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수석교사제는 1981년부터 논의가 시작된 이래 2006년 시범 운영, 2011년 법제화 과정을 거쳐 학교 현장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석교사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수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3743
2024
Korean
수석교사제 ; 멘토링 ; 코칭 ; 교사 리더십 ; 텍스트마이닝 ; Master Teacher System ; Mentoring ; Coaching ; Teacher Leadership ; Text Mining
KCI등재
학술저널
359-38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수석교사제는 1981년부터 논의가 시작된 이래 2006년 시범 운영, 2011년 법제화 과정을 거쳐 학교 현장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석교사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수석...
한국의 수석교사제는 1981년부터 논의가 시작된 이래 2006년 시범 운영, 2011년 법제화 과정을 거쳐 학교 현장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석교사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수석교사’를 키워드로 한 학술논문 118편의 초록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고, Garvey와 Stroke(2022)의 멘토링·코칭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수석교사 관련 논문은 교육과정 개편기에 출판량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관련 논문의 상위 빈도 어휘는 교사, 학교, 수업, 교육, 전문성, 업무, 역량, 연수, 개발 등이었고, 수석교사는 교육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연구 주제는 수석교사의 역할, 경험, 정책 등에 관해 이루어졌다. 수석교사가 교내에서 실시한 멘토링·코칭의 유형은 고전적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관련 연구의 주요 토픽들은 역할, 역할 갈등, 리더십, 교육정책으로서의 제도 분석, 사례연구 등이었다. 이를 통해 현장에 수석교사가 다양한 멘토링과 코칭 기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교원의 인식 개선 및 제도적 지원 확대, 행재정적 지원 강화, 온·오프 네트워크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ystem of Master Teachers in South Korea began being discussed in 1981, with pilot operations starting in 2006 and formal legislation occurring in 2011, eventually becoming established in schools.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Mas...
The system of Master Teachers in South Korea began being discussed in 1981, with pilot operations starting in 2006 and formal legislation occurring in 2011, eventually becoming established in schools.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Master Teachers by examining abstracts of academic papers from RISS that focus on “Master Teacher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Garvey and Stroke's (2022) types of mentoring and coach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publications on Master Teachers increased following the “pilot operation and legislation” period and showed a growth trend during the “curriculum reform period.” The top 20 keywords in these papers included terms such as teacher, school, class, education, professionalism, tasks, competencies, training, and development, indicat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Teachers and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earch topics included their roles, experiences, and related policies.
The types of mentoring and coaching conducted by Master Teachers in schools predominantly follow a traditional approach where “experienced teachers act as mentors and beginners as mentees,” rather than employing diverse types of mentoring and coaching. The main research topics concerning Master Teachers were: ① the role of Master Teachers, ② role conflicts of Master Teachers, ③ leadership of Master Teachers, ④ analysis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policy, and ⑤ case studies of Master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mproving teachers' awareness and expanding institutional support so that head teachers in the field can employ various mentoring and coaching techniques; strengthening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placement of one head teacher per school; and operating on-and-offline networks for regional teachers.
초등학생이 선정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내용과 조직 방식 탐구
인공지능 동작 원리에 기초한 초등 도덕과 인공지능 윤리교육 방안 연구- 데이터 편향성 문제를 중심으로 -
자존감과 삶의 목적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과 자기수용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