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3D 의상 CAD를 이용한 가상 의복과 실물 의복의 실루엣 비교 연구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ilhouettes of 3D Apparel CAD Virtual Clothing and Actual Clot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5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3D simulation became universal in many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and machiner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hasn't become universal in the clothing field yet. A 3D apparel CAD program is used to reduce personnel expenses, economize resources, and protect environment in this clothing industry. It is to simulate several designs on 3D apparel CAD to manufacture the final design alone as a sam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othes simulat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to find out things to improve and complement in the 3D apparel CAD program.
      For this purpose, attempts are made to see:
      1. If a 3D apparel CAD program can easily express the whole silhouette of an actual manufacture.
      2. Properties of a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nd actual one in front, back, right, and left parts.
      3. The degree of expressing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of the actual manufacture by the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fter testing physical properties of thin, low-elasticity cotton stuff, soft, low-elasticity, glossy polyester silk satin stuff, and thick, tough-touch woolen stuff by using a KES-FB-AUTO-A SYSTEM, one-piece dresses were made with each stuff into the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nd the actual manufacture and printed into pictures; then, a sensory test was carried out with 44 questions in terms of front, back, right, and left parts with 30 persons―clothing majors and fashion school students. With the results,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on differences in silhouette between two stimuli.
      With a woman with 6cm difference between front and back length as a subject, items necessary to make a one-piece dress were select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2004 Size Korea.”
      The experiment procedure is as follows:
      1. Select a design needed for the research.
      2. Test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for manufacturing clothes and input data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3. Take the measurements of the model and input them in the body.
      4. Use the measurements to manufacture a pattern with 2D apparel pattern CAD.
      5. Use data about the body of the model,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and the pattern manufactured in 2D to manufacture clothes with a 3D simulation program.
      6. Print the inputted pattern data to manufacture actual clothes.
      7. Make a comparative research on general silhouette expression, physical property expression of fabric, and expression of each part between 3D-manufactured clothes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mean of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lothes manufactur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was more than 4.00 on the average, 3D apparel CAD was found to have no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general silhouette of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2.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lothes manufactur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was on the average 3.80 for the front part and 3.75 for the back part, as compared with 3.66 for the left part and 3.70 for the right part with needlework seen,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pression at parts of needlework.
      3. The 3D program should improve express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to express the curve of body and folds more accurately.
      Future researches should select fabric in the same color to reduce errors caused by color difference of fabric and use the body in the same posture as 3D apparel CAD to reduce errors caused by the pos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made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othes simulat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and found out things to improve and complement in the current 3D apparel CAD program,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a better 3D apparel CAD program.
      번역하기

      Although 3D simulation became universal in many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and machiner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hasn't become universal in the clothing field yet. A 3D apparel CAD program is used to reduce personnel expenses, e...

      Although 3D simulation became universal in many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and machiner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hasn't become universal in the clothing field yet. A 3D apparel CAD program is used to reduce personnel expenses, economize resources, and protect environment in this clothing industry. It is to simulate several designs on 3D apparel CAD to manufacture the final design alone as a sam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othes simulat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to find out things to improve and complement in the 3D apparel CAD program.
      For this purpose, attempts are made to see:
      1. If a 3D apparel CAD program can easily express the whole silhouette of an actual manufacture.
      2. Properties of a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nd actual one in front, back, right, and left parts.
      3. The degree of expressing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of the actual manufacture by the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fter testing physical properties of thin, low-elasticity cotton stuff, soft, low-elasticity, glossy polyester silk satin stuff, and thick, tough-touch woolen stuff by using a KES-FB-AUTO-A SYSTEM, one-piece dresses were made with each stuff into the 3D apparel CAD program manufacture and the actual manufacture and printed into pictures; then, a sensory test was carried out with 44 questions in terms of front, back, right, and left parts with 30 persons―clothing majors and fashion school students. With the results,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on differences in silhouette between two stimuli.
      With a woman with 6cm difference between front and back length as a subject, items necessary to make a one-piece dress were select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2004 Size Korea.”
      The experiment procedure is as follows:
      1. Select a design needed for the research.
      2. Test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for manufacturing clothes and input data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3. Take the measurements of the model and input them in the body.
      4. Use the measurements to manufacture a pattern with 2D apparel pattern CAD.
      5. Use data about the body of the model,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and the pattern manufactured in 2D to manufacture clothes with a 3D simulation program.
