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學生建國運動史 : 반탁.반공 학생 운동 중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0879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韓國反託.反共學生運動紀念事業會出版局, 1990

      • 발행연도

        199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7.256 판사항(4)

      • DDC

        371.81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韓國學生建國運動史: 반탁.반공 학생 운동 중심 / 韓國反託.反共學生運動紀念事業會 著

      • 형태사항

        [도판22p.],684p.; 23cm

      • 일반주기명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第I編 反託·反共 學生運動의 歷史的 背景
      • 第1章 解放 직후의 政治·社會 激變
      • 제1절 해방과 국토의 분단 = 2
      • (1) 해방, 그날의 감격 = 2
      • 목차
      • 第I編 反託·反共 學生運動의 歷史的 背景
      • 第1章 解放 직후의 政治·社會 激變
      • 제1절 해방과 국토의 분단 = 2
      • (1) 해방, 그날의 감격 = 2
      • (2) 통한의 국토 분단 = 3
      • (3) 미국의 오판과 소련의 음모 = 6
      • 제2절 소련의 군정과 미 군정의 실시 = 11
      • (1) 소련 군정의 형태(形態) = 11
      • [1] 제국주의(帝國主義)적 침략화 = 11
      • [2] 북한에 공산 기지화(共産基地化) 추진 = 14
      • [3] 가짜 김 일성(金日成)의 등장 = 15
      • [4] 북한에 단독 정부(單獨政府) 수립 = 15
      • (2) 무정견(無定見)했던 미국정책 = 16
      • 제3절 남한 정국의 혼미(昏迷) = 20
      • (1) 남한 공산 세력의 선제 활동 = 20
      • [1] 건국 준비 위원회(建準)의 성격과 활동 = 21
      • [2] 조선 공산당과 인민 공화국(人共)의 날조 = 25
      • (2) 남한 민족 진영의 동향 = 32
      • [1] 남한 민족 세력의 결집 = 32
      • [2] 한국 민주당(韓國民主黨)의 발족과 고군분투 = 34
      • [3] 한국 민주당과 미 군정과의 관계 = 36
      • (3) 해외 민족 독립 지도자의 환국과 그 활약 = 37
      • [1] 이 승만(李承晩)의 환국과 활약 = 37
      • [2] 대한 민국 임시 정부(臨政)의 환국과 정국의 동향 = 45
      • (4) 조선 공산당의 역사적 과오 = 51
      • 第2章 解放 직후의 學生 動向
      • 제1절 해방 직후의 학생 운동 성향(性向) = 56
      • 제2절 조선 학도대(朝鮮學徒隊)의 활동과 그 분열 = 60
      • (1) 학도대의 발족 = 60
      • (2) 활동 = 61
      • (3) 학도대의 양분(兩分)과 학원의 분열 = 64
      • 第3章 信託統治案의 決定과 擧族的 反託運動
      • 제1절 신탁 통치안과 민족의 분노 = 68
      • (1) 신탁 통치안과 정국의 향배(向背) = 68
      • (2) 공산 세력의 극렬했던 반탁 운동 = 71
      • (3) 민족 진영의 반탁 의지 = 75
      • 제2절 민족 진영의 반탁 자주 독립 운동 = 76
      • (1) 반탁을 주도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 76
      • (2) 반탁의 큰 함성 = 81
      • 제3절 외세 의존적 공산 세력의 찬탁 돌변과 박 헌영의 망언 = 85
      • (1) 소련의 지령과 공산 세력의 추종 = 85
