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관청 하급실무직의 貢人權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Conversion of the Low-ranking Officials into Gongin(貢人) in the 18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3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resents some case studies of the low-ranking officials who became Gongin(貢人). Although the low-ranking officials had worked as non-payment duti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Joseon government started to employ salaried employees at the low-ranking officials and started to pay wages to them after the two big war. In addition, the government also permitted or encouraged the government officials to participate in commercial activities to overcome the financial proble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s a result, some merchants who pursued commercial profits could take the low-raking official’s seats. Especially, the positions which were related to material accounting duties became transaction objects with economic rights. Some low-ranking officials, especially the officials who were involved in the supply system of government goods, became Gongin(貢人) due to the business similarity.
      The officials’ first route to become Gongin was that the low-raking officials acquired the rights to supply the particular Gongmul(貢物) by themselves. It includes three following cases: the officials who was given Gwangit-gongmul(官衿貢物), the officials who established the Gongin’s rights afterwards without given Gwangit-gongmul(官衿貢物), and the officials who got the Gongin’s tasks because of the Gongin’s break up. The officials’ second route to become Gongin was led by Gongin. In some cases, the government demanded Gongin to install their workers in the low-ranking official’s position, the eight Jeyonggam(濟用監) warehouse keepers(庫直), for example.
      This case study on the conversion of the low-ranking officials into Gongin(貢人) could show an example of diverse merchants who were called as Gongin(貢人). Also it means that the supply system of government goods were deeply connected with nationwide commercial structur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번역하기

      This article presents some case studies of the low-ranking officials who became Gongin(貢人). Although the low-ranking officials had worked as non-payment duti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Joseon government started to employ salaried employees ...

      This article presents some case studies of the low-ranking officials who became Gongin(貢人). Although the low-ranking officials had worked as non-payment duti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Joseon government started to employ salaried employees at the low-ranking officials and started to pay wages to them after the two big war. In addition, the government also permitted or encouraged the government officials to participate in commercial activities to overcome the financial proble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s a result, some merchants who pursued commercial profits could take the low-raking official’s seats. Especially, the positions which were related to material accounting duties became transaction objects with economic rights. Some low-ranking officials, especially the officials who were involved in the supply system of government goods, became Gongin(貢人) due to the business similarity.
      The officials’ first route to become Gongin was that the low-raking officials acquired the rights to supply the particular Gongmul(貢物) by themselves. It includes three following cases: the officials who was given Gwangit-gongmul(官衿貢物), the officials who established the Gongin’s rights afterwards without given Gwangit-gongmul(官衿貢物), and the officials who got the Gongin’s tasks because of the Gongin’s break up. The officials’ second route to become Gongin was led by Gongin. In some cases, the government demanded Gongin to install their workers in the low-ranking official’s position, the eight Jeyonggam(濟用監) warehouse keepers(庫直), for example.
      This case study on the conversion of the low-ranking officials into Gongin(貢人) could show an example of diverse merchants who were called as Gongin(貢人). Also it means that the supply system of government goods were deeply connected with nationwide commercial structur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관청 하급실무직 중 貢人化한 사례들을 확인하고 이를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身役으로 운영되던 관청 하급실무직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고립제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또 조선후기에는 재정문제의 해결을 위해 각 관청이 상업활동에 참여하였고 하급실무직들은 그 실무를 담당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급실무직에는 상업세력이 유입하였고, 특히 물자 출납을 관리하던 직임은 이권화하였다. 일부 하급실무직은 관수물자의 조달과정에서 貢人과 업무적으로 유사성을 지녔기 때문에 해당 직임이 貢人化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하급실무직이 貢人化한 첫 번째 경로는, 본래의 직임자가 공인권을 창설하여 운영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처음부터 官衿貢物이 부여된 직임자 유형, 官衿貢物이 없는 직임자가 作貢을 통해서 貢人化한 유형, 貢人의 해산으로 인하여 해당 직임자에게 貢人의 업무가 이속된 유형이 포함된다. 하급실무직이 貢人化한 두 번째 경로는, 貢人이 해당 직임자를 책립하며 하급실무직 자리에 공인세력이 유입한 것이다. 貢人의 奴子로서 濟用監庫直 8명을 차정한 사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이 물자출납과 관련된 하급실무직이 貢人의 일원으로서 활동하였던 사례는, 貢人의 범주 속에 포괄된 다양한 상인계층의 한 단면을 보여주며 동시에 관수물자의 조달과정이 전국적 상품유통구조와 밀접하게 연동되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관청 하급실무직 중 貢人化한 사례들을 확인하고 이를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身役으로 운영되던 관청 하급실무직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고립제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또 조선후...

