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폭력 담화의 명명 전략 연구 - 안희정 사건의 언론 보도와 온라인 댓글을 중심으로 - = Nomination Strategies in Sexual Violence Discourse: Analysis of Media Coverage and Online Comments on the Ahn Hee-jung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0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폭력 담화에서 사용되는 명명 전략을 분석하여,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성폭력 행위 자체가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고찰한다. 안희정 성폭력 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와 온라인 댓글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행위자들의 명명 방식에 있어 뚜렷한 비대칭성이 발견되었다. 가해자는 주로 제도화와 개인화 전략을 통해 지칭되는 반면, 피해자는 상대화, 피해자화, 젠더화 등 보다 광범위한 명명 전략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성폭력 행위 자체에 대한 개념화에 있어서도 권력 관계를 강조하며 범죄로 규정하는 방식과, 폭력성을 최소화하고 합의된 불륜으로 특징짓는 방식이 경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명명 전략으로 드러나는 언어적 표상의 패턴은 기존의 권력 구조와 제도적 위계를 반영하고 잠재적으로 강화할 수 있으며, 성폭력에 대한 명명 전략이 중립적인 언어적 선택이 아닌 보다 넓은 사회적 권력 관계와 제도적 구조의 반영임을 시사한다. 이는 성폭력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사회적 대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폭력 담화에서 사용되는 명명 전략을 분석하여,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성폭력 행위 자체가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고찰한다. 안희정 성폭력 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

      본 연구는 성폭력 담화에서 사용되는 명명 전략을 분석하여,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성폭력 행위 자체가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고찰한다. 안희정 성폭력 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와 온라인 댓글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행위자들의 명명 방식에 있어 뚜렷한 비대칭성이 발견되었다. 가해자는 주로 제도화와 개인화 전략을 통해 지칭되는 반면, 피해자는 상대화, 피해자화, 젠더화 등 보다 광범위한 명명 전략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성폭력 행위 자체에 대한 개념화에 있어서도 권력 관계를 강조하며 범죄로 규정하는 방식과, 폭력성을 최소화하고 합의된 불륜으로 특징짓는 방식이 경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명명 전략으로 드러나는 언어적 표상의 패턴은 기존의 권력 구조와 제도적 위계를 반영하고 잠재적으로 강화할 수 있으며, 성폭력에 대한 명명 전략이 중립적인 언어적 선택이 아닌 보다 넓은 사회적 권력 관계와 제도적 구조의 반영임을 시사한다. 이는 성폭력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사회적 대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nomination strategies used in sexual violence discourse, focusing on how perpetrators, victims, and acts of sexual violence are linguistically represen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media coverage and online comments related to the Ahn Hee-jung sexual assault case, this research reveals significant asymmetries in how different social actors are named and referenced. While perpetrators are predominantly referred to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particularly profession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strategies, victims are subject to a broader range of nomination strategies including relativization, victimization, and gendering. The study also identifies competing conceptualizations of sexual violence itself, with some discourse framing it as a crime emphasizing power relations, while others minimize its violent nature by characterizing it as consensual infidelity. These patterns of linguistic representation reflect and potentially reinforce existing power structures and institutional hierarch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nomination strategies in sexual violence cases are not neutral linguistic choices but rather reflect broader social power relations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which may influence public perception and societal responses to sexual violenc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nomination strategies used in sexual violence discourse, focusing on how perpetrators, victims, and acts of sexual violence are linguistically represen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media coverage and online comments rela...

      This study examines the nomination strategies used in sexual violence discourse, focusing on how perpetrators, victims, and acts of sexual violence are linguistically represen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media coverage and online comments related to the Ahn Hee-jung sexual assault case, this research reveals significant asymmetries in how different social actors are named and referenced. While perpetrators are predominantly referred to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particularly profession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strategies, victims are subject to a broader range of nomination strategies including relativization, victimization, and gendering. The study also identifies competing conceptualizations of sexual violence itself, with some discourse framing it as a crime emphasizing power relations, while others minimize its violent nature by characterizing it as consensual infidelity. These patterns of linguistic representation reflect and potentially reinforce existing power structures and institutional hierarch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nomination strategies in sexual violence cases are not neutral linguistic choices but rather reflect broader social power relations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which may influence public perception and societal responses to sexual viol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