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동경(銅鏡)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Bronze Mirror from Three Kingdom Period and Unified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5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ronze mirrors were originally used to produce reflection by clearing and rubbing the surface of a copperplate. However, as numerous patterns were engraved on the back, they have been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intended. Bronze mirrors have been excavated with chronological continuity from the late Bronze Age. Basically used for personal grooming and deeply ingrained in people’s daily life, bronze mirrors reflected philosophy, culture and customs of the time on the back. Therefore, the backside of bronze mirrors enables the future generation to catch a glimpse of philosophy or religion of the past.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bronze mirrors, explores their symbolism and use, and studies bronze mirror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illa periods which succeed prehistoric times and precede Goryeo Dynasty. Especially, the status of bronze mirror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illa periods was organiz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figure and pattern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bronze mirrors had different symbolism and usage by time period. Second, while mostly taking a round shape in the Three Kingdom period, bronze mirrors were created in various form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rd,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 period, bronze mirrors have taken specific patter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Last but not least, unprecedented special techniques were used to create bronze mirror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번역하기

      Bronze mirrors were originally used to produce reflection by clearing and rubbing the surface of a copperplate. However, as numerous patterns were engraved on the back, they have been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intended. Bronze mirrors have been exc...

      Bronze mirrors were originally used to produce reflection by clearing and rubbing the surface of a copperplate. However, as numerous patterns were engraved on the back, they have been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intended. Bronze mirrors have been excavated with chronological continuity from the late Bronze Age. Basically used for personal grooming and deeply ingrained in people’s daily life, bronze mirrors reflected philosophy, culture and customs of the time on the back. Therefore, the backside of bronze mirrors enables the future generation to catch a glimpse of philosophy or religion of the past.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bronze mirrors, explores their symbolism and use, and studies bronze mirror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illa periods which succeed prehistoric times and precede Goryeo Dynasty. Especially, the status of bronze mirror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illa periods was organiz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figure and pattern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bronze mirrors had different symbolism and usage by time period. Second, while mostly taking a round shape in the Three Kingdom period, bronze mirrors were created in various form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rd,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 period, bronze mirrors have taken specific patter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Last but not least, unprecedented special techniques were used to create bronze mirror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경이란 동판의 경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이 비치게 하는 것이 본래의 용도인데, 그 뒷면에 다양한 문양이표현되면서 동경의 본래 용도 이외에 다양한 쓰임새로도 사용되었다. 이런 동경은 청동기시대 이후부터 시대별연속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있다. 동경은 얼굴을 비춰보고 화장을 하는 도구이지만, 고대의 동경은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당시의 사상, 문화, 시대적인 풍속 등을 동경의 배면에 장식하고 있다. 따라서 동경의 배면을 통해 그 시대의 사상이나 신앙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경의 기원과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동경이 가진 상징성과 용도에 대해 정리한 후, 선사시대와 고려시대를 잇는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동경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동경의 현황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동경의 기형과 문양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의 상징성과 용도가 시기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둘째, 동경의 기형이 원형만이 나타나던 삼국시대와 달리 통일신라에 들어서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셋째, 삼국시대에 비해 통일신라시대에 들어 동경의 문양이 구체적인 형상을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이전시대에선 볼 수 없었던 특수기법이 사용된 동경이 통일신라시대에 나타나는것이다.
      번역하기

      동경이란 동판의 경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이 비치게 하는 것이 본래의 용도인데, 그 뒷면에 다양한 문양이표현되면서 동경의 본래 용도 이외에 다양한 쓰임새로도 사용되었다. 이런 동...

