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태연,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53-76, 2010
2 최열, "한 끼 식사의 의미에 대하여_궁색하지 않고, 사치스럽지 않은 식탁" (9) : 196-199, 2016
3 김철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36-147, 2012
4 권정은, "중학생의 가족식사 횟수에 따른 식행동, 식품섭취 및 삶의 만족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272-281, 2013
5 박소연,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결정 요인과 우울 증상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29-163, 2018
6 이기완, "중·고등학생의 가족식사에 대한 태도와 혼자 식사와의 영양소 섭취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14 (14): 127-138, 2008
7 김기정, "재가노인의 우울감 유발요인과 완화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111-144, 2008
8 장연식,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7 (37): 527-547, 2017
9 고기동, "우리나라 노인에서 건강 위험 행동과 정신 건강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 패널(KLoSA)" 대한노인병학회 16 (16): 66-73, 2012
10 이재준, "우리나라 노인에서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정신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 (3): 721-725, 2015
1 정태연,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53-76, 2010
2 최열, "한 끼 식사의 의미에 대하여_궁색하지 않고, 사치스럽지 않은 식탁" (9) : 196-199, 2016
3 김철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36-147, 2012
4 권정은, "중학생의 가족식사 횟수에 따른 식행동, 식품섭취 및 삶의 만족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272-281, 2013
5 박소연,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결정 요인과 우울 증상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29-163, 2018
6 이기완, "중·고등학생의 가족식사에 대한 태도와 혼자 식사와의 영양소 섭취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14 (14): 127-138, 2008
7 김기정, "재가노인의 우울감 유발요인과 완화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111-144, 2008
8 장연식,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7 (37): 527-547, 2017
9 고기동, "우리나라 노인에서 건강 위험 행동과 정신 건강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 패널(KLoSA)" 대한노인병학회 16 (16): 66-73, 2012
10 이재준, "우리나라 노인에서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정신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 (3): 721-725, 2015
11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27 (27): 71-86, 2007
12 이슬아, "수면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38 (38): 171-181, 2019
13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453-469, 2010
14 배숙경,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0, 2012
15 김은아, "노인의 우울, 자살사고와 삶의 질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6 (46): 179-208, 2018
16 김애정,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건강위험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8 (18): 391-399, 2007
17 이현주,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291-318, 2013
18 허재홍, "가족주의 가치관이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0 (10): 1769-1782, 2009
19 김종남, "가족동반식사가 자녀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협회 19 (19): 140-158, 2013
20 김경미, "가족간 식사, 통화 및 여가활동과 중년기의 행복"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279-300, 2012
21 Ishikawa, M., "“Eating together” is associated with food behaviors and demographic factors of older Japanese people who live alone" 21 (21): 662-672, 2017
22 Moira Dean, "The impact of personal resources and their goal relevance on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among the elderly" Elsevier BV 50 (50): 308-315, 2008
23 Blazer, D., "The association of age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 An epidemiologic exploration" 64 (64): 210-215, 1991
24 Kroenke, K., "The PHQ‐9 :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16 (16): 606-613, 2001
25 강윤화,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Mealtime and Depression in Elderly Koreans" 대한가정의학회 39 (39): 340-346, 2018
26 Yu Chen, "Older people living alone in Shanghai: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ir life experience" Wiley 27 (27): 260-269, 2018
27 JOËLLE GAYMU,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30 (30): 1153-1175, 2010
28 Ashley, B., "Food and cultural studies" Routledge 2004
29 Sook-Young Kim,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older Korean women living alone" Informa UK Limited 44 (44): 111-119, 2014
30 Tani, Y., "Eating alone and depression in older men and women by cohabitation status : the JAGES longitudinal survey" 44 (44): 1019-1026, 2015
31 Kimura, Y., "Eating alone among community-dwelling Japanese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food diversity" 16 (16): 728-731, 2012
32 Aki Kuroda, "Eating Alone as Social Disengagement is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Japanes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lsevier BV 16 (16): 578-585, 2015
33 Jeong Sook Yang, "Eating Alone among Korean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2013"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7 (7): 904-908, 2017
34 Marla E. Eisenberg,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158 (158): 792-, 2004
35 Yeunhee Kwak, "Associ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meal patterns among elderly Koreans" Wiley 18 (18): 161-168, 2018
36 Xinyi Wang, "Associa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depressive symptom in elders: a cross-sectional study"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6 (1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