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갈등에 대응하는 일상 대화의 말하기 방식을 구안하는 것이 국어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인 간 갈등 상황에서도 사회적 갈등 요소를 인식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8640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5-42(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갈등에 대응하는 일상 대화의 말하기 방식을 구안하는 것이 국어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인 간 갈등 상황에서도 사회적 갈등 요소를 인식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며 ...
사회적 갈등에 대응하는 일상 대화의 말하기 방식을 구안하는 것이 국어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인 간 갈등 상황에서도 사회적 갈등 요소를 인식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며 갈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말하기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유효공선행록>을 비롯한 가문소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문소설은 유교적 효 관념에 바탕을 둔 간언 문화를 반영하는 대화 장면들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면들을 통해 일상 대화 속에서 대화 참여자들이 사회적 갈등을 드러내고 해소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다. <유효공선행록>에서 간언의 화자는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분명히 드러내어 상대와의 사회적 갈등 지점을 명시하되, 대화 상대와의 관계적 정체성에 착안하여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상대와 공유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함으로써 갈등 해결의 단서를 찾아 나가는 말하기 방식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간언의 화자는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상대와의 관계적 정체성과 통합하여 강화하게 되며, 화자와 청자의 관계적 정체성 또한 확장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그 성격이 재규정됨으로써 한층 공고해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간언 대화의 과정은 비록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는 하나, 협력적 갈등 해결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간언 대화는 대화 참여자의 사회적 정체성을 부정하거나 은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순응이나 회피, 타협과 구별되며 대화 참여자들 간의 관계적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쟁적 갈등 해결과도 거리가 있다. 앞으로 국어교육에서는 협력적 갈등 해결 화법의 일상적 모델로서 <유효공선행록>을 비롯한 가문소설의 간언 화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갈등 상황에 대응하는 협력적 말하기 방식을 학습하는 한편, 전통사회의 대화 문화를 현대의 그것과 비교하며 대화와 설득의 본질에 대해 근본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ising a way of engaging everyday conversations in response to social conflicts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plore the way of such eng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amily novels, including Yuhyogongseonhaen...
Devising a way of engaging everyday conversations in response to social conflicts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plore the way of such eng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amily novels, including Yuhyogongseonhaengrok, which are rich in conversation scenes that reflect the culture of the remonstrance based on Confucian filial piety. These scenes represent how participants reveal and solve social conflicts in everyday conversations. In Yuhyogongseonhaengrok, the speaker of the remonstrance not only clearly reveals his/her social identity and sets out the point of social conflict with the opponent but also shows the way in finding clues to resolve conflict by reconstructing his/her social identity that can be shared with the opponent by focusing on the relational identity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this process, the speaker strengthens his/her social identity by integrating it with the relational identity with the opponent, and the relational identity of the speaker and listener is further strengthened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in the expanded social context. The process of these conversations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cooperative conflict resolution. The dialogue is distinguished from conformity, avoidance, and compromise, as it does not deny or conceal the social identity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It is also far from the competitive conflict resolution, as it does not undermine the relational identity between conversation participan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dialectics of family novels, including Yuhyogongseonhaengrok, as a daily model of cooperative conflict resolution skills. Through this, learners will be able to learn cooperative speaking methods to cope with conflict situations, compare the conversation culture of traditional society with that of modern times, and have opportunities to fundamentally reflect on the essence of dialogue and persuas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택균, "화법에서 정체성의 교육 내용" 한국화법학회 (24) : 205-233, 2014
