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87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ociety is developing and changing rapidly at the same time, members of society are increasingly calling for better quality of working life and better quality of life. Under such circumstance, flexible working hour can be an alternative plan to seek flexibility in workplace so that employees can satisfy their needs. For this reason, many businesses are already implementing flexible working hour and others are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lexible working hour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and their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rganization. The flexible working hour,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businesses that implement and do not implement flexible working hour for statistic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Second, the recogni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by employees of businesses that administered the system help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such as maintenance, affiliation, progressive, and rationality cultures.
      To recapitulate the findings in this study, flexible working hour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job satisfaction is achieved in this system since it fulfills diversified desires of individuals through flexible and creative atmosphere in workplace.
      Along with flexible working hour,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system by employees, in other words the more understanding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system, the more the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businesses should seek agreement on this system with their employees and make them aware about this system before introducing flexible working hour.
      In terms of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it was revealed that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Although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average value of job satisfaction in maintenance culture was relatively low. Therefore, businesses with maintenance culture need due consideration to introduce flexible working hour to their employees.
      번역하기

      As society is developing and changing rapidly at the same time, members of society are increasingly calling for better quality of working life and better quality of life. Under such circumstance, flexible working hour can be an alternative plan to see...

      As society is developing and changing rapidly at the same time, members of society are increasingly calling for better quality of working life and better quality of life. Under such circumstance, flexible working hour can be an alternative plan to seek flexibility in workplace so that employees can satisfy their needs. For this reason, many businesses are already implementing flexible working hour and others are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lexible working hour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and their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rganization. The flexible working hour,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businesses that implement and do not implement flexible working hour for statistic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Second, the recogni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by employees of businesses that administered the system help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such as maintenance, affiliation, progressive, and rationality cultures.
      To recapitulate the findings in this study, flexible working hour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job satisfaction is achieved in this system since it fulfills diversified desires of individuals through flexible and creative atmosphere in workplace.
      Along with flexible working hour,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system by employees, in other words the more understanding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system, the more the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businesses should seek agreement on this system with their employees and make them aware about this system before introducing flexible working hour.
      In terms of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it was revealed that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Although flexible working hou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average value of job satisfaction in maintenance culture was relatively low. Therefore, businesses with maintenance culture need due consideration to introduce flexible working hour to their employe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변화해 감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의 근로생활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과 생활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욕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조직구성원들에게 자율적인 근로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기업들은 이미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 역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가 직무만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선택적 근로시간제 실시기업과 미실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는 조직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인지도는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보존적 문화, 친화적 문화, 진취적 문화, 합리적 문화의 모든 문화유형에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선택적 근로제를 시행함으로써 그들의 다양해진 욕구를 어느 정도 해소해 주고, 조직 내에서의 자율성이 보장 되어 자유롭고 창의적인 분위기를 통해 직무만족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라 보여 진다.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여부와 함께 이 제도에 대해 조직구성원의 인지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인지도가 높을수록, 즉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수록 직무만족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에 앞서 제도의 도입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사전 동의나, 제도에 대한 인식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을 의미한다.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서는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모든 문화유형에서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존적 문화유형의 경우에는 다른 문화유형에 비해 직무만족도의 평균값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존적 문화의 기업에서는 선택적 근로시간제 도입에 대해 신중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하겠다.
      번역하기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변화해 감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의 근로생활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과 생활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욕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선택적 근로시...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변화해 감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의 근로생활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과 생활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욕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조직구성원들에게 자율적인 근로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기업들은 이미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 역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가 직무만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선택적 근로시간제 실시기업과 미실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는 조직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인지도는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보존적 문화, 친화적 문화, 진취적 문화, 합리적 문화의 모든 문화유형에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선택적 근로제를 시행함으로써 그들의 다양해진 욕구를 어느 정도 해소해 주고, 조직 내에서의 자율성이 보장 되어 자유롭고 창의적인 분위기를 통해 직무만족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라 보여 진다.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시여부와 함께 이 제도에 대해 조직구성원의 인지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인지도가 높을수록, 즉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수록 직무만족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도입에 앞서 제도의 도입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사전 동의나, 제도에 대한 인식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을 의미한다.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서는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모든 문화유형에서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존적 문화유형의 경우에는 다른 문화유형에 비해 직무만족도의 평균값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존적 문화의 기업에서는 선택적 근로시간제 도입에 대해 신중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선택적 근로시간제 = 4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선택적 근로시간제 = 4
      • 1.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정의 = 4
      • 2.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필요성 = 6
      • 3.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장·단점 및 도입에 따른 효과 = 7
      • 제2절 직무만족 = 9
      • 1. 직무만족의 정의 = 9
      • 2. 직무만족의 중요성 = 11
      • 3. 직무만족 이론 = 12
      • 4.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9
      • 제3절 조직문화 = 23
      • 1. 조직문화의 정의 = 23
      • 2. 조직문화의 기능과 중요성 = 25
      • 3.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 27
      • 4. 조직문화의 유형 = 33
      • 제3장 연구의 설계 = 43
      • 제1절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 43
      • 1. 연구의 모형 = 43
      • 2. 가설의 설정 = 44
      •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46
      • 1. 선택적 근로시간제 = 46
      • 2. 조직문화 유형 = 46
      • 3. 직무만족 = 47
      • 제3절 연구방법 = 48
      • 1. 설문지의 구성 = 48
      • 2. 실증분석의 방법 = 49
      • 제4장 실증분석 = 50
      • 제1절 표본의 특성 = 50
      • 1. 전체응답자 분석 = 50
      • 제2절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 52
      • 1. 신뢰도 분석 = 52
      • 2. 타당성 검증 = 53
      • 3. 상관관계 분석 = 56
      • 제3절 가설의 검증 = 57
      • 1. 가설 I 에 대한 검증 = 57
      • 2. 가설 II 에 대한 검증 = 57
      • 3. 가설 III 에 대한 검증 = 58
      • 제5장 결론 = 62
      • 제1절 연구의 요약과 결론 = 62
      • 제2절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 = 64
      • 참고문헌 = 65
      • 설문지 = 69
      • Abstract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