      • (2) 소련에 편입을 희망한 박 헌영(朴憲永)의 망언 = 89
      • 第II編 反託·反共 學生運動의 展開
      • 第1章 反託·反共 學生運動의 胎動
      • 제1절 북한 학생의 반소·반공 의거 = 94
      • (1) 신의주(新義州) 학생의 반소·반공 유혈 의거 = 94
      • [1] 학생의 자각 = 94
      • [2] 용암포(龍岩浦) 사건 = 96
      • [3] 신의주 학생들의 움직임 = 98
      • [4] 신의주 학생들의 총궐기 = 100
      • [5] 김 일성(金日成)의 회유책과 보복책 = 102
      • [6] 역사적 의의 = 103
      • (2) 평양(平壤) 학생의 반소·반공 투쟁 = 104
      • [1] 반소·반공의 배경 = 104
      • [2] 평양 학생의 동맹 휴학 = 109
      • [3] 3·1절 기념식장의 폭탄 투척 의거 = 111
      • (3) 함흥(咸興) 학생과 시민의 반소·반공 총궐기 = 111
      • [1] 동인 = 111
      • [2] 시위 전개 = 112
      • 제2절 조선 유학생 동맹과 '학병단' = 116
      • (1) 조선 유학생 동맹(留學生同盟)의 반공활동 = 116
      • (2) 학병단(學兵團)의 반탁 운동 = 121
      • 제3절 보전 학생회 및 각 전문 학교의 반탁 운동 = 123
      • 第2章 反託 全國 學生總聯盟의 文化運動과 反託鬪爭
      • 제1절 반탁 학련(反託學聯)의 발족 = 129
      • (1) 발족경위와 그 조직 = 129
      • [1] 발족 경위 = 129
      • [2] 조직 = 131
      • [3] 성명서, 결의문 = 134
      • (2) 서울 중등부 연명(中等部聯盟)의 조직 = 135
      • 제2절 반탁 학련의 문화 운동과 반탁 투쟁 = 137
      • (1) 반탁 학생 대회와 1·18 반공 의거(反共義擧) = 137
      • [1] 반탁 학생 대회와 박 헌영 망언 규탄 = 137
      • [2] 인민보사·인민당 본부·인민 위원회 분쇄 = 139
      • [3] 학생 동맹의 만행과 반탁 학생의 유혈 = 141
      • [4] 1·18 사태의 진상 보고 대회 = 146
      • (2) 대북(對北) 공작대(工作隊) 활동 = 148
      • (3) 3·1절(1946) 기념 행사와 '학련'의 활약 = 153
      • (4) 계몽·문화 운동(啓蒙文化運動)의 전개 = 157
      • [1] 계몽·문화 운동의 긴요성 = 157
      • [2] 웅변 대회(雄辯大會) 개최 = 158
      • [3] 반탁 강좌와 기관지의 발간 = 160
      • [4] 계몽반(啓蒙班)의 활동(반탁·반공·문맹 퇴치) = 162
      • (5) 전국 학생 비상 총궐기 대회 = 165
      • (6) 미·소 공동 위원회(共委)와 반탁 학련 = 169
      • [1] 미·소 공동 위원회와 학련 = 169
      • [2] 미·소 대표단 환영 대회 분쇄 공작 = 176
      • (7) 인천 전평(全評) 및 실업자 동맹(失業者同盟)과의 혈투 = 177
      • 第3章 全國 學生總聯盟의 文化·啓蒙運動과 建國運動
      • 제1절 전국 학련의 발족과 그 조직 = 183
      • (1) 발족 당시의 정치·사회 = 183
      • (2) 결성(結成) 및 선언문·결의문 = 186
      • [1] 결성 과정 = 186
      • [2] 결성 대회 = 189
      • [3] 선언문 및 결의문(발족 당시 채택된 원문임) = 191
      • (3) 조직 및 직제 = 192
      • [1] 직제 구성의 특성과 변천 = 193
      • [2] 중앙 집행 부서 편성 및 조직 = 193
      • [3] 규약 및 세칙 = 207
      • 제2절 문화·계몽(文化啓蒙) 운동과 건국(建國) 운동 = 214
      • (1) 문화·계몽 운동의 전개 = 214
      • [1] 학생 공론(學生公論) 및 학생보(學生報) 발간 = 214
