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다채로운 장르로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재즈의 사회적 재조명에도 불구하고 재즈 관련 국내 연구는 주로 재즈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699010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2018
한국어
780 판사항(20)
경기도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Jazz : Esperanza Spalding’s Composition Techniques and Vocal Expression Techniques from 2008 to 2010
vi, 115 p. : 삽화, 도표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우창
참고문헌: p. 78-80
I804:11006-2000000577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재즈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다채로운 장르로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재즈의 사회적 재조명에도 불구하고 재즈 관련 국내 연구는 주로 재즈 연...
재즈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다채로운 장르로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재즈의 사회적 재조명에도 불구하고 재즈 관련 국내 연구는 주로 재즈 연주자에 대한 개별 연구와 현상 분석 위주로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현대 사회의 재즈 수용 양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분석 위주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에스페란자 스팔딩의 음악관과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재즈의 대중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에스페란자 스팔딩은 전통재즈에 기반을 둔 재즈보컬이면서 동시에 연주자 겸 작곡가라는 점에서 예술성을, 그래미 어워즈 역사상 최초로 신인상을 탄 재즈 뮤지션이라는 점에서 대중성을 모두 확보한 아티스트이다. 재즈가 한때 이해하기 어려운 음악이라고 인식되었던 점을 상기할 때, 에스페란자 스팔딩을 연구하는 것은 재즈의 예술성과 대중성을 대립 구도가 아닌, 공존 구도로 이해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본 논문은 에스페란자 스팔딩의 음악관과 곡을 분석함으로써 재즈의 대중화 가능성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이 점이 현대 재즈뮤지션들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이라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zz is a multifarious genre where past and present coexist, and its value is recognized in diverse ways in the modern society. Despite the social revalua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Jazz, recent domestic researches mainly have focused on individual ...
Jazz is a multifarious genre where past and present coexist, and its value is recognized in diverse ways in the modern society. Despite the social revalua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Jazz, recent domestic researches mainly have focused on individual Jazz artist case study and phenomena analysis, which makes the study on the aspects of Jazz acceptance still remain in the analysis phase. By examining Esperanza Spalding's perspective on music and her works, this paper considers the way to popularize Jazz. As an artist, Esperanza Spalding displays not only artistry in terms of her position as a Jazz vocal based on traditional Jazz as well as a performer and songwriter, but also popularity since she is the first Jazz musician who won a Best New Artist award in Grammy Awards in 2011.
Considering that people used to regard Jazz as a ‘difficult music to understand,’ it is worth to analyze Esperanza Spalding because it suggests alternative way to understand Jazz artistry and its popularity not as conflict composition but as coexistence one. By analyzing Esperanza Spalding's viewpoint on music and her works, this paper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popularizing Jazz and ultimately suggests it as a new direction contemporary Jazz musician should seek.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