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의 인클루시브 디자인 적용 연구 = A study on the inclusive design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of the Deagu metropolitan subway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2618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81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임경호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10770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over a century, subwa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undergrou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gestion and crowding in cities. Since their development, subway systems have proved to be one of the major forms of transportation in major cities. However, subway systems are not without their faults as disastrous accidents relating to closed underground spaces have occurred in subway systems around the globe. One example is the Daegu subway fire of 2003. Despite such accidents occurring, there is still an increase in accidents regardless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prevent them. In addition, subway syste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due expanding connections and increasing the size of stations, which causes a great of confusion for passengers. Such expansions are convenient for urban development, but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e drawbacks of subway systems operate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conditions that increase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that helps prepare subway passengers wit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act quickly and safely in dangerous situations.
      In addressing this matt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user-centered notification system design with the applied incline design principle that a notific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present easily comprehendible informat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inclusive design principle in the subway, which has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ill be an indispensable measure in disaster not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ion of subway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fficient and systematic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after identifying the current problems or lack of visual elements of the Daegu Metropolitan Subway System.
      This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by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afety and the subway sign system, and by examining the theory of the inclusive design. In doing so, conclusions were drawn by observing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ubway systems and their safety notification procedures. Additionally, four elements of typography, pictogram, color, and layout were used as visual elements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which included the four design evaluation factors of unity, continuity, simplicity, and legibility. These four design evaluation factors were integrated and grouped, and the four evaluation items were reclassified. For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disaster notification systems, we analyzed the case of visual elements in Munich, England, Fukuoka, Nanakuma, Seoul, and Daegu.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bway history of Daegu,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reclassified inclusive design assessment factors for disaster notification systems, we drew three conclusions for improving the Daegu subway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First, since the color used as a visual element for the attention factor is recognized faster than the depiction of writings or characters, it is applied to the evacuation guidance for high visibility. Fluorescent or LED signs are also effective means of evacuation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Second, the uniformity and simplicity of the facilities make it possible for passengers to see safety signs quickly and easily through repeated exposure. This serve as a form of pre-notification for passengers that can be use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the minimum area ratio of the safety equipment so as to be able to be quickly seen from any distance range. This would easily draw the attention of passengers to safety equipment in the case of an emergency, without confusion. In conclusion,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of the subway is an important safety necessity for all users, to include all types of passengers (regular adults, disabled persons, foreign individuals, etc.).

      Therefo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continuous management and a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tantly improved in order to maximize efficiency and safety in case of an emergency.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ubway safety and the prevention of subway accidents through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of the Deagu Metropolitan Subway, which is applied to the inclusive desig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safety and the inclusive design for analysis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of the Daegu Metropolitan Subway Lines 1 and 2, analyz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systematic improvements of the sign system, and established sugges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Based on this research, we will analyze the cognitive approach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evelop a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each function so that users can quickly find the location of safety facilities and equipment in emergency situations. Additionally, we seek to find an effective method for analyzing the psychology of recognition and recognition response, in addition to color, pictogram, layout, and typography.
      번역하기

      For over a century, subwa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undergrou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gestion and crowding in cities. Since their development, subway systems have proved to be one of the major forms of transportation in major cities. ...

      For over a century, subwa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undergrou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gestion and crowding in cities. Since their development, subway systems have proved to be one of the major forms of transportation in major cities. However, subway systems are not without their faults as disastrous accidents relating to closed underground spaces have occurred in subway systems around the globe. One example is the Daegu subway fire of 2003. Despite such accidents occurring, there is still an increase in accidents regardless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prevent them. In addition, subway syste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due expanding connections and increasing the size of stations, which causes a great of confusion for passengers. Such expansions are convenient for urban development, but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e drawbacks of subway systems operate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conditions that increase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that helps prepare subway passengers wit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act quickly and safely in dangerous situations.
