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their Stress Coping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6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their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at purpose, 410 children attending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were surveyed.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developed by Grych et al.(1992) and tested for validity by Gwon Yeong-ok and Lee Jeong-deok(1997), the questionnaire by Seo Yeong-mi(1998) based on the School Children's Daily Hassles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hn-jin(1998) with the teacher-related items excluded, a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hn-jin(199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and tested with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conflicted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daily hassl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parent-related and friends-isolation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positive to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friends-conflict stress and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except for self-blame and stability, and between their study stress with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except for self-blame. Of the subareas of the parental conflicts, the frequency, intensity, problem solving, and perceived threat were influential to the children's parent-related stress, while the frequency and perceived threat to their friends-isolation stress. In addition, the perceived threat and coping efficiency of parental conflicts affected their friends-conflicts stress, while the frequency, problem solving, perceived threat, triangle relationships, and stability their study stress.
      Second,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the areas, and children turned out to adopt diverse coping behaviors at the same time under daily hassle situations. They used passive, offensive, and avoidance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parent-related and friends-isolation stress, passive and offensive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friends-conflicts stress, and active, passive, offens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study stress.
      Thus it's clear that parental conflicts served as critical stressors of not only parents-related stress but also all the daily hassles of children. Considering that children do use many different coping behaviors simultaneously under all the stress situations, it's implied that smooth resolutions of parental conflicts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childrens stres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their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at purpose, 410 children attending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two elemen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their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at purpose, 410 children attending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were surveyed.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developed by Grych et al.(1992) and tested for validity by Gwon Yeong-ok and Lee Jeong-deok(1997), the questionnaire by Seo Yeong-mi(1998) based on the School Children's Daily Hassles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hn-jin(1998) with the teacher-related items excluded, a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hn-jin(199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and tested with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conflicted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daily hassl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parent-related and friends-isolation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positive to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friends-conflict stress and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except for self-blame and stability, and between their study stress with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except for self-blame. Of the subareas of the parental conflicts, the frequency, intensity, problem solving, and perceived threat were influential to the children's parent-related stress, while the frequency and perceived threat to their friends-isolation stress. In addition, the perceived threat and coping efficiency of parental conflicts affected their friends-conflicts stress, while the frequency, problem solving, perceived threat, triangle relationships, and stability their study stress.
      Second,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the areas, and children turned out to adopt diverse coping behaviors at the same time under daily hassle situations. They used passive, offensive, and avoidance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parent-related and friends-isolation stress, passive and offensive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friends-conflicts stress, and active, passive, offens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study stress.
      Thus it's clear that parental conflicts served as critical stressors of not only parents-related stress but also all the daily hassles of children. Considering that children do use many different coping behaviors simultaneously under all the stress situations, it's implied that smooth resolutions of parental conflicts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childrens stres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러한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는 대처행동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Grych 등(1992)이 개발하고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타당도를 검증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척도 중 교사관련 스트레스를 제외하고 수정 제작한 서영미(1998)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수정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는 부모갈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는 자기비난과 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관련 스트레스는 자기비난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부모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 강도, 문제해결, 지각된 위협이,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와 지각된 위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에는 지각된 위협과 대처효율성이, 학업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 문제해결, 지각된 위협, 삼각관계와 안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아동은 모든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대처행동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소극적, 공격적, 회피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소극적이고 공격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업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적극적, 소극적, 공격적,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갈등은 부모관련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아동의 모든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중요한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이 모든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대처행동을 동시에 사용하여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결해 나가려는 행동을 보인다는 점에서 부모의 원만한 부모갈등 해결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어떠한 ...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러한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는 대처행동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Grych 등(1992)이 개발하고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타당도를 검증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척도 중 교사관련 스트레스를 제외하고 수정 제작한 서영미(1998)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수정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는 부모갈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는 자기비난과 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관련 스트레스는 자기비난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부모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 강도, 문제해결, 지각된 위협이,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와 지각된 위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에는 지각된 위협과 대처효율성이, 학업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 문제해결, 지각된 위협, 삼각관계와 안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아동은 모든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대처행동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소극적, 공격적, 회피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소극적이고 공격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업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적극적, 소극적, 공격적,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갈등은 부모관련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아동의 모든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중요한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이 모든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대처행동을 동시에 사용하여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결해 나가려는 행동을 보인다는 점에서 부모의 원만한 부모갈등 해결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목차
      • 국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 5
      • 2.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 7
      • 3.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아동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 12
      • Ⅲ. 연구방법 = 14
      • 1. 연구대상 = 14
      • 2. 측정도구 = 15
      • 3. 연구절차 = 19
      • 4. 자료분석 = 19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1
      • 1.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 = 21
      • 2.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23
      • 3.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 28
      • 4.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30
      • Ⅴ. 논의 및 결론 = 35
      • 참고문헌 = 41
      • 부록 = 47
      • ABSTRACT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