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 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Classroom Ecosystem Using Digital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58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reported how teachers and students used 2014 digital textbooks based on interviews and proposed the ways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schools us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classroom ecological perspective. Classroom ecology is one of the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surrounding education and classroom using ecological metaphor. Interviews was conducted during 6 months(2014. 5~10), and A total of 72 persons was participate in this interviews. Interviews with different stakeholder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publishers and policy makers were analyz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further analyzed using the classroom ecosystem model with teachers, students, digital textbook,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rs, educational policies, and society as the agents. The analysis returned four keywords in digital textbook use: insufficiency, inconvenience, anxiety, and expectation. Upon close examination of each area identified through analysis, I proposed (1)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is heading to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digital textbooks, (2) to build infrastructure for more efficient use of digital textbooks, (3)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and (4) to work towards enhancing students’ ICT capabilities and parents’ perceptions towards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 then suggested policies and concrete strategies needed in four parts: (1) improvement of digital textbooks, (2)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search schools, (3) enhancement of teacher competencies, and (4) support for students and parent.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reported how teachers and students used 2014 digital textbooks based on interviews and proposed the ways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schools using digital tex...

      In this study, I reported how teachers and students used 2014 digital textbooks based on interviews and proposed the ways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schools us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classroom ecological perspective. Classroom ecology is one of the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surrounding education and classroom using ecological metaphor. Interviews was conducted during 6 months(2014. 5~10), and A total of 72 persons was participate in this interviews. Interviews with different stakeholder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publishers and policy makers were analyz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further analyzed using the classroom ecosystem model with teachers, students, digital textbook,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rs, educational policies, and society as the agents. The analysis returned four keywords in digital textbook use: insufficiency, inconvenience, anxiety, and expectation. Upon close examination of each area identified through analysis, I proposed (1)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is heading to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digital textbooks, (2) to build infrastructure for more efficient use of digital textbooks, (3)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and (4) to work towards enhancing students’ ICT capabilities and parents’ perceptions towards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 then suggested policies and concrete strategies needed in four parts: (1) improvement of digital textbooks, (2)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search schools, (3) enhancement of teacher competencies, and (4) support for students and par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적용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디지털교과서가 활용되는 학교 현장을 교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교실생태학은 생태학적 메타포를 적용하여 교실과 이를 둘러싼 교육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질적 접근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4년 5~10월 사이에 연 구학교 교사, 학생,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담당자, 출판사 담당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로 구성된 교실생태계 의 체계 모형을 적용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마련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주체의 인식과 경험을 ‘부족함’, ‘불편 함’, ‘불안함’, ‘기대감’이라는 핵심어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핵심어를 중심으로 교사, 학생, 디지털교과서, 학교, 시도교육청, 출판사, 학부모, 교육 정책, 사회 등 교실생태계의 체계 내 하위 영역의 주체가 인지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체별로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의 방향 재정립 및 질적 개 선,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학교 환경 구축,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수업 지원 체계 개선, 학생의 ICT 능력 강화 및 학부모의 인식 개선이라는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4년 적용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디지털교과서가 활용되는 학교 현...

      본 연구는 2014년 적용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디지털교과서가 활용되는 학교 현장을 교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교실생태학은 생태학적 메타포를 적용하여 교실과 이를 둘러싼 교육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질적 접근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4년 5~10월 사이에 연 구학교 교사, 학생,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담당자, 출판사 담당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로 구성된 교실생태계 의 체계 모형을 적용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마련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주체의 인식과 경험을 ‘부족함’, ‘불편 함’, ‘불안함’, ‘기대감’이라는 핵심어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핵심어를 중심으로 교사, 학생, 디지털교과서, 학교, 시도교육청, 출판사, 학부모, 교육 정책, 사회 등 교실생태계의 체계 내 하위 영역의 주체가 인지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체별로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의 방향 재정립 및 질적 개 선,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학교 환경 구축,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수업 지원 체계 개선, 학생의 ICT 능력 강화 및 학부모의 인식 개선이라는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 목적
      • 2. 선행 연구
      • 3. 연구 방법
      • Ⅱ.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와 교실생태계의 분석 틀
      • Ⅰ. 서론
      • 1. 연구 목적
      • 2. 선행 연구
      • 3. 연구 방법
      • Ⅱ.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와 교실생태계의 분석 틀
      • 1.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체계
      • 2.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분석 틀
      • Ⅲ.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분석 결과
      • 1. ‘부족함’의 분석 결과
      • 2. ‘불편함’의 분석 결과
      • 3. ‘불안함’의 분석 결과
      • 4. ‘기대감’의 분석 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수, "학생, 교사, 전문가들이 예측한 디지털교과서가 미래교육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0 (30): 717-748, 2014

      2 류지헌,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대한교실생태학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1-297, 2008

      3 민귀영, "초등학생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영향 요인 분석 : 디지털교과서 품질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21-31, 2012

      4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5 교육부, "전자교과서 개발 보급을 위한 중 장기 계획" 교육부 2002

      6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교육과학기술부 2011

      7 유영, "수업단계 기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분석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11-140, 2008

      8 Odum, Eugine E., "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004

      9 김혜숙,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0 임병노,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현장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317-346, 2012

      1 이상수, "학생, 교사, 전문가들이 예측한 디지털교과서가 미래교육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0 (30): 717-748, 2014

      2 류지헌,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대한교실생태학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1-297, 2008

      3 민귀영, "초등학생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영향 요인 분석 : 디지털교과서 품질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21-31, 2012

      4 임정훈, "초등학교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41-168, 2010

      5 교육부, "전자교과서 개발 보급을 위한 중 장기 계획" 교육부 2002

      6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교육과학기술부 2011

      7 유영, "수업단계 기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분석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11-140, 2008

      8 Odum, Eugine E., "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004

      9 김혜숙,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0 임병노,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현장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317-346, 2012

      11 안순선,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49-60, 2013

      12 노정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모형 연구-초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13 노정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모형 연구-중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14 임정훈,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방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5 조대연, "디지털교과서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학교운영방안" 교육과학기술부, 서울시교육청 2008

      16 교육인적자원부,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7

      17 황준성,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성화 지원 사업 종합평가 중간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과서종합평가연구팀 2014

      18 이경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3-52, 2012

      19 김혜숙,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한 중등 지리수업의 질적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0 송연옥,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사용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교육공학회 28 (28): 231-262, 2012

      21 서지영, "교과서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2 교육부, "’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발표-’14학년도 중 1학년 초 3∼4학년 사회 과학 시범 적용" 교육부 2013

      23 임정훈,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7-52, 2008

      24 교육부, "2015학년도 연구학교 운영 계획" 교육부 2014

      25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2

      26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집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27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집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9

      28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집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