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대와 소통하며 시대를 횡단하는 이야기문화의 연행 양상 -(한국국학진흥원의) 이야기할머니를 대상으로- = An aspect of story cultur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and translation -Focusing on a storymama of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03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art restoration of an ordinary storytelling culture which has been weakened by the destruction of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For the revitalization of story culture, this study examined an aspect of story culture as a section currently developed. As a case study, this study examined a ‘beautiful storymama’(“storymama”) who told old stories to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 and estimated future prospect of storytelling culture. Story is to recollect past into today, and turn future into present. Old stories as a center of story culture have been ceased in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Activities of old storytelling are important as human creates meaning after recognizing and thinking objects. The storytelling lady in this study is a community that had a process of artificial training course support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t a time when severance of traditional story culture becomes a problem, efforts to continue current story culture is significant. Furthermore, it is also meaningful to improve social role and status of the elderly who are alienated from the center of culture as a responsible class of traditional culture. Old storytelling to children of next generation by old ladies has a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ranslation of period as a practice of ecological children education of our ancestors in the past. Storytelling by a storymama is delivered to children by internalizing their life in the story. Children who grow after listening to stories could be new future storytellers contributing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storytelling cultu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art restoration of an ordinary storytelling culture which has been weakened by the destruction of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For the revitalization of story culture, this study examined an aspect of st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art restoration of an ordinary storytelling culture which has been weakened by the destruction of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For the revitalization of story culture, this study examined an aspect of story culture as a section currently developed. As a case study, this study examined a ‘beautiful storymama’(“storymama”) who told old stories to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 and estimated future prospect of storytelling culture. Story is to recollect past into today, and turn future into present. Old stories as a center of story culture have been ceased in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Activities of old storytelling are important as human creates meaning after recognizing and thinking objects. The storytelling lady in this study is a community that had a process of artificial training course support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t a time when severance of traditional story culture becomes a problem, efforts to continue current story culture is significant. Furthermore, it is also meaningful to improve social role and status of the elderly who are alienated from the center of culture as a responsible class of traditional culture. Old storytelling to children of next generation by old ladies has a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ranslation of period as a practice of ecological children education of our ancestors in the past. Storytelling by a storymama is delivered to children by internalizing their life in the story. Children who grow after listening to stories could be new future storytellers contributing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storytelling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2 박희숙, "조손가정 유아의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35-350, 2012

      3 박현숙, "전통방식의 ‘옛이야기 구연 실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46, 2013

      4 신동흔, "전통 이야기꾼의 유형과 성격 연구" 비교민속학회 (46) : 543-602, 2011

      5 "전국국어교사모임"

      6 심우장,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 어문연구학회 68 : 231-260, 2011

      7 김기옥,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어문연구학회 64 : 59-87, 2010

      8 최시한, "이야기의 본질과 교육 - ‘생활 이야기글’ 쓰기를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7-30, 2012

      9 중앙일보, "이야기보따리 풀어낼 할머니, 어디 없나요?"

      10 김종군, "이야기문화의 현재적 양상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겨레어문학회 (42) : 165-192, 2009

      1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2 박희숙, "조손가정 유아의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35-350, 2012

      3 박현숙, "전통방식의 ‘옛이야기 구연 실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구연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6) : 1-46, 2013

      4 신동흔, "전통 이야기꾼의 유형과 성격 연구" 비교민속학회 (46) : 543-602, 2011

      5 "전국국어교사모임"

      6 심우장, "이야기판의 협력 구연과 기억의 공유" 어문연구학회 68 : 231-260, 2011

      7 김기옥, "이야기판 활성화의 요인과 그 성격" 어문연구학회 64 : 59-87, 2010

      8 최시한, "이야기의 본질과 교육 - ‘생활 이야기글’ 쓰기를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7-30, 2012

      9 중앙일보, "이야기보따리 풀어낼 할머니, 어디 없나요?"

      10 김종군, "이야기문화의 현재적 양상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겨레어문학회 (42) : 165-192, 2009

      11 천혜숙,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에 관한 고찰." 계명어문학회 1 : 1984

      12 강은해, "이야기꾼과 이야기의 세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3 : 2010

      13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1986

      14 김영옥,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3-207, 2014

      15 최윤정, "우리 옛이야기,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 - 1920년대 『조선동화대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87-314, 2013

      16 편해문, "우리 민속문화에서의 아이들 삶"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41-69, 2003

      17 브르노 베델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2" 시공주니어 1998

      18 서정오, "옛이야기, 어떻게 이어받을 것인가"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40 : 2001

      19 엄은진,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우리말교육현장학회 4 (4): 65-89, 2010

      20 신동흔, "어린이의 삶과 구비문학, 과거에서 미래로" 한국구비문학회 (25) : 1-24, 2007

      21 선안나, "어린이들에게 옛날이야기는 무엇인가? -연구 성과와 문제점 및 의의" 돈암어문학회 12 : 1999

      22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홈페이지"

      23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다음카페"

      24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5

      25 박현숙, "사라져가는 이야기판의 새로운 길 찾기-어린이 대상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7 (47): 517-566, 2012

      26 발터 벤야민,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4

      27 임재해, "민속문학의 교육적 기능과 문예 창조력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25 : 2003

      28 오호선, "들려주는 문학, 옛날이야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 (2): 2008

      29 박현숙, "동화에서의 옛이야기 활용의 문제와 가능성 - <우리집에 온 마고할미>를 중심으로 -" 겨레어문학회 (50) : 71-102, 2013

      30 차금안, "동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87-421, 2013

      31 신동흔, "도심 공원 이야기판의 과거와 현재- 서울 종로구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3) : 519-561, 2006

      32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33 임재해, "구비문학의 연행자와 연행양상" 박이정 1999

      34 나경수, "구비문학의 변증법적 활로" 남도민속학회 (11) : 63-82, 2005

      35 나경수, "구비문학교육의 필요성과 효용" 남도민속학회 (3) : 5-25, 1995

      36 김미숙, "‘전국 중등학생 이야기대회’를 돌아보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91-130, 2012

      37 신동흔, "PC 통신 유머방을 통해 본 현대 이야기 문화의 단면." 민족문학사학회 13 (1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