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 관점 연구 = A Study of User-Centered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5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smart home products and services generate different levels of smart home interaction and demand various user needs. Research on smart home, however, tends to focus on technology rather than users themselves. This study tries to re-center the focus on users by presenting a user-centered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Methods : This study review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smart home interaction and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The derived elements are then applied to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to present a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Each viewpoint is further elaborated with a case study followed by recommendations for enhanced user experience.
      Result : A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is presented as 1) interface: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smart things, 2) communication: interaction between users, 3) eco-system: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system, and 4) awareness: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service. For each case study, Philips Hue, Google Home application, Amazon Echo, and Ninjablocks is introduced. Recommendations for better user experience includes: familiar design and simple control for interface, identifying user and establishing their relationship for communication, enhancing agent’s communication skills for eco-system, and enhancing user’s understanding for awareness.
      Conclusion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body of knowledge of interaction design by presenting a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The framework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various interactions and possible user experience. This study hope to help design future smart home products and services.
      번역하기

      Background :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smart home products and services generate different levels of smart home interaction and demand various user needs. Research on smart home, however, tends to focus on technology rather than users themselves....

      Background :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smart home products and services generate different levels of smart home interaction and demand various user needs. Research on smart home, however, tends to focus on technology rather than users themselves. This study tries to re-center the focus on users by presenting a user-centered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Methods : This study review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smart home interaction and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The derived elements are then applied to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 to present a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Each viewpoint is further elaborated with a case study followed by recommendations for enhanced user experience.
      Result : A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is presented as 1) interface: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smart things, 2) communication: interaction between users, 3) eco-system: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system, and 4) awareness: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service. For each case study, Philips Hue, Google Home application, Amazon Echo, and Ninjablocks is introduced. Recommendations for better user experience includes: familiar design and simple control for interface, identifying user and establishing their relationship for communication, enhancing agent’s communication skills for eco-system, and enhancing user’s understanding for awareness.
      Conclusion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body of knowledge of interaction design by presenting a smart home interaction framework. The framework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various interactions and possible user experience. This study hope to help design future smart home products and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스마트 홈 제품과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과 사용자 니즈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스마트 홈에 대한 연구는 기술 중심으로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의 관점을 제시하여 스마트 홈 사용자 경험을 확장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인터랙션의 요소를 도출하고 뷰캐넌의 인터랙션의 차원을 소개한다. 도출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 요소를 뷰캐넌의 인터랙션 차원에 적용하여 스마트 홈 인터랙션 관점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네 가지 관점에 부합하는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스마트 홈의 네 가지 인터랙션 관점으로 사용자와 스마트 사물의 상호작용인 인터페이스, 사용자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트를 통한 사용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인 생태계, 그리고 사용자와 서버의 상호작용인 인지를 제시하였다. 각각의 관점에 대한 예시로 필립스 휴, 구글 홈 앱, 아마존 에코, 닌자블럭을 소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페이스 관점에서는 친숙한 디자인과 간단한 조작을,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는 사용자 규명과 관계 설정을, 생태계 관점에서는 에이전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마지막으로 인지의 관점에서는 사용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인터랙션 관점을 제시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였다. 스마트 홈 인터랙션의 관점은 다양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과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스마트 홈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한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할 때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 스마트 홈 제품과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과 사용자 니즈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스마트 홈에 대한 연구는 기술 중심으로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낮은 ...

      연구배경 : 스마트 홈 제품과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과 사용자 니즈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스마트 홈에 대한 연구는 기술 중심으로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의 관점을 제시하여 스마트 홈 사용자 경험을 확장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인터랙션의 요소를 도출하고 뷰캐넌의 인터랙션의 차원을 소개한다. 도출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 요소를 뷰캐넌의 인터랙션 차원에 적용하여 스마트 홈 인터랙션 관점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네 가지 관점에 부합하는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스마트 홈의 네 가지 인터랙션 관점으로 사용자와 스마트 사물의 상호작용인 인터페이스, 사용자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트를 통한 사용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인 생태계, 그리고 사용자와 서버의 상호작용인 인지를 제시하였다. 각각의 관점에 대한 예시로 필립스 휴, 구글 홈 앱, 아마존 에코, 닌자블럭을 소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페이스 관점에서는 친숙한 디자인과 간단한 조작을,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는 사용자 규명과 관계 설정을, 생태계 관점에서는 에이전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마지막으로 인지의 관점에서는 사용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인터랙션 관점을 제시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였다. 스마트 홈 인터랙션의 관점은 다양한 스마트 홈 인터랙션과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스마트 홈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한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할 때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별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관한 연구: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2016

      2 커넥팅랩, "사물인터넷 실천과 상상력" 미래의 창 2015

      3 Buchanan, R, "Wicked Problems in Design Thinking" 8 (8): 1992

      4 Woo, J. B, "User Experience in Do-It-Yourself-Style Smart Homes" 2015

      5 Ziegeldorf, J. H, "Privacy in the Internet of Things: Threats and Challenges" 7 (7): 2014

      6 Fiske, J,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Methuen Publishing 1982

      7 Zeng, E, "End User Security and Privacy Concerns with Smart Homes" 2017

      8 Tahkokallio, P, "Design-Pleasure Or Responsibility: Selected and Edited Articles from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at the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elsinki UIAH 21-23 June 1994"

      9 Laurel, B, "Computers as Theatr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93

      10 Mortensen, C. D, "Basic Readings in Communication Theory" Harper & Row 1979

      1 김동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별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관한 연구: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2016

      2 커넥팅랩, "사물인터넷 실천과 상상력" 미래의 창 2015

      3 Buchanan, R, "Wicked Problems in Design Thinking" 8 (8): 1992

      4 Woo, J. B, "User Experience in Do-It-Yourself-Style Smart Homes" 2015

      5 Ziegeldorf, J. H, "Privacy in the Internet of Things: Threats and Challenges" 7 (7): 2014

      6 Fiske, J,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Methuen Publishing 1982

      7 Zeng, E, "End User Security and Privacy Concerns with Smart Homes" 2017

      8 Tahkokallio, P, "Design-Pleasure Or Responsibility: Selected and Edited Articles from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at the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elsinki UIAH 21-23 June 1994"

      9 Laurel, B, "Computers as Theatr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93

      10 Mortensen, C. D, "Basic Readings in Communication Theory" Harper & Row 1979

      11 Dewey, J, "Art as Experience" Balch & Company 19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52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