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의 시가지계획과 군사기지화 정책 = Daegu’s urban planning and military base policy during the Asia-Pacific War (1931∼194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0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제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도시계획의 본질적인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식민도시체제와 지역사적 관점에서, 남한의 대표적인 군사령부가 있었던 대구지역을 사례로 군사적 측면...

      본고는 일제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도시계획의 본질적인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식민도시체제와 지역사적 관점에서, 남한의 대표적인 군사령부가 있었던 대구지역을 사례로 군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대구는 영남지역 정치 경제 군사의 중심지일 뿐 아니라, 대구항공기지가 일본 본토의 오쓰키(小月)항공기지까지 연결한다는 점에서 지역적 차원의 식민도시 개발사례로서 적합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제국주의는 1929년 미국발 세계대공황을 돌파하기 위해 전쟁을 통해 세력권을 확대하여 돌파구를 찾으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은 대륙병참기지로 위치지어 졌으며, 그 법제 장치가 ‘조선시가지계획령’이다. 시가지계획령은 해상루트(쓰루가-나진-중국), 대륙루트(시모노세키-부산-대구-경성-중국) 노선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목적이었다.
      대구의 주요 군사 시설인 대구항공기지는 시가지계획령이 발효되기 10년 전인 1926년부터 조선총독부와 경상북도에 의해 도로공사가 추진되었으며, 1937년 1월에 동촌(東村)에 개장한다. 이와 함께 대구에도 도시계획이 결정되는데, 1937년 1월 29일 제3회시가지계획위원회에서 1965년 인구 35만명을 기준으로 시가지계획 구역, 도로망, 구획정리구간을 결정하였다. 총독은 1940년 7월 22일에 대구의 공업지구와 주택경영지구를 인가하였다.
      그런데 1941년 이후 미국의 개입과 연합군의 전투가 시작되자, 대구부, 조선총독부와 육군성은 대구 시가지계획 원안을 특히 전쟁에 필요한 군사적 가로망 설치와 비행장을 긴급히 확대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당시 한반도 남부에 설치된 항공부대 22개 중 10개가 경상도에 설치되었으며, 1940년부터 육군성은 대구항공기지와 일본의 오쓰키항공기지를 연결하여 매일 전투기와 항공수송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그리고 1945년 2월 이후부터 대구사관구 사령부와 대구항공부대는 부산, 포항, 울산, 김천, 진주, 사천 등의 군사기지, 항공부대와 연결되었다.
      이처럼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도시계획은 시가지 구획 통제, 군사병참 도로망, 군사적 항공수송 노선 등을 위주로 전략적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계획은 조선시가지계획령이 표방하고 있는 주민의 복리 증진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병참기지의 수송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일본육군성의 목적이 강하게 관철된 편중된 식민도시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questione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by the Japanese Empire, focusing on the military aspects of the Daegu area, where was the seat of the military headquarters of southern Joseon, in terms of colonial ur...

      This study questione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by the Japanese Empire, focusing on the military aspects of the Daegu area, where was the seat of the military headquarters of southern Joseon, in terms of colonial urban system and regional history. Daegu was not only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center of Yeongnam region, but also the area connected to Japan.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lonial city at the regional level and this study can help fill in the gaps created by the lack of researches on the colonial urbanization of traditional cities in wartim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urpose of the colonial city development by the Japanese Empire in Joseon was to establish a logistics base for advancing onto the Asian continent. In addition, it identifies the historical origin and continuity of the Daegu area as a military bas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U.S. still has military operational authority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1929, in order to overcome the impact of the Great Depression tha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Japanese imperialists sought to find a way to increase capital accumulation by expanding power through invasions into China and other countries around Pacific area. In this process, they attempted to make Joseon their logistical base for advancing onto the continent, and the legislative device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as the Joseon Urban Planning Act. Its main purpose was to develop sea and continental routes.
      The Daegu Urban Planning was implemented after the decision on its zoning, road networks and areas for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had been made in the third Urban Planning Committee meeting on January 29, 1937. The planning was established for an estimated population of 0.35 million by 1965 and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approved the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residential zones on July 22, 1940.
      However, when the battl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Allied Forces began, the Daegu Urban Planning was strategically implemented with a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logistics road networks(The route connecting Daegu Military District and Busan, Pohang, Ulsan, etc.) and air transportation routes (Deagu-Otsuki airbase, 22 airbases in the southern region etc.) in the 1940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aegu Urban Planning in the 1940s was not implemented for the promotion of the well-being of residents, which was the purpose proclaimed in the Joseon Urban Planning, but functioned as a colonial urban planning project that was mainly driven by the needs of the Ministry of the Army for the easy transportation of military supplies. Thus, as the Japanese cabinet and the military withdrew after their defeat, the leading task force for the related projects disappeared all at once, which led to the discontinuation of the urban plan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야노토루, "지역연구의 방법" 전예원 1997

      2 전경수, "지역연구, 어떻게 하나" 서울대 출판부 1999

      3 수요역사연구회, "제국 일본의 하늘과 방공, 동원 1 – 방공정책과 식민지조선" 선인 2012

      4 인천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근대도시 형성-1920·30년대 도쿄·오사카·경성·인천의 도시계획론과 기념 공간을 중심으로-" 심산 2009

      5 김경남, "일제하 조선에서의 도시 건설과 자본가집단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6 염복규,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7 이지영, "일제의 한반도 침탈과 부산·진해만요새의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21