      6. Print the inputted pattern data to manufacture actual clothes.
      7. Make a comparative research on general silhouette expression, physical property expression of fabric, and expression of each part between 3D-manufactured clothes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mean of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lothes manufactur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was more than 4.00 on the average, 3D apparel CAD was found to have no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general silhouette of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2.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lothes manufactur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was on the average 3.80 for the front part and 3.75 for the back part, as compared with 3.66 for the left part and 3.70 for the right part with needlework seen,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pression at parts of needlework.
      3. The 3D program should improve express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to express the curve of body and folds more accurately.
      Future researches should select fabric in the same color to reduce errors caused by color difference of fabric and use the body in the same posture as 3D apparel CAD to reduce errors caused by the pos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made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othes simulated by 3D apparel CAD and actually-manufactured clothes and found out things to improve and complement in the current 3D apparel CAD program,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a better 3D apparel CAD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T 기술의 발달로 건축, 기계 등의 여러 분야에서는 3D 시뮬레이션이 보편화 되어있지만 의류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의류업계의 인건비 절감, 자원의 절약과 환경 보호를 위해 3D 의상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3D 의상 CAD 상에서 여러 디자인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종 디자인만을 샘플로 제작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3D 의상 CAD로 시뮬레이션된 의상과 실물 제작된 의복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선, 보완되어야 할 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D 의상 CAD 프로그램이 실물 제작물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표현하는데 무리가 없는지 알아본다.
      2. 3D 의상 CAD 프로그램 제작물과 실물 제작물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별로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본다.
      3. 3D 의상 CAD 프로그램 제작물이 실물 제작물의 원단 물성 표현 정도를 알아본다.
      연구 방법은 얇고 신축성이 적은 면 소재, 부드럽고 신축성 적고 광택이 있는 폴리 공단 소재와 두껍고 거친 느낌이 나는 모직 소재를 KES-FB-AUTO-A SYSTEM을 사용하여 물성 테스트 한 후 각 각 3D 의상 CAD 프로그램과 실물로 원피스를 제작하여 사진으로 출력한 후 의상 전공자와 패션학원생 30명을 대상으로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으로 나누어 44문항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나온 결과로 두 자극물간의 실루엣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유차 6㎝인 여성으로 원피스를 만드는데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계측하였으며 계측은 “2004 Size Korea”의 계측기준에 따라 계측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필요한 디자인을 선정한다.
      2. 의복 제작에 사용할 원단의 물성을 테스트하여 물성 데이터를 입력한다.
      3. 모델의 치수를 측정하고 바디에 사이즈를 입력한다.
      4. 측정된 모델의 치수를 사용하여 2D 의상 패턴 CAD로 패턴을 제작한다.
      5. 2D로 제작한 패턴 데이터, 원단의 물성 데이터, 모델의 바디데이터를 사용하여 3D 의상 CAD 프로그램으로 의복을 제작한다.
      6. 입력된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여 실물 의복을 제작한다.
      7. 3D 제작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의 전체적인 실루엣 표현력, 원단의 물성 표현 정도, 각 부분의 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한다.
      자료의 분석은 관능검사 결과의 평균을 가지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D 의상 CAD로 제작된 의복과 실물 제작된 의복의 차이가 평균 4.00점 이상이므로 3D 의상 CAD가 실물 제작 의복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표현하는 데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3D 의상 CAD로 제작된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의 차이가 정면의 평균 3.80점, 후면의 평균 3.75점에 비해 봉제선이 보이는 좌측면의 평균은 3.66점과 우측면의 평균은 3.62점으로 낮게 나왔으므로 봉제선 부분의 표현력을 높여야겠다.
      3. 3D 의상 CAD 프로그램이 원단의 물성 표현력을 더 높여 몸의 곡선과 주름의 표현을 더 정확히 할 수 있어야 한다.
      차기 연구에서는 동일한 색상의 원단을 선택하여 원단의 색상 차이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 3D 의상 CAD의 바디와 같은 자세의 바디를 사용하여 자세에 의한 오차도 줄이도록 해야 하겠다.
      본 연구는 3D 의상 CAD로 시뮬레이션된 의복과 실물 제작된 의복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선, 보완되어야 할 점을 밝혀 보다 나은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IT 기술의 발달로 건축, 기계 등의 여러 분야에서는 3D 시뮬레이션이 보편화 되어있지만 의류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의류업계의 인건비 절감, 자원의 ...

