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에 들어 시인들의 시 속에 자의식의 문제가 크게 나타나 있다는 사실은 그들의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동안 현대시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에 들어 시인들의 시 속에 자의식의 문제가 크게 나타나 있다는 사실은 그들의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동안 현대시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
2000년대에 들어 시인들의 시 속에 자의식의 문제가 크게 나타나 있다는 사실은 그들의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동안 현대시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시 속에 드러난 자의식이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다루고자 하는 시도가 거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시들에 나타난 자의식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 문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2000년대에 등장하게 된 시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그들의 시에 나타난 특징을 강한 자의식의 표출로 인식하였다. 2000년대 시와 그 이전 시의 경향을 비교하고, 이 시기 시적 경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000년대부터 주로 활동해 왔으며 그러한 특징을 시 속에 주로 담아내고 있는 시인으로 허연, 이영주, 황병승이라는 세 명의 시인을 선정하고, 이들의 시를 살펴봄으로써 2000년대 시에 나타난 자의식 표출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세 시인의 시를 부정성의 측면에서 검토해 봄으로써, 2000년대 시의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는 자의식의 문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드러나 있는지 탐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세 시인의 시에 드러나 있는 자의식의 문제를 각각 두 개의 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그 항에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각 시인의 시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시세계를 개괄적으로 살펴본 다음, 결론에서는 이들 세 시인의 자의식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려고 하였다.
서정시가 우리 시단을 이끌어 가는 데 문제를 노출함에 따라, 새로운 시적 경향에 대한 움직임이 2000년대 새로운 시인들로 하여금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은 시 속에 자의식의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인간 의식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앞서 제시한 시인들 역시 자신의 시 속에서 그러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허연의 시를 자의식의 문제로 접근해 볼 때, 그의 시에 ‘단절’과 ‘절망’이라는 두 가지 심리가 강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단절’이라는 심리적 측면이 드러나 있는 부분은 스스로를 세상과 고립시키려 하는 화자의 모습을 통해 나타난다.
그의 시에서 또 하나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절망’에 대한 시인의 태도이다. 이는 화자가 어떤 사물을 보면서 느끼는 인상이라든지, 어떤 다른 장르에서 끌어온 소재를 이용한다든지, 아니면 시에서 화자로 나타나 있는 시인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드러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 속에 나타나고 있다.
이영주의 시를 자의식의 문제로 접근해 보면, ‘죽음’과 ‘고독’의 문제가 그녀의 시에 주로 나타나 있다. 꿈은 인간이 아직도 명확하게 해석해 내지 못하는 미지의 영역이다. 사람들은 무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꿈’을 오래 전부터 신비의 대상으로 여겨 왔다. 이영주는 이러한 꿈의 세계를 시 속에 자주 등장시키는데, 이를 주로 ‘죽음’이라는 개념과 연결시켜 표현하고 있다.
고독의 문제는 일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타인과의 교류가 오랫동안 끊겨 있는 상황에 처한 인물이 느끼는 심정, 또 자신이 피할 수 없는 어떠한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타인과의 교류를 끊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인물의 심정 등을 통해 사람의 마음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고독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황병승의 시에는 ‘억압’과 ‘결핍’에 대한 내용이 주로 나타나 있다. 물질적 빈곤은 ‘억압’의 정서와 관련을 맺으며, 정신적 빈곤은 결핍의 정서와 관련된다. 빈곤이 기본적인 삶조차도 영위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할 정도에 이르면, 그러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까운 미래마저 부정하는 데에 이르게 하며, 그들로 하여금 삶의 의욕을 꺾어 버리고 절망에 빠지게 한다.
정신적인 빈곤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이는 시인의 시 속에서 아직 세상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어린아이의 시선을 통해 나타나거나, 또는 이미 어른이 된 화자가 과거를 회상하며 어른들의 문제에 대해 비판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