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적 공동체의 사역은 하나님의 사랑을 그 사역의 정체성으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매우 넓은 범위의 다양한 신념들이 넘쳐나고 있고 이를 설득하지 못하는 그리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41683
부천 : 서울신학대학교, 2019
학위논문(석사) --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실천신학전공 , 2019
2019
한국어
235 판사항(6)
253 판사항(23)
경기도
108 p. ; 26 cm
지도교수: 최동규
참고문헌: p. 106-10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독교적 공동체의 사역은 하나님의 사랑을 그 사역의 정체성으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매우 넓은 범위의 다양한 신념들이 넘쳐나고 있고 이를 설득하지 못하는 그리스...
기독교적 공동체의 사역은 하나님의 사랑을 그 사역의 정체성으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매우 넓은 범위의 다양한 신념들이 넘쳐나고 있고 이를 설득하지 못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은 오히려 사회에 융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 속에서 본 연구자는 그리스도인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의 교회됨의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시점에서 위대한 신앙의 조상들이 실행했던 종교개혁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는 호스피스 사역의 한 개념어인 ‘환대’의 철학적, 성경적, 신학적 이해를 고찰함으로써 그 실천적 이론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목적은 사역현장에서 신자와 비신자에게 나타나는 성령론적 현상들을 사례를 통해 신학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그동안 환대에 대한 논의들이 늘 있어왔을 뿐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타자 중심의 철학 가운데 일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들에서 길을 잃어버린 환대에 대한 논의를 성경에서 부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환대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을 연구해보겠다. 그리고 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기독교적 환대와 그 실천적 적용으로서의 호스피스 사역의 신학적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호스피스는 고대와 중세의 순례자를 위한 보호소 시대를 지나 근대의 봉사적 형태의 호스피스가 태동했다. 그리고 19세기 말 이후 그리고 19세기 초부터 다양한 학문의 발전과 맞물려 보다 현재적 의미의 호스피스 운동이 일어났고 최근에는 보다 전문적인 호스피스 환화의료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기독교적 호스피스 사역의 이론적, 성서적 개념들을 고찰하여 돌봄의 주체 또는 환자들이 각각 치열한 영적 전투의 최전방에서 승리하기 위한 철학적, 성서적 증거들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사역의 기초적 이론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하는 바람을 가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