      In addressing this matt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user-centered notification system design with the applied incline design principle that a notific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present easily comprehendible informat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inclusive design principle in the subway, which has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ill be an indispensable measure in disaster not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ion of subway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fficient and systematic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after identifying the current problems or lack of visual elements of the Daegu Metropolitan Subway System.
      This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by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afety and the subway sign system, and by examining the theory of the inclusive design. In doing so, conclusions were drawn by observing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ubway systems and their safety notification procedures. Additionally, four elements of typography, pictogram, color, and layout were used as visual elements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which included the four design evaluation factors of unity, continuity, simplicity, and legibility. These four design evaluation factors were integrated and grouped, and the four evaluation items were reclassified. For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disaster notification systems, we analyzed the case of visual elements in Munich, England, Fukuoka, Nanakuma, Seoul, and Daegu.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bway history of Daegu,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reclassified inclusive design assessment factors for disaster notification systems, we drew three conclusions for improving the Daegu subway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First, since the color used as a visual element for the attention factor is recognized faster than the depiction of writings or characters, it is applied to the evacuation guidance for high visibility. Fluorescent or LED signs are also effective means of evacuation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Second, the uniformity and simplicity of the facilities make it possible for passengers to see safety signs quickly and easily through repeated exposure. This serve as a form of pre-notification for passengers that can be use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the minimum area ratio of the safety equipment so as to be able to be quickly seen from any distance range. This would easily draw the attention of passengers to safety equipment in the case of an emergency, without confusion. In conclusion,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of the subway is an important safety necessity for all users, to include all types of passengers (regular adults, disabled persons, foreign individuals, etc.).

      Therefo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continuous management and a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tantly improved in order to maximize efficiency and safety in case of an emergency.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ubway safety and the prevention of subway accidents through the disaster notification sign system of the Deagu Metropolitan Subway, which is applied to the inclusive desig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safety and the inclusive design for analysis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of the Daegu Metropolitan Subway Lines 1 and 2, analyz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systematic improvements of the sign system, and established sugges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Based on this research, we will analyze the cognitive approach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evelop a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each function so that users can quickly find the location of safety facilities and equipment in emergency situations. Additionally, we seek to find an effective method for analyzing the psychology of recognition and recognition response, in addition to color, pictogram, layout, and typograph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밀집화로 인한 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공간에 개발된 지하철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도시의 공공 인프라이자 현대인의 기본 교통수단인 지하철은 많은 사용객들이 사용하며 폐쇄적인 