375, 2018

      5 Diamond, J. M,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인류의 내일에 관한 중대한 질문" 김영사 2016

      6 Hardt M., "제국" 이학사 2001

      7 김영옥,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4 : 31-64, 2010

      8 최승은,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의 자녀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1 (101): 77-109, 2019

      9 갈라노바딜노자 ; 박미숙 ; 김영순, "우즈베키스탄계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이중언어교육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2 (22): 317-342, 2016

      10 민도식, "스포츠를 통한 이주민의 사회통합과 문화변용 스트레스, 사회문화적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11 김수진 ; 양승우, "서울시 중구 중앙아시아거리 형성 과정 연구" 서울학연구소 (68) : 35-70, 2017

      12 최재식, "상호문화성의 현상학― 문화중심주의를 넘어 상호문화성으로 ―" 한국현상학회 (30) : 1-30, 2006

      13 이화도, "상호문화성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의 이해" 한국비교교육학회 21 (21): 171-193, 2011

      14 박인철, "상호문화성과 윤리 ― 후설 현상학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회 (103) : 129-157, 2010

      15 신용식, "상호문화교육의 상호포괄적 전개에 대한 고찰 : 라인홀드 베른하르트의 상호포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1-25, 2021

      16 한욱, "상호문화교육을 기반으로 중국인 대상의 한국 문화교육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1

      17 이지현, "상호문화교육 모형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18 융티탄프엉,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에 대한 모어 교육 경험 연구" 205-209, 2018

      19 조해정,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문화적 중첩" 범한철학회 74 (74): 501-531, 2014

      20 정기섭, "독일 학교에서 상호문화교육의 실행원칙과 실천사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129-152, 2020

      21 권미경, "다문화주의 실현과 평생교육의 역할-여성결혼이민자 교육에 관한 비교문화적 고찰-" 21 : 1-15, 2008

      22 김학태,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정책 연구 - 한국과 EU의 사회통합 모델을 중심으로 -" 유럽헌법학회 (18) : 127-170, 2015

      23 이경희, "다문화사회 교육의 두 관점-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2 : 37-55, 2011

      24 조용환,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1-29, 2011

      25 이진선,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 이중언어·상호문화교육 지원 프로그램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1

      26 이윤정,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교재 다문이의 세시풍속 이야기를 활용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27 변종헌,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전망과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41) : 253-272, 2016

      28 김유진 ; 오성배,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자녀 교육열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135-160, 2013

      29 허선미 ; 최인이, "고학력 결혼이주여성의 탈구위치와 인정투쟁: 이중언어강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81-211, 2016

      30 서미옥,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초등학생 자녀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2) : 95-124, 2013

      31 정민승 ; 조지연, "고등평생학습을 통한 세계시민적 주체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새로운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결혼이주여성의 경험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24 (24): 93-116, 2018

      32 최현덕, "경계와 상호문화성 - 상호문화 철학의 기본 과제" 인문학연구소 66 : 301-329, 2009

      33 서덕희,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 어려움에 대한 종단적 사례연구: 학력에 따른 아비투스와 문화접변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211-247, 2015

      34 유향선 ; 봉진영 ; 윤재희,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지도 경험에 관한 고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09-133, 2011

      35 김선숙 ; 왕경수, "결혼이주여성의 인정투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Hegel과 Honneth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6 (16): 1-27, 2022

      36 이화선, "결혼이주여성의 에이전시와 다문화담론: 재현과 경험의 간극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37 임혜정,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 실천 경험 분석"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1 (11): 77-97, 2018

      38 Sassen, S., "Women’s burden : counter-geographics of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53 : 503-524, 2000

      39 Wirihana, L., "Using Colaizzi’s method of data analys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urse academics teaching on satellite campuses" 25 (25): 30-52, 2018

      40 안수진 ; 한효정, "US Student Teachers’ Cross-Cultural Teaching Abroad Experience at a Korean High School" 교육연구소 24 (24): 733-758, 2018

      41 Bhabha, H.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2012

      42 Caetano, A., "Student voice and participation in intercultural education" 9 (9): 57-73, 2020

      43 Padgett, D. K.,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 Sage 2016

      44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A methods sourcebook" Sage 2018

      45 Salter, P., "Navigating the ‘inter’in intercultural education" 39 (39): 15-30, 2018

      46 Fornet-Betancourt, R., "Lo intercultural : el problema de su definición" 103 : 1-3, 2002

      47 Jobst, S., "Lived Democracy in Education" Routledge 40-52, 2021

      48 Verma, G. K., "Intercultural education: Theories, policies and practice" Routledge 55-64, 2019

      49 Mikander, P., "Intercultural education in transition : Nordic perspectives" 9 (9): 40-56, 2018

      50 Sanromá, E., "Immigrant wages in the Spanish labour market: Does the origin of human capital matter?" IZA 2009

      51 Creswell, J. W, "Ee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on,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earson 2008

      52 Holliday, A., "Designing a course in intercultural education" 1 (1): 4-11, 2018

      53 Kymlicka, W,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4 Lam, H., "Are former"third-culturekid"The ideals business experiates?" 9 (9): 109-122, 2004

      55 Berry, J. W,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ement, and applied resear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37, 2003

      56 최영진, "<노마드랜드>에 나타난 정주하지 않는 삶의 양면성: 과거의 흔적과 현재 사이의 부유"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8) : 7-30,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