      • [2] 웅변 대회(雄辯大會) 개최 = 218
      • [3] 계몽 운동(啓蒙運動) - 사상 계몽·문맹 퇴치·연극·음악·예술 = 223
      • (2) 국치일(國恥日)의 독립 전취 대시위(大示威) = 231
      • (3) 태극기 모독과 학련의 응징 - 만담가 신 부출 봉변 - = 233
      • (4) 3·1절(1947) 남대문 앞 피습 사건 - 정 인수 순국 - = 235
      • [1] 기념식의 좌·우 양분 = 235
      • [2] 피습의 발단과 경과 = 238
      • [3] 순국 학생 애국 단체 연합장 = 240
      • (5) 전국 학련 제1차 임시 총회 = 241
      • (6) 정국의 재혼미(再昏迷)와 학련의 반탁 의지(意志) = 245
      • (7) 좌익의 찬탁 예술제(贊託藝術祭) 분쇄 = 249
      • (8) 독립 전취(獨立戰取) 전국 학생 대회 = 250
      • (9) 1·18 반공 의거 1주년 기념 대회 = 253
      • 제3절 국대안(國大案) 파동시 학원 수호 투쟁과 반탁 승리 = 262
      • (1) 반탁·자주 독립 전취의 절정(絶頂) = 262
      • (2) 제1회 전국 대의원 대회 = 265
      • [1] 대회 전의 국내외 정세 = 265
      • [2] 제1회 전국 대의원 대회 = 267
      • (3) 국대안(國大案) 파동과 학원 수호 투쟁 = 268
      • [1] 남로당 지령에 따른 국대안 파동 = 269
      • [2] 전국 학련의 학원 수호 투쟁 = 279
      • (4) 미·소 공위의 재개와 전국 학련의 반탁 투쟁 = 285
      • (5) 반탁 학생 대표와 미측 공위 대표와의 담판 = 289
      • (6) 전국 학련과 미 군정 경찰 = 296
      • (7) 천지를 진동시킨 반탁 승리의 함성 = 298
      • (8) 남북 협상과 학련의 결단 - 눈물을 머금고 김구(金九) 곁을 떠나다 - = 302
      • 제4절 전국 학련의 지방 조직 및 그 활동 = 312
      • (1) 서울 특별 지구 연맹 = 313
      • [1] 발족 경위 = 313
      • [2] 구성 = 314
      • [3] 활동 상황 = 327
      • (2) 경기도 연행 = 329
      • [1] 인천(仁川) 특별 지구 연맹 = 330
      • [2] 수원 지구 연맹 = 338
      • [3] 개성(開城) 지구 연맹 = 343
      • [4] 안성(安城) 지구 연맹 = 345
      • [5] 평택(平澤) 지구 연맹 = 345
      • [6] 연백(延白)·옹진(甕津) 지구 연맹 = 345
      • [7] 통학생 연맹 = 346
      • (3) 강원도 연맹 및 춘천(春川) 연맹 = 346
      • [1] 도 연맹 발족 경위와 조직 = 346
      • [2] 강릉(江陵) 지구 연맹 = 348
      • [3] 삼척(三陟) 반탁 학련 지구 연맹 = 350
      • (4) 충청 북도 연맹 및 청주 연맹 = 352
      • [1] 충북(忠北) 도 연맹 = 352
      • [2] 충주·괴산·음성·제천 지구 연맹 = 356
      • (5) 충청 남도 연맹 = 356
      • [1] 충남(忠南) 도 연맹 = 356
      • [2] 대전(大田) 지구 연맹 = 357
      • [3] 공주(公州) 지구 연맹 = 359
      • [4] 조치원·강경·예산·서산 지구 = 362
      • (6) 경상 북도 연맹(대구 10·1 폭동과 학련의 태동) = 363
      • [1] 경북(慶北) 도 연맹 = 363
      • [2] 포항(浦項) 지구 연맹 = 380
      • [3] 경주(慶州)·안강(安康)·감포(甘浦) 지구 연맹 = 382
      • [4] 영천(永川) 특별 지구 연맹 = 384
      • [5] 안동(安東) 지구 연맹 = 385
      • [6] 김천(金泉) 지구 연맹 = 385
      • [7] 영주(榮州) 지부 = 386