      이 논문은 관청 하급실무직 중 貢人化한 사례들을 확인하고 이를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身役으로 운영되던 관청 하급실무직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고립제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또 조선후기에는 재정문제의 해결을 위해 각 관청이 상업활동에 참여하였고 하급실무직들은 그 실무를 담당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급실무직에는 상업세력이 유입하였고, 특히 물자 출납을 관리하던 직임은 이권화하였다. 일부 하급실무직은 관수물자의 조달과정에서 貢人과 업무적으로 유사성을 지녔기 때문에 해당 직임이 貢人化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하급실무직이 貢人化한 첫 번째 경로는, 본래의 직임자가 공인권을 창설하여 운영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처음부터 官衿貢物이 부여된 직임자 유형, 官衿貢物이 없는 직임자가 作貢을 통해서 貢人化한 유형, 貢人의 해산으로 인하여 해당 직임자에게 貢人의 업무가 이속된 유형이 포함된다. 하급실무직이 貢人化한 두 번째 경로는, 貢人이 해당 직임자를 책립하며 하급실무직 자리에 공인세력이 유입한 것이다. 貢人의 奴子로서 濟用監庫直 8명을 차정한 사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이 물자출납과 관련된 하급실무직이 貢人의 일원으로서 활동하였던 사례는, 貢人의 범주 속에 포괄된 다양한 상인계층의 한 단면을 보여주며 동시에 관수물자의 조달과정이 전국적 상품유통구조와 밀접하게 연동되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원, "李在龒博士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한울 1990

      2 "좌포청등록"

      3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4 Owen Miller,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 須川英德,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6 "조선왕조실록"

      7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8 조영준, "잡담과 빙고" 소명출판 2013

      9 "승정원일기"

      10 "속대전"

      1 이지원, "李在龒博士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한울 1990

      2 "좌포청등록"

      3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4 Owen Miller,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 須川英德,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6 "조선왕조실록"

      7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8 조영준, "잡담과 빙고" 소명출판 2013

      9 "승정원일기"

      10 "속대전"

      11 "비변사등록"

      12 "만기요람"

      13 "대전회통"

      14 "대전통편"

      15 조성윤, "韓國近代移行期 中人硏究"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9

      16 姜萬吉, "朝鮮時代 商工業史硏究" 한길사 1984

      17 고동환, "朝鮮後期 서울商業發達史硏究" 지식산업사 1998

      18 姜萬吉, "朝鮮後期 雇立制 發達-差備軍과 造墓軍等의 雇立化를 中心으로" 13 : 1976

      19 德成外志子, "朝鮮後期 貢納請負制와 中人層貢人" 高麗大學校 2001

      20 卞光錫, "朝鮮後期 市廛商人 硏究" 혜안 2001

      21 白承哲, "朝鮮後期 官廳의 商業活動과 그 構造" 106 : 1999

      22 白承哲, "朝鮮後期 商業史硏究-商業論ㆍ商業政策-" 혜안 2000

      23 姜明官, "朝鮮後期 京衙前社會의 變化와 閭巷文學" 25 : 1990

      24 원재영, "朝鮮後期 京衙前 書吏 硏究-19世紀 호조서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32) : 227-277, 2005

      25 "方物次知會計冊"

      26 송찬식, "手工業構造의 性格" 9 : 1991

      27 "『貢弊』여강출판사 영인본"

      28 이정수,김희호, "18~19세기 流通資産의 매매를 통해 본 商業構造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43) : 213-265, 2007

      29 김동철, "18세기 氷契의 창설과 도고활동" 19 : 1995

      30 김동철, "18세기 坊役制의 변동과 馬契의 성립 및 都賈化 양상" 1 : 1988

      31 吳美一, "18ㆍ19세기 새로운 貢人權ㆍ廛契 창설운동과 亂廛活動" 10 : 1987

      32 吳美一, "18ㆍ19세기 貢物政策의 변화와 貢人層의 변동" 14 : 1986

      33 張東杓, "18ㆍ19세기 吏額增加의 현상에 관한 硏究" 9 : 1985

      34 신해순, "17세기 전후 동반 소속 하급 京衙前制度의 변화 -書吏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40) : 105-14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과역사 -> 지역과 역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4 1.55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