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호림박물관, "호림, 문화재의 숲을 거닐다" 눌와 73-, 2012
2 김혜정, "한양도성 출토 15~16세기 청화백자의조형적 특징과 성격"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1 : 42-75, 2016
3 김태홍, "조선시대 중·후기 흑유자기의 기형변화" 호서고고학회 (29) : 182-209, 2013
4 박정민,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5 재단법인도자기엑스포, "자연을 닮은 그릇, 옹기"
6 임도빈, "자연을 닮은 그릇 옹기"
7 고준휘, "양산 가야진사유적 출토 陶磁祭器의 현황과 성격" 동악미술사학회 (17) : 463-495, 2015
8 윤용이,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194-, 1997
9 박정민, "북한지역 분청자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국립광주박물관 1 : 189-192, 2018
10 한정화, "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가마터 발굴 성과전"
1 호림박물관, "호림, 문화재의 숲을 거닐다" 눌와 73-, 2012
2 김혜정, "한양도성 출토 15~16세기 청화백자의조형적 특징과 성격"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1 : 42-75, 2016
3 김태홍, "조선시대 중·후기 흑유자기의 기형변화" 호서고고학회 (29) : 182-209, 2013
4 박정민,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5 재단법인도자기엑스포, "자연을 닮은 그릇, 옹기"
6 임도빈, "자연을 닮은 그릇 옹기"
7 고준휘, "양산 가야진사유적 출토 陶磁祭器의 현황과 성격" 동악미술사학회 (17) : 463-495, 2015
8 윤용이,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194-, 1997
9 박정민, "북한지역 분청자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국립광주박물관 1 : 189-192, 2018
10 한정화, "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가마터 발굴 성과전"
11 경기도자박물관, "번천리8호 선동리2호 요지 일원" 한국도자재단경기도자박물관 50-, 2013
12 관동대학교박물관, "문화유적분포지도-동해시" 학연문화사 37-130, 2004
13 박진호 ; 유혜선 ; 정용재, "라만분광현미경을 이용한 흑유자 유약 내 철산화물의 변화 양상 연구 -신안선 출수 흑유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5 (35): 117-129, 2019
14 김병욱, "동해지역의 옹기문화" 강원도문화원연합회 23 : 58-, 2013
15 이복규, "도자원료" 미진사 62-92, 1991
16 정동훈, "도자예술용어사전" 월간세라믹스 101-111, 1996
17 동아대학교박물관, "도자기"
18 심의승, "국역 삼척군지" 삼척시립박물관 193-, 2009
19 조선관요박물관, "광주 송정동 5․6호 백자가마터" 광주, 조선관요박물관 75-, 2008
20 고민정 ; 김규호, "경기도 포천시 길명리 가마터 출토 흑유자기와 백자에 대한 특성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2 : 43-60, 2008
21 강원일보사, "강원화보"
22 강원일보사, "강원화보"
23 고유섭, "高裕燮全集3" 동방문화사 191-, 1993
24 淺川巧, "朝鮮陶磁名考" 경인문화사 110-, 1991
25 윤용이, "朝鮮 粉靑瓷의 理解" 圓光大學校 行政大學院 27-34, 1998
26 삼척군, "三陟郡誌" 강원일보사출판국 689-, 1985
27 "『영조실록』 82권"
28 "『세종실록』 153권, 地理志, 江原道, 江陵大都護府"
29 "『세종실록』 153권, 地理志, 江原道, 三陟都護府"
30 "『성종실록』 277권"
31 서유리, "「용인 양지면에서 수습된 백자제기의 제작 시기와 특징」, 『백자제기, 禮와藝가 만나다』"
32 김병욱, "「동해지역 전통도자의 특징」, 『제4회 전통가마도예작품전』"
33 동산도기박물관, "(고려․조선시대) 흑유와 석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