2 이지영, "조선시대 장편한글소설에 나타난 ‘못된 아버지’와 ‘효자 아들’의 갈등" 한국고소설학회 (40) : 83-109, 2015
3 최인자, "조선시대 상소문에 나타난 설득전략과 표현에 관한 연구–<간폐비소>와 <간타위소>를 중심으로" 24 : 105-121, 1996
4 김현주, "조선 후기 서사체에 나타나는 설득화법의 두 양상 - <한중록>과 <조씨삼대록>의 경우 -" 한국고전연구학회 (32) : 457-489, 2015
5 김윤옥, "인성교육을 위한 화법교육 방향: 의사소통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32) : 1-24, 2016
6 최길룡, "유효공선행록" 학고방 2018
7 정민주,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비한 국어과 ‘갈등 해결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8) : 135-164, 2015
8 Stewart, J., "소통: 협력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사회구성주의적 접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9 박용찬, "세대갈등과 문학교육의 전략" 한국문학교육학회 (41) : 9-40, 2013
10 최영인, "설득 화법 집중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변화 연구" 한국화법학회 (24) : 271-310, 2014
1 임택균, "화법에서 정체성의 교육 내용" 한국화법학회 (24) : 205-233, 2014
2 이지영, "조선시대 장편한글소설에 나타난 ‘못된 아버지’와 ‘효자 아들’의 갈등" 한국고소설학회 (40) : 83-109, 2015
3 최인자, "조선시대 상소문에 나타난 설득전략과 표현에 관한 연구–<간폐비소>와 <간타위소>를 중심으로" 24 : 105-121, 1996
4 김현주, "조선 후기 서사체에 나타나는 설득화법의 두 양상 - <한중록>과 <조씨삼대록>의 경우 -" 한국고전연구학회 (32) : 457-489, 2015
5 김윤옥, "인성교육을 위한 화법교육 방향: 의사소통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32) : 1-24, 2016
6 최길룡, "유효공선행록" 학고방 2018
7 정민주,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비한 국어과 ‘갈등 해결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8) : 135-164, 2015
8 Stewart, J., "소통: 협력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사회구성주의적 접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9 박용찬, "세대갈등과 문학교육의 전략" 한국문학교육학회 (41) : 9-40, 2013
10 최영인, "설득 화법 집중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변화 연구" 한국화법학회 (24) : 271-310, 2014
11 염은열, "상소문의 글쓰기 전략 연구 – ‘간타위소’를 중심으로" 3 : 77-98, 1996
12 조성윤, "상서류(上書類)에 드러난 설득 전략 양상과 교육적 적용 ― 『고문진보(古文眞寶)』 소재 산문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6 (66): 183-211, 2017
13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보은기우록 상/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6
14 임치균, "보은기우록"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15 성백효, "동몽선습·격몽요결" 전통문화연구회 1992
16 최수현, "국문장편 고전소설의 문학교육의 한 방안 ― 『보은기우록』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1 : 119-142, 2017
17 최승희, "고전작품 역주·연구 및 한국 근대화 과정 연구 Ⅰ-2 고전소설 유효공선행록"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95
18 조광국, "閥閱小說의 孝 具現 樣相에 대한 연구-閥閱小說 전개의 한 측면: ?柳孝公善行錄?, ?嚴氏孝門淸行錄?, ?報恩奇遇錄?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135-162, 2005
19 김문희, "『劉孝公善行錄』의 인물에 대한 共感과 距離化의 讀書心理"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231-256, 2011
20 심도희, "‘간언’을 통해서 본 유교의 효 사상" 동아인문학회 (19) : 187-212, 2011
21 Beaugrande, R., "New foundations for a science of text and discourse: cognition, communication, and the freedom of access to knowledge and societ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7
22 Hecht, M. L., "African American communication: exploring identity and cultur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23 최윤희, "<유효공선행록>이 보이는 유연 형상화의 두 양상" 한국문학회 (41) : 189-209, 2005
24 박일용, "<유효공선행록>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재론" 20 : 151-176, 1995
25 김문희,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과 독서 과정" 한국고전연구학회 (31) : 211-245, 2015
26 정혜경, "<유효공선행록>의 孝悌 담론과 문제의식" 우리문학회 (44) : 287-324, 2014
27 조혜란,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효제(孝悌) 수행이 부부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유연과 정소저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39) : 141-175, 2015
28 이승복,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효우의 의미와 작가의식" 19 : 162-184, 1991
29 조광국, "<유효공선행록>에 구현된 閥閱家門의 自己更新" 한중인문학회 (16) : 145-170, 2005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국어 사고도구어 능력과 교과서 읽기 능력의관계에 대한 연구
사고 과정으로서의 ‘유추’에 대한 국어 교육적 접근 ―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 | 1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2 | 1.606 | 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