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지털 3D Type에 나타난 해체미학의 3D 전시콘텐츠 활용 연구 = 자크 데리다의 해체이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4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3D 미디어 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3D타입은 시공간의 극심한 변화를 겪에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3D타입과 자크 데리다(Jacques Derida)의 해체 공간 미학 탐구를 통한 현대의 보다 진보된 3D전시 커뮤니케이션의 미래지향적 가능성과 방향성 있는 활용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디지털 3D타입의 이론과 탄생배경, 조형원리 등을 고찰함으로써 자크 데리다의 해체 미학을 모체로 한 해체적 공간 사례를 분석하고 3D 전시콘텐츠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차연, 산종, 여백 등 데리다의 해체 이론적 범주에서 다양하게 분석하면서 극적이고 다면적인 특이성 공간을 발견,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전시, 건축, 환경, 공간디자인 등에 반영하여 괄목할 만한 3D 전시콘텐츠의 창출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 의미작용의 혼란과 타자로부터 배격되지 않게 해체 담론에 충실하되 절제하고 2)청각, 촉각, 후각 등을 보강하는 4D 기술과 디지털 해체기술을 동시에 입히는 첨단 방법론을 실제적으로 적용하며 3) 겹주름과 겹겹주름, 도형, 바탕, 중력, 원근감, 광원, 그림자의 해체 등 해체 방법론에 있어 다층화, 실험화를 꾀하고 4) 자연물이나 인공물, 고체나, 액체 등 전시 환경의 여러 가지 요건에 맞게 유기적, 탄력적으로 적요하여 디지털 3D 소재를 창조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3D 미디어 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3D타입은 시공간의 극심한 변화를 겪에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3D타입과 자크 데리다(Jacques Derida)의 해체 공간 미학 탐구를 통한 현대의 ...

      최근 3D 미디어 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3D타입은 시공간의 극심한 변화를 겪에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3D타입과 자크 데리다(Jacques Derida)의 해체 공간 미학 탐구를 통한 현대의 보다 진보된 3D전시 커뮤니케이션의 미래지향적 가능성과 방향성 있는 활용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디지털 3D타입의 이론과 탄생배경, 조형원리 등을 고찰함으로써 자크 데리다의 해체 미학을 모체로 한 해체적 공간 사례를 분석하고 3D 전시콘텐츠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차연, 산종, 여백 등 데리다의 해체 이론적 범주에서 다양하게 분석하면서 극적이고 다면적인 특이성 공간을 발견,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전시, 건축, 환경, 공간디자인 등에 반영하여 괄목할 만한 3D 전시콘텐츠의 창출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 의미작용의 혼란과 타자로부터 배격되지 않게 해체 담론에 충실하되 절제하고 2)청각, 촉각, 후각 등을 보강하는 4D 기술과 디지털 해체기술을 동시에 입히는 첨단 방법론을 실제적으로 적용하며 3) 겹주름과 겹겹주름, 도형, 바탕, 중력, 원근감, 광원, 그림자의 해체 등 해체 방법론에 있어 다층화, 실험화를 꾀하고 4) 자연물이나 인공물, 고체나, 액체 등 전시 환경의 여러 가지 요건에 맞게 유기적, 탄력적으로 적요하여 디지털 3D 소재를 창조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3D Type for communication in 3D media faces extreme changes.
      This study seeks the directional application and the future oriented possibility of more advanced 3D display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research on deconstruction space esthetics of Jacques Derrida and digital 3D type.
      It analyzes deconstruction space cases which are based on deconstruction esthetics of Jacques Derrida and shows the way to apply 3D display contents through reviewing the theory. foundation background, design principle of digital 3D type and etc. In this study, dramatic and multilateral peculiarity space is found by variously analyzing in the deconstruction theoretical range of Jacques Derrida such as difference, scatter, space and etc. Based on this, eye-opening 3D display contents are created by reflecting the space in display, architecture, environment, space design.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1) that we must focus on deconstruction discussion with restraining to remove confusion of operation and avoid loss of appetite of other people. 2) that we must practically apply advanced methodology which uses simultaneously 4D technology and digital deconstruction technology to reinforce hearing, touch and smell, 3) that we must seek multiple stratification and trial of experiment in deconstruction discussion such as two-layered pleat, three-layered pleat, figure, ground, gravity, perspective, a light source, shadow deconstruction and etc and 4) that we must apply the materials of digital 3D creatively by organically and elastically reflecting the materials of digital 3D in the various condition of display environment such as natural object, artifact, solid, liquid and etc.

