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2 박희숙, "조손가정 유아의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35-350, 2012
3 박현숙, "전통방식의 ‘옛이야기 구연 실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46, 2013
4 신동흔, "전통 이야기꾼의 유형과 성격 연구" 비교민속학회 (46) : 543-602, 2011
5 "전국국어교사모임"
6 심우장,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 어문연구학회 68 : 231-260, 2011
7 김기옥,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어문연구학회 64 : 59-87, 2010
8 최시한, "이야기의 본질과 교육 - ‘생활 이야기글’ 쓰기를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7-30, 2012
9 중앙일보, "이야기보따리 풀어낼 할머니, 어디 없나요?"
10 김종군, "이야기문화의 현재적 양상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겨레어문학회 (42) : 165-192, 2009
1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2 박희숙, "조손가정 유아의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35-350, 2012
3 박현숙, "전통방식의 ‘옛이야기 구연 실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46, 2013
4 신동흔, "전통 이야기꾼의 유형과 성격 연구" 비교민속학회 (46) : 543-602, 2011
5 "전국국어교사모임"
6 심우장,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 어문연구학회 68 : 231-260, 2011
7 김기옥,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어문연구학회 64 : 59-87, 2010
8 최시한, "이야기의 본질과 교육 - ‘생활 이야기글’ 쓰기를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7-30, 2012
9 중앙일보, "이야기보따리 풀어낼 할머니, 어디 없나요?"
10 김종군, "이야기문화의 현재적 양상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겨레어문학회 (42) : 165-192, 2009
11 천혜숙,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에 관한 고찰." 계명어문학회 1 : 1984
12 강은해,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3 : 2010
13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1986
14 김영옥,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3-207, 2014
15 최윤정, "우리 옛이야기,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 - 1920년대 『조선동화대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87-314, 2013
16 편해문, "우리 민속문화에서의 아이들 삶"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41-69, 2003
17 브르노 베델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2" 시공주니어 1998
18 서정오, "옛이야기, 어떻게 이어받을 것인가"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40 : 2001
19 엄은진,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우리말교육현장학회 4 (4): 65-89, 2010
20 신동흔, "어린이의 삶과 구비문학, 과거에서 미래로" 한국구비문학회 (25) : 1-24, 2007
21 선안나, "어린이들에게 옛날이야기는 무엇인가? -연구 성과와 문제점 및 의의" 돈암어문학회 12 : 1999
22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홈페이지"
23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다음카페"
24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5
25 박현숙, "사라져가는 이야기판의 새로운 길 찾기-어린이 대상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7 (47): 517-566, 2012
26 발터 벤야민,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4
27 임재해, "민속문학의 교육적 기능과 문예 창조력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25 : 2003
28 오호선, "들려주는 문학, 옛날이야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 (2): 2008
29 박현숙, "동화에서의 옛이야기 활용의 문제와 가능성 - <우리집에 온 마고할미>를 중심으로 -" 겨레어문학회 (50) : 71-102, 2013
30 차금안, "동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87-421, 2013
31 신동흔, "도심 공원 이야기판의 과거와 현재- 서울 종로구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3) : 519-561, 2006
32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33 임재해, "구비문학의 연행자와 연행양상" 박이정 1999
34 나경수, "구비문학의 변증법적 활로" 남도민속학회 (11) : 63-82, 2005
35 나경수, "구비문학교육의 필요성과 효용" 남도민속학회 (3) : 5-25, 1995
36 김미숙, "‘전국 중등학생 이야기대회’를 돌아보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91-130, 2012
37 신동흔, "PC 통신 유머방을 통해 본 현대 이야기 문화의 단면." 민족문학사학회 13 (13):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