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2년 미중 데탕트에서 ‘미일동맹 문제’ 처리의 의미와 한계 = The U.S.-Japan Alliance Problem in the Sino-U.S. Rapprochement in 197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19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2년의 미·중 데탕트를 통해 동아시아에는 평화의 시기가 도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적 시기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으며, 미·중 및 중·일 사이의 전략적 갈등은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1972년 미중데탕트가 동아시아에 조성한 평화적 안보 구조가 일정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는 문제의식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1972년의 미중 데탕트 사례에서 미일동맹 문제의 처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에서 미중 데탕트의 의미와 한계를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1971년부터 시작된 미·중 대화에서 중국은 일본의 군국주의적 군사력 확대와 미일동맹 관계에서 미국의 일본에 대한 의도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이에 대해 미국은 미일동맹을 통해 미국이 일본의 군국주의적 재무장과 확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논리를 강조하며 동아시아 안보를 위해 미일동맹의 구조가 필수적임을 주장하였다. 중국이 미일동맹에 관한 미국의 논리를 받아들임으로써 1972년 양국은 합의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일본에 대한 중국의 위협인식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게 되었으며, 전후 70년간 상존해온 일본에 대한 중국의 위협인식은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안보 정책에 영향을 미쳐 오게 되었다. 현재 동아시아가 당면한 안보 문제를 풀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이와 같은 인식의 문제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다루는 역사적 사례연구의 수행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72년의 미·중 데탕트를 통해 동아시아에는 평화의 시기가 도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적 시기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으며, 미·중 및 중·일 사이의 전략적 갈등은 최근까지 지�...

      1972년의 미·중 데탕트를 통해 동아시아에는 평화의 시기가 도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적 시기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으며, 미·중 및 중·일 사이의 전략적 갈등은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1972년 미중데탕트가 동아시아에 조성한 평화적 안보 구조가 일정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는 문제의식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1972년의 미중 데탕트 사례에서 미일동맹 문제의 처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에서 미중 데탕트의 의미와 한계를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1971년부터 시작된 미·중 대화에서 중국은 일본의 군국주의적 군사력 확대와 미일동맹 관계에서 미국의 일본에 대한 의도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이에 대해 미국은 미일동맹을 통해 미국이 일본의 군국주의적 재무장과 확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논리를 강조하며 동아시아 안보를 위해 미일동맹의 구조가 필수적임을 주장하였다. 중국이 미일동맹에 관한 미국의 논리를 받아들임으로써 1972년 양국은 합의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일본에 대한 중국의 위협인식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게 되었으며, 전후 70년간 상존해온 일본에 대한 중국의 위협인식은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의 안보 정책에 영향을 미쳐 오게 되었다. 현재 동아시아가 당면한 안보 문제를 풀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이와 같은 인식의 문제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다루는 역사적 사례연구의 수행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st Asia entered a peaceful era with the Sino-U.S rapprochement in 1972. The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PRC and Japan, however, did not last for long and the threat of potential conflicts has persisted in this area ever since. This leads to the question that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with the peace structure the 1972’s rapprochement has provided.
      This thesis will explore how the U.S.-Japan alliance problem was resolved through the Sino-U.S. talks. PRC asserted that the recent developments with Japanese defense forces were based on militarism and expansionism, and that the U.S.-Japanese security relationships are supporting them. The U.S stressed that the U.S-Japan alliance would work against militaristic re-armament and expansionism of Japan, and the alliance would be crucial to keep peace in East Asia. China hesitated, but accepted the U.S’s rationale for the Japanese alliance to agree with the details of the Shanghai Communique.
      Nonetheless, PRC’s threat perception to Japanese militarism has remained unsolved to date, and it has affected the security dilemmas among the East Asian states. Thus, the ideological factors such as threat perception are now worth more attention and more historical case studies are called for to provide better answers for the security questions in East Asia.
      번역하기

      East Asia entered a peaceful era with the Sino-U.S rapprochement in 1972. The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PRC and Japan, however, did not last for long and the threat of potential conflicts has persisted in this area ever since. T...

      East Asia entered a peaceful era with the Sino-U.S rapprochement in 1972. The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PRC and Japan, however, did not last for long and the threat of potential conflicts has persisted in this area ever since. This leads to the question that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with the peace structure the 1972’s rapprochement has provided.
      This thesis will explore how the U.S.-Japan alliance problem was resolved through the Sino-U.S. talks. PRC asserted that the recent developments with Japanese defense forces were based on militarism and expansionism, and that the U.S.-Japanese security relationships are supporting them. The U.S stressed that the U.S-Japan alliance would work against militaristic re-armament and expansionism of Japan, and the alliance would be crucial to keep peace in East Asia. China hesitated, but accepted the U.S’s rationale for the Japanese alliance to agree with the details of the Shanghai Communique.
      Nonetheless, PRC’s threat perception to Japanese militarism has remained unsolved to date, and it has affected the security dilemmas among the East Asian states. Thus, the ideological factors such as threat perception are now worth more attention and more historical case studies are called for to provide better answers for the security questions in East As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자현, "화해의 국제정치: 화해 이론의 발전과 중일관계에 대한 비판적 적용"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7-38, 2013