      번역하기

      Recently, 3D Type for communication in 3D media faces extreme changes. This study seeks the directional application and the future oriented possibility of more advanced 3D display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research on deconstruct...

      Recently, 3D Type for communication in 3D media faces extreme changes.
      This study seeks the directional application and the future oriented possibility of more advanced 3D display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research on deconstruction space esthetics of Jacques Derrida and digital 3D type.
      It analyzes deconstruction space cases which are based on deconstruction esthetics of Jacques Derrida and shows the way to apply 3D display contents through reviewing the theory. foundation background, design principle of digital 3D type and etc. In this study, dramatic and multilateral peculiarity space is found by variously analyzing in the deconstruction theoretical range of Jacques Derrida such as difference, scatter, space and etc. Based on this, eye-opening 3D display contents are created by reflecting the space in display, architecture, environment, space design.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1) that we must focus on deconstruction discussion with restraining to remove confusion of operation and avoid loss of appetite of other people. 2) that we must practically apply advanced methodology which uses simultaneously 4D technology and digital deconstruction technology to reinforce hearing, touch and smell, 3) that we must seek multiple stratification and trial of experiment in deconstruction discussion such as two-layered pleat, three-layered pleat, figure, ground, gravity, perspective, a light source, shadow deconstruction and etc and 4) that we must apply the materials of digital 3D creatively by organically and elastically reflecting the materials of digital 3D in the various condition of display environment such as natural object, artifact, solid, liquid and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디지털 3D 타입에 대한 이론적 고찰
      • Ⅲ. 디지털 3D 타입의 해체적 공간 특이성 사례 분석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디지털 3D 타입에 대한 이론적 고찰
      • Ⅲ. 디지털 3D 타입의 해체적 공간 특이성 사례 분석
      • Ⅳ. 결론
      • Reference
      • Endno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하, "현대 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132-137, 2010

      2 이광래, "해체주의와 그 이후,열린책들" 316-, 2007

      3 이광래,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교보문고 382-, 1994

      4 이병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대안"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397-408, 2008

      5 류희경, "해체주의 관점에서 본 실험적 Typo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1999

      6 석금호, "타이포그래픽디자인" 미진사 80-90, 1996

      7 송보라, "타이포그래피와 이미지 융합에 대한 연구" (29) : 62-, 2009

      8 김선미,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시각 표현 연구 해체 적 표현을 바탕으로" 이화여대 2008

      9 신내경,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기호학적 해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2 (12): 97-106, 2009

      10 롭카터, "실험 타이포그래피" 1999

      1 정인하, "현대 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132-137, 2010

      2 이광래, "해체주의와 그 이후,열린책들" 316-, 2007

      3 이광래,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교보문고 382-, 1994

      4 이병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대안"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397-408, 2008

      5 류희경, "해체주의 관점에서 본 실험적 Typo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1999

      6 석금호, "타이포그래픽디자인" 미진사 80-90, 1996

      7 송보라, "타이포그래피와 이미지 융합에 대한 연구" (29) : 62-, 2009

      8 김선미,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시각 표현 연구 해체 적 표현을 바탕으로" 이화여대 2008

      9 신내경,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기호학적 해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2 (12): 97-106, 2009

      10 롭카터, "실험 타이포그래피" 1999

      11 바코튼, "새로운 디자인 입문" 시공사 106-, 1997

      12 매트울먼, "무빙타입" 안그라픽스 2001

      13 성윤정, "디자인에 나타난 해체미학의 형상과 탈형이상학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205-215, 2007

      14 김성운, "다층적 비표상 관점에서의 해체 타이포그래피 연구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4 (14): 13-23, 2011

      15 "http://100.naver.com/100.nhn?docid=153972, (2011. 6. 28)"

      16 "VIDAK+TDC" 2008

      17 Basic Design, "Typography" nic 2006

      18 "The Best International Typography & Design" 18 : 2007

      19 "New Typographic" Laurence King Publishing 2007

      20 "Message to the world 2010" VIDAK 2010

      21 "Digital Type" MOTIF Design 1997

      22 "Creative Calendar Collection" Send Points 2011

      23 "51st Tokyo Art Directors Club" BSS 1999

      24 "3D Type, FL@3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