      동경이란 동판의 경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이 비치게 하는 것이 본래의 용도인데, 그 뒷면에 다양한 문양이표현되면서 동경의 본래 용도 이외에 다양한 쓰임새로도 사용되었다. 이런 동경은 청동기시대 이후부터 시대별연속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있다. 동경은 얼굴을 비춰보고 화장을 하는 도구이지만, 고대의 동경은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당시의 사상, 문화, 시대적인 풍속 등을 동경의 배면에 장식하고 있다. 따라서 동경의 배면을 통해 그 시대의 사상이나 신앙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경의 기원과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동경이 가진 상징성과 용도에 대해 정리한 후, 선사시대와 고려시대를 잇는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동경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동경의 현황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동경의 기형과 문양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의 상징성과 용도가 시기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둘째, 동경의 기형이 원형만이 나타나던 삼국시대와 달리 통일신라에 들어서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셋째, 삼국시대에 비해 통일신라시대에 들어 동경의 문양이 구체적인 형상을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이전시대에선 볼 수 없었던 특수기법이 사용된 동경이 통일신라시대에 나타나는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양수, "한반도 삼한·삼국시대 동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2 尹容鎭, "한국청동기문화연구-대구평리동출토 일괄유물검토" 한국고고학회 10 : 1981

      3 李盛周, "한국고대사논총" 국가사적개발연구원 1993

      4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5 신 숙,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6 안신원, "초기 동경의 기능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단군학회 18 : 367-396, 2008

      7 복천박물관, "청동거울과 고대사회"

      8 이규산, "죽막동 제사유적 발굴보고" 1992

      9 국립김해박물관, "양동리, 가야를 보다"

      10 김태식, "부여 왕흥사지 昌王銘 사리구에 관한 고찰 - 舍利函 銘文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사학회 (28) : 39-66, 2007

      1 이양수, "한반도 삼한·삼국시대 동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2 尹容鎭, "한국청동기문화연구-대구평리동출토 일괄유물검토" 한국고고학회 10 : 1981

      3 李盛周, "한국고대사논총" 국가사적개발연구원 1993

      4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5 신 숙,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6 안신원, "초기 동경의 기능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단군학회 18 : 367-396, 2008

      7 복천박물관, "청동거울과 고대사회"

      8 이규산, "죽막동 제사유적 발굴보고" 1992

      9 국립김해박물관, "양동리, 가야를 보다"

      10 김태식, "부여 왕흥사지 昌王銘 사리구에 관한 고찰 - 舍利函 銘文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사학회 (28) : 39-66, 2007

      11 국립전주박물관, "바다와 祭祀-扶安 竹幕洞 祭祀遺蹟"

      12 李成巿,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신라 ․ 발해와 정창원 보물" 청년사 1999

      13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통천문화사 1997

      14 국립경주박물관, "과거를 비추는 거울-鏡鑑"

      15 황정숙, "고려 중·후기 사상을 통해본 동경 문양의 상징성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6 齊東方, "거울과 환영唐代 銅鏡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24) : 39-61, 2007

      17 이난영, "高麗鏡 硏究" 통천문화사 2003

      18 李松蘭, "高麗時代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舍利具의 銅鏡 埋納의 樣相"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25 : 2010

      19 문화재관리국, "雁鴨池 : 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87

      20 小田富士雄, "考古學叢考, 齊藤忠先生記念論文集 上" 吉川弘文館 2009

      21 한영희, "扶安 竹幕洞祭祀遺物 發掘調査進展報告" 韓國考古美術 硏究所 4 : 1992

      22 국립전주박물관, "扶安 竹幕洞 祭祀遺物 硏究" 1998

      23 李鍾哲, "尹武炳博土回甲紀念論叢" 1984

      24 이청규, "多紐鏡型式의 變遷과 分布" 한국상고사학회 67 (67): 45-89, 2010

      25 樋口隆康, "古鏡" 新潮社 1979

      26 李賢惠, "加耶諸國의 鐵" 仁濟大學校 加耶文化硏究所 1995

      27 복천박물관, "(神의 거울)銅鏡 : 2009 복천박물관 특별기획전"

      28 국립부여박물관, "(2010 소장품조사자료집)청동거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