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보고서 발간과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지속가능보고서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보고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속가능보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99394
2025
Korean
지속가능보고서 ; 이익조정 ; 재량적 발생액 ; 기업윤리 ; ESG ; Sustainability Reports ; Earnings Management ; Discretionary Accruals ; Business Ethics ; ESG
KCI등재
학술저널
307-323(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보고서 발간과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지속가능보고서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보고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속가능보고...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보고서 발간과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지속가능보고서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보고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속가능보고서의 발간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경영자가 강제가 아닌 지속가능보고서를 자발적으로 발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이론과 대리인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규명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2011년부터 2023년까지 기간 동안 국내 KOSPI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한 기업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하는 기업과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한 이익조정 간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하는 기업이 발간하지 않은 기업보다 이익조정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이 대리인이론에 따른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위임을 암시하는 결과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포함하지 않은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비재무적 정보를 보고하는 지속가능보고서를 경영자가 어떠한 목적으로 활용하는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공헌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보고서와 같은 비재무적 정보에 대한 기업 및 관계 당국의 정책 수립과 기준 도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ation of sustainability reports and earnings management. Sustainability reports are intended to report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but publication of 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ation of sustainability reports and earnings management.
Sustainability reports are intended to report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but publication of sustainability reports is not currently mandatory in Korea.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why managers voluntarily publish sustainability reports rather than being required to do so.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is by focusing on signaling theory and agency theory.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companies that published sustainability reports among domestic KOSPI-listed companies from 2011 to 2023 were extract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ation of the sustainability report and earnings management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These results mean that companies that publish sustainability reports make more earnings adjustments than those that do not.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publishing a sustainability report is an opportunistic act by managers according to agency theor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s, which were not included in previous studies, on earnings management. It also contributes to verifying the purpose for which managers use sustainability reports that report non-financial inform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policies and introducing standards for companies and relevant authorities regarding non-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sustainability reports.
스타트업 ESG 인식과 지속가능 경영성과: 제조업 중심 실증연구
소비자 역할인식과 역사적 적개심이 일본제품 불매운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사례를 중심으로
Managerial Overconfidence in the Carbon Shadow: Unveiling Risks in Korean Fi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