      2 이기완, "중일관계 갈등의 이슈와 원인 -일본 측 정치동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293-318, 2009

      3 이동률, "중국의 1972년 대미 데탕트: 배경, 전략, 역사적 함의" 세종연구소 20 (20): 71-106, 2014

      4 마상윤, "적(敵)에서 암묵적 동맹으로: 데탕트 초기 미국의 중국 접근"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3 (23): 313-338, 2014

      5 손열, "미중데탕트와 일본: 1972년 중일국교정상화 교섭의 국제정치" 동아시아연구원 (37) : 2014

      6 권헌익, "냉전의 다양한 모습" 역사문제연구소 (105) : 221-235, 2013

      7 호소야치히로, "日米關係資 料集1945-97" 東京大學出版會 1999

      8 Kissinger, Henry A., "White House Years" Little, Brown and Company 1979

      9 Teo, Victor, "The United States between China and Japa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

      10 He, Yinan, "The United States between China and Japa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

      1 천자현, "화해의 국제정치: 화해 이론의 발전과 중일관계에 대한 비판적 적용"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7-38, 2013

      2 이기완, "중일관계 갈등의 이슈와 원인 -일본 측 정치동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293-318, 2009

      3 이동률, "중국의 1972년 대미 데탕트: 배경, 전략, 역사적 함의" 세종연구소 20 (20): 71-106, 2014

      4 마상윤, "적(敵)에서 암묵적 동맹으로: 데탕트 초기 미국의 중국 접근"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3 (23): 313-338, 2014

      5 손열, "미중데탕트와 일본: 1972년 중일국교정상화 교섭의 국제정치" 동아시아연구원 (37) : 2014

      6 권헌익, "냉전의 다양한 모습" 역사문제연구소 (105) : 221-235, 2013

      7 호소야치히로, "日米關係資 料集1945-97" 東京大學出版會 1999

      8 Kissinger, Henry A., "White House Years" Little, Brown and Company 1979

      9 Teo, Victor, "The United States between China and Japa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

      10 He, Yinan, "The United States between China and Japa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

      11 Walt, Stephen M., "The Origins of Allianc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12 Nixon, Richard, "The Memoirs of the Richard Nixon" Grosset & Dunlap 1978

      13 Haldeman, Harry. R., "The Haldeman Diaries: inside the Nixon White House" G.P. Putnam's 1994

      14 Chanlett-Avery, Emma, "Sino-Japanese Relations: Issues for U.S. Policy"

      15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16 Richard Nixon, "Remarks to Midwestern News Media Executives Attending a Briefing on Domestic Policy in Kansas City, Missouri"

      17 Ross, Robert S., "Re-Examining the Cold War: U.S.-China Diplomacy, 1954-1973"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73

      18 Ren, Lin, "Rationality and Emotion: Comparative Studies of the Franco-German and Sino-Japanese Reconciliations" Springer VS 2014

      19 "Presidential Directives"

      20 Kissinger, Henry A., "On China" Penguin Books 2011

      21 Kirby, William C., "Normalization of U.S.-China Relations: an International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22 MacMillan, Margaret, "Nixon And Mao: the Week That Changed the World" Random House 2008

      23 Xia, Yafeng, "Negotiating with the Enemy: U.S.-China Talks during the Cold War, 1949-1972" Indiana University Press 1972

      24 Young, Kenneth, "Negotiating with the Chinese Communists: The United States Experience, 1953-1967" McGraw-Hill 1967

      25 "NSC Institutional(‘H’) Files: Meeting Files"

      26 "NSC Files: Presidential/HAK MemCons"

      27 "NSC Files: Country Files–Far East"

      28 Hiatt, Fred, "Marine General: U.S. Troops Must Stay in Japan"

      29 Chen, Jian, "Mao's China And the Cold W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1

      30 "Kissinger Transcripts, 1969-1977"

      31 "Japan and the U.S., 1960-1976"

      32 Kupchan, Charles, "How Enemies Become Friends: the Sources of Stable Pea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33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34 Holdridge, John H., "Crossing The Divide: an Insider's Account of Normalization of U.S.-China Relations" Rowman & Littlefield 1997

      35 Goh, Evelyn, "Constructing the U.S. Rapprochement with China, 1961-1974: From ‘Red Menace’ to ‘Tacit Al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6 Christensen, Thomas J., "China, the U.S.-Japan Alliance, and the Security Dilemma in East Asia" 23 (23): 1999

      37 "China and the U.S., 1960-1998"

      38 Ito, Go, "Alliance in Anxiety: Detente and the Sino-American- Japanese Triangle" Routledge 2003

      39 Tudda, Chris, "A Cold War Turning Point: Nixon and China, 1969-1972"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72

      40 브루스커밍스, "1등 (혹은 2등): 1894~2014년간의 동아시아 질서에서 일본에 대한 미국의 선호" 아시아연구소 4 (4): 133-163,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 1.92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