      8 김경남, "일제의 식민지배와 역사적 책임" 경북대출판부 2020

      9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대륙침략 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부경대학교 2015

      10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일지사 1994

      1 야노토루, "지역연구의 방법" 전예원 1997

      2 전경수, "지역연구, 어떻게 하나" 서울대 출판부 1999

      3 수요역사연구회, "제국 일본의 하늘과 방공, 동원 1 – 방공정책과 식민지조선" 선인 2012

      4 인천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근대도시 형성-1920·30년대 도쿄·오사카·경성·인천의 도시계획론과 기념 공간을 중심으로-" 심산 2009

      5 김경남, "일제하 조선에서의 도시 건설과 자본가집단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6 염복규,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7 이지영, "일제의 한반도 침탈과 부산·진해만요새의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21

      8 김경남, "일제의 식민지배와 역사적 책임" 경북대출판부 2020

      9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대륙침략 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부경대학교 2015

      10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일지사 1994

      11 김일수, "일제강점 전후 대구의 도시화과정과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소 10 : 2003

      12 앤소니 킹, "세계체제와 도시문화" 시각과 언어 1999

      13 구모룡, "부산 : 식민도시와 근대도시를 넘어서, 부산연구의 문화론적 접근" 8 : 2008

      14 조선총독부 토목과, "등도로 대구비행장선 (달성군 해안면) 개수공사설계서 및 도면"

      15 조선총독부 토목과 경상북도, "대구비행장선 개수공사 착수보고"

      16 경북도로관리사업소, "대구비행장노선 설계원도"

      17 조선총독부 토목과 행정계, "대구비행장 확장에 따른 도로부 상호관리환의 건 및 도면지도"

      18 이창언, "대구·경북지역 지역연구의 동향과 과제" 8 : 2008

      19 계명대개교50주년준비위원회, "대구 근대의 도시발달과정과 민족운동의 전개" 계명대 개교50주년준비위원회 2004

      20 김경남, "韓末 日帝의 鎭海灣要塞 建設과 植民都市 開發의 變形" 28 : 2012

      21 坂本 悠一, "近代植民地都市 釜山" 桜井書店 2007

      22 黒川雄三, "近代日本の軍事戦略概史" 芙蓉書房 2003

      23 橋谷弘, "軍港都市史研究 6 要港部編" 清文堂出版 2016

      24 纐纈厚, "総力戦体制研究 日本陸軍の国家総動員構想" 三一書房 1981

      25 朝鮮總督府, "第3回市街地計劃委員會關係書綴"

      26 奥平康, "治安維持法小史" 岩波書店 2006

      27 中村資郞,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東亞經濟時報社 1941

      28 編輯委員會, "朝鮮所在重砲兵聯隊史" 1999

      29 内閣総理大臣 近衞文麿, "朝鮮市街地計画令令中ヲ改正ス" 1940

      30 内閣総理大臣 斉藤實, "朝鮮市街地計画令ヲ定ム" 1934

      31 陸軍省, "日本小月ー大邱航空輸送開始計劃槪要"

      32 橋谷 弘, "帝国日本と植民地都市" 吉川弘文館 2004

      33 金慶南, "帝国と植民地における不均衡残存記録の構造と植民地支配の特徴" 15 : 2011

      34 大邱府, "市街地計劃令による細道路網確定告示の件" 1942

      35 大邱府, "市街地計劃ニ関スル書類" 1941

      36 朝鮮總督府, "官報"

      37 朝鮮総督府, "大邱都市計画ニ伴フ軍用地管理換ノ件"

      38 『東亞日報』東洋拓殖株式会社, "大邱支店扱貸付金関係』 17C 203号"

      39 柳濟憲, "大邱圈地域에 있어서 空間構造의 近代化 過程" 대한지리학회 7 (7): 1992

      40 金峻憲, "大邱商工協會의 實體; 會報를 통해서" 성곡학술문화재단 14 : 1983

      41 朝鮮総督府, "大臣ヨリ朝鮮総督ヘ囘答案(拓務省経由)"

      42 吉田秀夫, "国防国土学 : 東亜共栄圏の国土計画" ダイヤモンド社 1942

      43 陸軍省, "南朝鮮主要兵團配置要圖" 1945

      44 井筒康人, "列島中央の軍事拠点" 吉川弘文館 2015

      45 高橋三七, "事業と鄕人" 實業タトムス社 大陸硏究社 1939

      46 김일수, "‘한일병합’ 이전 대구의 일본인거류민단과 식민도시화" 한국학연구원 (59) : 253-283, 2015

      47 Headquartrs Fifth Air Force in Korea, "[5AF Documentation (6/56)]-Outgoing Messages, Nov.10, 50Thru Nov.18] HQ5AFK에서 제8전투폭격비행대장 (대구비행장)에게 보낸 전문"

      48 조선총독부 토목과, "2차 궁민구제 착수보고(2등도로 진주 삼천포 선동 대구 통영선 울산비행장선 전주 진주선도로"

      49 김윤미, "1930년대 나진 개항과 항만도시 건설의 군사적 전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 (20): 1-25, 2019

      50 김경남, "1894-1910년 한국과 일본 근대기록구조의 중층성과 종속성 - 전북지역 전략적 인프라구축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5 (15): 55-8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3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3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