지하공간의 특성으로 재난 사고 발생 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이후로 안전관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상공간과의 연결로 지하철은 복잡해지면서 정보가 많아져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도시 발전으로 편리해지고 있지만 다른 이면에는 재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특히, 지하철은 지하에 위치한다는 공간 특성으로 지상에 비하여 재난 시 심리적, 환경적으로 취약하므로 위험 상황에서 사용객 스스로 안전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재난안내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재난 안내사인은 지하공간의 특성을 고려하고 누구나 차별없이 쉽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클루시브 디자인 원리가 적용된 사용객 중심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객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인 지하철에서 인클루시브 디자인 원리의 적용은 필수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계속되는 지하철 안전 사고에 따라 본 연구는 지하철 역사 내 사인의 시각 요소 문제점을 파악한 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안내사인을 구축해 가는데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안전의 개념 및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에 대한 이해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이론고찰을 한 후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재난 안내사인의 시각 요소로서 타이포그래피, 픽토그램, 컬러, 레이아웃의 4가지 항목을 통일성, 연속성, 단순성, 가독성의 4가지 사인 요소와 인클루시브 디자인 7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재난 안내사인 평가요소를 위한 요소로서 ‘접근성’, ‘가독성’, ‘공평성’, ‘적용성’ 4가지를 도출한다. 재난 안내사인의 국외 사례로 독일 뮌헨, 영국 런던, 후쿠오카 나나쿠마선의 시각요소 사례 분석과 국내 서울 지하철 시각 요소 사례 분석하여 대구 지하철 역사의 종합분석 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재난 안내사인의 재분류한 인클루시브 디자인 평가 요소에 따른 종합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구 지하철 역사의 재난 안내사인 구축 시 개선해야 할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각 요소 중 주목성을 위한 요소로 사용되는 컬러는 문자보다 빠르게 인지되기에 사용자들에게 비상 시 신속한 대피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대구 지하철 역사 내에서도 레드 컬러를 주된 색으로 대부분 사용하지만 색각이상자, 장애, 저 시력자를 고려하여 픽토그램과 기호표시를 이용한 시각 정보가 필요하고 글자의 컬러가 변질되지 않도록 유지 · 관리를 해야한다. 또한, 대구 지하철 방화참사 시 검은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시인성이 높은 고채도, 형광색 또는 기능적인 부분에서 LED로 피난 유도에 적용하도록 한다.둘째, 시설물들의 통일성과 단순성으로 사용자들에게 반복적 노출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재난 안내사인의 기능에 따라 비상 대응, 대피를 위한 사인으로 나누어 제한 된 컬러와 통일된 타이포그래피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방향성과 연속성을 가진다면 사용자들에게 비상 대응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다. 셋째, 공평성을 갖춘 픽토그램의 활용이 일관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누구나 쉽게 신속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차별없는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불특정 다수를 고려해 픽토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긴급 상황 시 인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하고 자세한 사용 방법 내용보다 단순화된 시각 요소를 활용하여 가독성과 인지성을 갖추어야 한다.넷째, 화살표 위치와 기호들을 이용한 안전설비의 위치를 유도하는 안내 선의 사용은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들에게 혼돈하지 않게 하고 빠른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용성을 갖추게 된다면 각 시각 요소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거리에서도 빠른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안전설비들의 최소한 면적 비율을 정하여 주목성을 높여야 한다. 정해진 면적 비율에서 안내사인과 안전설비들을 한 곳에 설치하면 비상 시 시선 흐름에 혼란을 주지 않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노력은 안전 환경의 개선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적용한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들이 계속되는 지하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으로 대구 지하철 1호선 2호선 재난 안내사인을 대상으로 지하공간 특성과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고려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체계적인 재난 안내사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지하철의 안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안을 구축해 가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차후 정보전달의 인지적 부분까지 분석하여 긴급 상황에 사용객 스스로 안전 시설물 위치를 신속하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에 맞춘 재난 안내사인을 개발하기 위해 컬러, 픽토그램,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에서 더 나아가 인지 심리, 반응을 고려한 효과적인 전략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도시 밀집화로 인한 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공간에 개발된 지하철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도시의 공공 인프라이자 현대인의 기본 교통수단인 지하철은 ...

