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예디자인의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 연구 :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즈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ss customizing the modularized floral art & design :With a focus on mass customized design under digital circumsta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944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화 시대의 대량생산 시스템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낮은 가격에 표준화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대 소비사회는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를 이용한 유연 및 통합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품질 및 기술이 크게 차별되지 않게 되어 과거의 대량생산방식에 의한 제품으로는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물량부족으로 생산자가 만든 제품을 무조건 구입해야만 했던 과거의 공급자-소비자의 관계와는 달리 각종 제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욕구와 구매는 양적 확대와 질적 충실을 넘어 다양화를 구하는 쪽으로 급격히 변모하여 사용자 지향적으로 요구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대량생산체제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MC)이라는 생산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하기 위해 화예디자인에서의 MC 방식을 제시해보았다. 현재 미국을 시작으로 컴퓨터, 의류,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 MC가 실행되고 있다. 화예디자인 또한 제품 특성상 소비자의 개성, 감성이 확실하게 반영되며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MC개념이 잘 부합되는 사업이다. 그러나 화예디자인분야에서는 선행연구도 없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예디자인의 적절한 MC 개발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선 기존 타 영역에서의 MC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이론을 정리하여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이론의 출현 배경과 중요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이론 중 Ulrich와 Tung의 모듈화 이론을 바탕으로 현재 디지털 영역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에서 연구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사례의 유형을 화예디자인에의 적용하기 위해 화예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 가이드라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한 화예디자인 홈페이지 연구를 추가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시사점 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산업화 시대의 대량생산 시스템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낮은 가격에 표준화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대 소비사회는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를 이용한 유연 및 통합 생...

      산업화 시대의 대량생산 시스템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낮은 가격에 표준화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대 소비사회는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를 이용한 유연 및 통합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품질 및 기술이 크게 차별되지 않게 되어 과거의 대량생산방식에 의한 제품으로는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물량부족으로 생산자가 만든 제품을 무조건 구입해야만 했던 과거의 공급자-소비자의 관계와는 달리 각종 제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욕구와 구매는 양적 확대와 질적 충실을 넘어 다양화를 구하는 쪽으로 급격히 변모하여 사용자 지향적으로 요구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대량생산체제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MC)이라는 생산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하기 위해 화예디자인에서의 MC 방식을 제시해보았다. 현재 미국을 시작으로 컴퓨터, 의류,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 MC가 실행되고 있다. 화예디자인 또한 제품 특성상 소비자의 개성, 감성이 확실하게 반영되며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MC개념이 잘 부합되는 사업이다. 그러나 화예디자인분야에서는 선행연구도 없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예디자인의 적절한 MC 개발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선 기존 타 영역에서의 MC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이론을 정리하여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이론의 출현 배경과 중요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이론 중 Ulrich와 Tung의 모듈화 이론을 바탕으로 현재 디지털 영역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에서 연구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사례의 유형을 화예디자인에의 적용하기 위해 화예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위한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 가이드라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한 화예디자인 홈페이지 연구를 추가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시사점 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ontrast to mass production technology which supplied standardized mass production for the economies of scale, MC is the production way to satisfy the individual needs and efficiencies in mass produ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internet and e-commerce many firms apply the MC technology to win the competitive advantages.
      This study suggests how profits could be made by internet technologies and the module proces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Because the study of MC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has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until now, I summarized the concept and the types of MC, the successful factors of the other MC cases in fashion, cosmetics, chocolate company and so on.
      In the end, I suggest a guideline for floral firms to create value by making prototype of the homepage design with modular process.

      Key words: mass customization, e-business, floral art and design, modular process, homepage prototype
      번역하기

      In contrast to mass production technology which supplied standardized mass production for the economies of scale, MC is the production way to satisfy the individual needs and efficiencies in mass produ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inter...

      In contrast to mass production technology which supplied standardized mass production for the economies of scale, MC is the production way to satisfy the individual needs and efficiencies in mass produ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internet and e-commerce many firms apply the MC technology to win the competitive advantages.
      This study suggests how profits could be made by internet technologies and the module proces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Because the study of MC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has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until now, I summarized the concept and the types of MC, the successful factors of the other MC cases in fashion, cosmetics, chocolate company and so on.
      In the end, I suggest a guideline for floral firms to create value by making prototype of the homepage design with modular process.

      Key words: mass customization, e-business, floral art and design, modular process, homepage prototy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서론 =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2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 4
      • II.이론적 배경 = 6
      • 2.1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 MC)의 개념 = 7
      • I.서론 =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2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 4
      • II.이론적 배경 = 6
      • 2.1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 MC)의 개념 = 7
      • 2.2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분류 = 15
      • 2.2.1 모듈화 방식 = 15
      • 2.2.2 고객 커뮤니케이션 방식 = 24
      • III.분석 = 31
      • 3.1 디지털 환경에서의 MC 사례조사 = 32
      • 3.2 MC 사례 유형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 = 55
      • 3.2.1 사례 유형 분석 = 55
      • 3.2.2 문제점 추론 및 개선방안 수립 = 60
      • IV.화예디자인 MC의 디자인 기준 설정 = 65
      • 4.1 MC 개념의 화예디자인 적용성 분석 = 66
      • 4.1.1 화예디자인의 특성 = 66
      • 4.1.2 화예디자인에의 MC 개념 적용성 = 74
      • 4.2 사용자 맞춤 모듈화 방식 가이드라인 = 79
      • 4.3 [적용 예]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한 프로토타입 연구 = 81
      • V.결론 = 86
      • 5.1 연구의 요약 = 87
      • 5.2 연구의 시사점 = 87
      • 5.3 고찰 및 향후 연구방향 = 88
      • 참고문헌 = 89
      • ABSTRACT =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