      • (7) 경상 남도 연맹 = 386
      • [1] 부산(釜山) 특별 지구 연맹 = 386
      • [2] 진주(晋州) 특별 지구 연맹 = 390
      • [3] 마산(馬山) 특별 지구 연맹 = 391
      • [4] 진해(鎭海) 지구 연맹 = 392
      • (8) 전라 북도 연맹 = 393
      • [1] 전주(全州) 지구 연맹 = 393
      • [2] 군산(群山) 지구 연맹 = 395
      • [3] 이리(裡里) 특별 지구 연맹 = 399
      • (9) 전라 남도(全南) 연맹(여·순 반란과 학련의 혈투) = 401
      • [1] 광주(光州) 특별 지구 연맹 = 401
      • [2] 목포(木浦) 특별 지구 연맹 = 415
      • [3] 순천(順天) 특별 지구 연맹 = 420
      • (10) 제주 지구 연맹(4·3 제주 폭동과 학련의 활약) = 427
      • [1] 해방 직후의 제주도 사회상 = 427
      • [2] 학련 지구 연맹의 결성과 조직 = 428
      • [3] 활동 = 429
      • 제5절 전국 학련의 해체 = 434
      • (1) 학련 주도 세력의 시련 = 434
      • (2) 전국 학련의 해체 과정 = 441
      • [1] 학련의 해체에 따른 반발 = 441
      • [2] 전국 학련의 발전적 해체 = 446
      • (3) 반탁 동지회(反託同志會) 발족 = 456
      • (4) 학련 후원 단체 및 인사 = 460
      • 第4章 기타 反共 學生團體
      • (1) 건설 학생 총연맹(建設學生總聯盟) = 463
      • [1] 건설 학생 총연맹의 발족 = 463
      • [2] 활동 = 467
      • [3] 중앙 조직 구성 = 471
      • (2) 서북 학생 총연맹(西北學生總聯盟) = 472
      • [1] 발족 경위와 그 조직 = 472
      • [2] 운동 전개 = 476
      • (3) 건국 학생 총연맹(建國學生總聯盟) = 490
      • (4) 이북 학생 총연맹 = 492
      • (5) 반공 학생 총연맹(反共學生總聯盟) = 494
      • (6) 대한 학생 총연맹(大韓學生總聯盟) = 495
      • (7) 전국 통일 학생 총연맹(全國統一學生總聯盟) = 497
      • (8) 함남 학생 총연맹(咸南學生總聯盟) = 499
      • (9) 서북 학생 원호회 = 499
      • (10) 면학 동지회(勉學同志會) = 500
      • (11) 조선 공제회 = 500
      • 第5章 大韓民國 學徒護國團의 發足
      • 第III編 北韓의 6·25 南侵과 學徒의 參戰
      • 第1章 北韓 共産集團의 挑發과 同族相殘의 悲劇
      • 第2章 自由守護 學徒의 參戰
      • 제1절 자유 수호 학도의 총궐기 = 517
      • (1) 서울 학도의 동향과 전인천(全仁川) 학도대 활약 = 521
      • (2) 충남 학생의 혈서 지원과 충북 백혼단(白魂團)의 궐기 = 525
      • (3) 호남 학도의 총궐기 = 530
      • (4) 영남 학도의 궐기와 멸공에로의 출정(出征) = 535
      • 제2절 전국 학련 구국대(全國學救國隊)의 활약 = 538
      • (1) 학련 구국대의 발족 = 538
      • (2) 학련 구국대의 활약 = 544
      • [1] 학도병과 학도 경찰대의 참전 = 544
      • [2] 9·28 수복과 북한 선무 공작대의 활약 = 549
      • 제3절 대한 학도 의용대 = 558
      • (1) 발족 경위 = 558
      • (2) 활동 = 562
      • 제4절 재일 학도 의용군의 참전 = 568
      • (1) 한국 학생 동맹의 발족과 활동 = 568
      • (2) 재일 애국 학도의 6·25 참전 경위 = 572
      • (3) 재일 반공 애국 학도의 혈투 = 574
      • 결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