      도시 밀집화로 인한 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공간에 개발된 지하철은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도시의 공공 인프라이자 현대인의 기본 교통수단인 지하철은 많은 사용객들이 사용하며 폐쇄적인 지하공간의 특성으로 재난 사고 발생 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이후로 안전관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상공간과의 연결로 지하철은 복잡해지면서 정보가 많아져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도시 발전으로 편리해지고 있지만 다른 이면에는 재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특히, 지하철은 지하에 위치한다는 공간 특성으로 지상에 비하여 재난 시 심리적, 환경적으로 취약하므로 위험 상황에서 사용객 스스로 안전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재난안내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재난 안내사인은 지하공간의 특성을 고려하고 누구나 차별없이 쉽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클루시브 디자인 원리가 적용된 사용객 중심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객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인 지하철에서 인클루시브 디자인 원리의 적용은 필수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계속되는 지하철 안전 사고에 따라 본 연구는 지하철 역사 내 사인의 시각 요소 문제점을 파악한 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안내사인을 구축해 가는데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안전의 개념 및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에 대한 이해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이론고찰을 한 후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재난 안내사인의 시각 요소로서 타이포그래피, 픽토그램, 컬러, 레이아웃의 4가지 항목을 통일성, 연속성, 단순성, 가독성의 4가지 사인 요소와 인클루시브 디자인 7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재난 안내사인 평가요소를 위한 요소로서 ‘접근성’, ‘가독성’, ‘공평성’, ‘적용성’ 4가지를 도출한다. 재난 안내사인의 국외 사례로 독일 뮌헨, 영국 런던, 후쿠오카 나나쿠마선의 시각요소 사례 분석과 국내 서울 지하철 시각 요소 사례 분석하여 대구 지하철 역사의 종합분석 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재난 안내사인의 재분류한 인클루시브 디자인 평가 요소에 따른 종합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구 지하철 역사의 재난 안내사인 구축 시 개선해야 할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각 요소 중 주목성을 위한 요소로 사용되는 컬러는 문자보다 빠르게 인지되기에 사용자들에게 비상 시 신속한 대피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대구 지하철 역사 내에서도 레드 컬러를 주된 색으로 대부분 사용하지만 색각이상자, 장애, 저 시력자를 고려하여 픽토그램과 기호표시를 이용한 시각 정보가 필요하고 글자의 컬러가 변질되지 않도록 유지 · 관리를 해야한다. 또한, 대구 지하철 방화참사 시 검은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시인성이 높은 고채도, 형광색 또는 기능적인 부분에서 LED로 피난 유도에 적용하도록 한다.둘째, 시설물들의 통일성과 단순성으로 사용자들에게 반복적 노출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재난 안내사인의 기능에 따라 비상 대응, 대피를 위한 사인으로 나누어 제한 된 컬러와 통일된 타이포그래피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방향성과 연속성을 가진다면 사용자들에게 비상 대응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다. 셋째, 공평성을 갖춘 픽토그램의 활용이 일관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누구나 쉽게 신속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차별없는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불특정 다수를 고려해 픽토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긴급 상황 시 인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하고 자세한 사용 방법 내용보다 단순화된 시각 요소를 활용하여 가독성과 인지성을 갖추어야 한다.넷째, 화살표 위치와 기호들을 이용한 안전설비의 위치를 유도하는 안내 선의 사용은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들에게 혼돈하지 않게 하고 빠른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용성을 갖추게 된다면 각 시각 요소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원거리에서도 빠른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안전설비들의 최소한 면적 비율을 정하여 주목성을 높여야 한다. 정해진 면적 비율에서 안내사인과 안전설비들을 한 곳에 설치하면 비상 시 시선 흐름에 혼란을 주지 않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노력은 안전 환경의 개선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적용한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들이 계속되는 지하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으로 대구 지하철 1호선 2호선 재난 안내사인을 대상으로 지하공간 특성과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고려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체계적인 재난 안내사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지하철의 안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안을 구축해 가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토대로 차후 정보전달의 인지적 부분까지 분석하여 긴급 상황에 사용객 스스로 안전 시설물 위치를 신속하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에 맞춘 재난 안내사인을 개발하기 위해 컬러, 픽토그램,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에서 더 나아가 인지 심리, 반응을 고려한 효과적인 전략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제Ⅱ장 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의 안전디자인 5
      • 1. 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의 특성 5
      • 제Ⅰ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제Ⅱ장 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의 안전디자인 5
      • 1. 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의 특성 5
      • 2. 지하철의 안전사고와 안전디자인 7
      • 3. 안전 관련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역할과 필요성 12
      • 제Ⅲ장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의 기능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요소 18
      • 1. 재난 안내사인의 기능 18
      • 2. 재난 안내사인의 인클루시브 디자인 요소 25
      • 3. 국내 외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 사례 29
      • 제Ⅳ장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의 현황 및 분석 37
      • 1. 대구 지하철 현황 37
      • 2. 대구 지하철 재난 안내사인의 분석 40
      • 3. 분석 결과 65
      • 제Ⅴ장 문제점 및 개선방향 71
      • 1. 문제점 71
      • 2. 개선방향 72
      • 참고문헌 74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