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양수, "한반도 삼한·삼국시대 동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2 尹容鎭, "한국청동기문화연구-대구평리동출토 일괄유물검토" 한국고고학회 10 : 1981
3 李盛周, "한국고대사논총" 국가사적개발연구원 1993
4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5 신 숙,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6 안신원, "초기 동경의 기능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단군학회 18 : 367-396, 2008
7 복천박물관, "청동거울과 고대사회"
8 이규산, "죽막동 제사유적 발굴보고" 1992
9 국립김해박물관, "양동리, 가야를 보다"
10 김태식, "부여 왕흥사지 昌王銘 사리구에 관한 고찰 - 舍利函 銘文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사학회 (28) : 39-66, 2007
1 이양수, "한반도 삼한·삼국시대 동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2 尹容鎭, "한국청동기문화연구-대구평리동출토 일괄유물검토" 한국고고학회 10 : 1981
3 李盛周, "한국고대사논총" 국가사적개발연구원 1993
4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5 신 숙,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6 안신원, "초기 동경의 기능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단군학회 18 : 367-396, 2008
7 복천박물관, "청동거울과 고대사회"
8 이규산, "죽막동 제사유적 발굴보고" 1992
9 국립김해박물관, "양동리, 가야를 보다"
10 김태식, "부여 왕흥사지 昌王銘 사리구에 관한 고찰 - 舍利函 銘文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사학회 (28) : 39-66, 2007
11 국립전주박물관, "바다와 祭祀-扶安 竹幕洞 祭祀遺蹟"
12 李成巿,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신라 ․ 발해와 정창원 보물" 청년사 1999
13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통천문화사 1997
14 국립경주박물관, "과거를 비추는 거울-鏡鑑"
15 황정숙, "고려 중·후기 사상을 통해본 동경 문양의 상징성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6 齊東方, "거울과 환영唐代 銅鏡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24) : 39-61, 2007
17 이난영, "高麗鏡 硏究" 통천문화사 2003
18 李松蘭, "高麗時代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舍利具의 銅鏡 埋納의 樣相"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25 : 2010
19 문화재관리국, "雁鴨池 : 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87
20 小田富士雄, "考古學叢考, 齊藤忠先生記念論文集 上" 吉川弘文館 2009
21 한영희, "扶安 竹幕洞祭祀遺物 發掘調査進展報告" 韓國考古美術 硏究所 4 : 1992
22 국립전주박물관, "扶安 竹幕洞 祭祀遺物 硏究" 1998
23 李鍾哲, "尹武炳博土回甲紀念論叢" 1984
24 이청규, "多紐鏡型式의 變遷과 分布" 한국상고사학회 67 (67): 45-89, 2010
25 樋口隆康, "古鏡" 新潮社 1979
26 李賢惠, "加耶諸國의 鐵" 仁濟大學校 加耶文化硏究所 1995
27 복천박물관, "(神의 거울)銅鏡 : 2009 복천박물관 특별기획전"
28 국립부여박물관, "(2010 소장품조사자료집)청동거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