      IT 기술의 발달로 건축, 기계 등의 여러 분야에서는 3D 시뮬레이션이 보편화 되어있지만 의류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의류업계의 인건비 절감, 자원의 절약과 환경 보호를 위해 3D 의상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3D 의상 CAD 상에서 여러 디자인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종 디자인만을 샘플로 제작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3D 의상 CAD로 시뮬레이션된 의상과 실물 제작된 의복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선, 보완되어야 할 점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D 의상 CAD 프로그램이 실물 제작물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표현하는데 무리가 없는지 알아본다.
      2. 3D 의상 CAD 프로그램 제작물과 실물 제작물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별로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본다.
      3. 3D 의상 CAD 프로그램 제작물이 실물 제작물의 원단 물성 표현 정도를 알아본다.
      연구 방법은 얇고 신축성이 적은 면 소재, 부드럽고 신축성 적고 광택이 있는 폴리 공단 소재와 두껍고 거친 느낌이 나는 모직 소재를 KES-FB-AUTO-A SYSTEM을 사용하여 물성 테스트 한 후 각 각 3D 의상 CAD 프로그램과 실물로 원피스를 제작하여 사진으로 출력한 후 의상 전공자와 패션학원생 30명을 대상으로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으로 나누어 44문항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나온 결과로 두 자극물간의 실루엣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유차 6㎝인 여성으로 원피스를 만드는데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계측하였으며 계측은 “2004 Size Korea”의 계측기준에 따라 계측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필요한 디자인을 선정한다.
      2. 의복 제작에 사용할 원단의 물성을 테스트하여 물성 데이터를 입력한다.
      3. 모델의 치수를 측정하고 바디에 사이즈를 입력한다.
      4. 측정된 모델의 치수를 사용하여 2D 의상 패턴 CAD로 패턴을 제작한다.
      5. 2D로 제작한 패턴 데이터, 원단의 물성 데이터, 모델의 바디데이터를 사용하여 3D 의상 CAD 프로그램으로 의복을 제작한다.
      6. 입력된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여 실물 의복을 제작한다.
      7. 3D 제작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의 전체적인 실루엣 표현력, 원단의 물성 표현 정도, 각 부분의 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한다.
      자료의 분석은 관능검사 결과의 평균을 가지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D 의상 CAD로 제작된 의복과 실물 제작된 의복의 차이가 평균 4.00점 이상이므로 3D 의상 CAD가 실물 제작 의복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표현하는 데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3D 의상 CAD로 제작된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의 차이가 정면의 평균 3.80점, 후면의 평균 3.75점에 비해 봉제선이 보이는 좌측면의 평균은 3.66점과 우측면의 평균은 3.62점으로 낮게 나왔으므로 봉제선 부분의 표현력을 높여야겠다.
      3. 3D 의상 CAD 프로그램이 원단의 물성 표현력을 더 높여 몸의 곡선과 주름의 표현을 더 정확히 할 수 있어야 한다.
      차기 연구에서는 동일한 색상의 원단을 선택하여 원단의 색상 차이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 3D 의상 CAD의 바디와 같은 자세의 바디를 사용하여 자세에 의한 오차도 줄이도록 해야 하겠다.
      본 연구는 3D 의상 CAD로 시뮬레이션된 의복과 실물 제작된 의복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선, 보완되어야 할 점을 밝혀 보다 나은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되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 ⅰ
      • 그림목차 = ⅱ
      • 국문초록 = 1
      • Ⅰ. 서론 = 4
      • 1. 연구의 필요성 = 4
      • 표목차 = ⅰ
      • 그림목차 = ⅱ
      • 국문초록 = 1
      • Ⅰ. 서론 = 4
      • 1. 연구의 필요성 = 4
      • 2. 연구의 목적 = 6
      • Ⅱ. 이론적 배경 = 9
      • 1. 3D 의상 CAD 프로그램의 현황 = 10
      • 2. 선행 연구 = 13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5
      • 1. 디자인선정 = 15
      • 2. 원단 선정 = 17
      • 3. 피험자 선정 = 18
      • 4. 3D 의복 제작 = 21
      • 5. 실물 의복 제작 = 22
      • 6. 3D 제작 의복과 실물 제작 의복 비교평가 = 23
      •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 32
      • 1. 1번 자극물에 대한 평가 = 35
      • 2. 2번 자극물에 대한 평가 = 38
      • 3. 35번 자극물에 대한 평가 = 40
      • 4. 종합평가 = 42
      • Ⅴ. 요약 및 결론 = 62
      • 참고문헌 = 67
      • ABSTRACT =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