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효능감은 과제 또는 영역 특수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 직무에서의 효능감은 시간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사효능감 척도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것이 15년 전에 개발된 것이며, 우리의 교육 현장은 급변해 왔고, 교사의 동기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접근으로서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사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특정한 이론적 틀에 기반 하지 않고 교육현장에서 수집되는 자료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 내용분석을 하였고, 부수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초등 교사들의 효능감 수준을 주요 직무 영역별로 파악하였으며, 효능감 형성 및 부족 요인과 증진방안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사전용 인터넷 카페를 통해 초등 교사 약 3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3인과는 면대면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개방형 질문지로 수집한 자료의 내용분석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5개 영역(교과.생활.특별활동 지도, 행정업무, 대인관계) 외에 자기관리, 자기계발, 스트레스관리, 컴퓨터(미디어)활용, 상담능력, 정서관리, 소명의식 등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초등 교사들의 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여교사보다 남교사가 높았으며, 평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높았고, 경력이 높을수록 효능감이 높았으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초등 교사효능감의 형성 및 부족 요인으로 ‘경험’이 가장 높은 공통 요인이었고, 효능감 증진 방안으로는 ‘자기연수 확대’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양적 자료를 보완한 후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효능감은 과제 또는 영역 특수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 직무에서의 효능감은 시간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사효능감 척도 중 가장 최근에...

      효능감은 과제 또는 영역 특수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 직무에서의 효능감은 시간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사효능감 척도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것이 15년 전에 개발된 것이며, 우리의 교육 현장은 급변해 왔고, 교사의 동기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접근으로서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사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특정한 이론적 틀에 기반 하지 않고 교육현장에서 수집되는 자료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 내용분석을 하였고, 부수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초등 교사들의 효능감 수준을 주요 직무 영역별로 파악하였으며, 효능감 형성 및 부족 요인과 증진방안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사전용 인터넷 카페를 통해 초등 교사 약 3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3인과는 면대면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개방형 질문지로 수집한 자료의 내용분석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5개 영역(교과.생활.특별활동 지도, 행정업무, 대인관계) 외에 자기관리, 자기계발, 스트레스관리, 컴퓨터(미디어)활용, 상담능력, 정서관리, 소명의식 등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초등 교사들의 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여교사보다 남교사가 높았으며, 평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높았고, 경력이 높을수록 효능감이 높았으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초등 교사효능감의 형성 및 부족 요인으로 ‘경험’이 가장 높은 공통 요인이었고, 효능감 증진 방안으로는 ‘자기연수 확대’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양적 자료를 보완한 후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llecting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First of all, we asked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of self recognition in five kinds of specific functional are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the efficacy level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The formational factor, the lack of efficacy, and the promotional plan of the teacher-efficacy were also investigated. Next,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data via the open questionnaire to extract item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measure. We collected the data from 350 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teachers-only Internet cafe to validate research issues. We also performed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3 teachers of the respondents to supplement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efficacy in five kinds of specific functional areas and teaching exper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t is also showed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can predict the teacher efficacy weakly, but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efficacy perception level of male teacher and normal teacher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 and head teacher,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The ‘experience’ was the most common factor in formation and lack of the efficacy and it was verified that a self-training expans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the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management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velopment, stress management, computer (media) utilization, counseling, emotions, and consciousness vocation with the conventional 5 functional areas were newly derived. Finally, we verified the relevance between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iscus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llecting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First of all, we asked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of self recognition in five kinds of specific functional areas to unde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llecting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First of all, we asked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of self recognition in five kinds of specific functional are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the efficacy level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The formational factor, the lack of efficacy, and the promotional plan of the teacher-efficacy were also investigated. Next,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data via the open questionnaire to extract item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measure. We collected the data from 350 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teachers-only Internet cafe to validate research issues. We also performed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3 teachers of the respondents to supplement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efficacy in five kinds of specific functional areas and teaching exper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t is also showed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can predict the teacher efficacy weakly, but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efficacy perception level of male teacher and normal teacher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 and head teacher,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The ‘experience’ was the most common factor in formation and lack of the efficacy and it was verified that a self-training expans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the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management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velopment, stress management, computer (media) utilization, counseling, emotions, and consciousness vocation with the conventional 5 functional areas were newly derived. Finally, we verified the relevance between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iscus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정민, "한국어 교사의 교사 효능감 연구" 이중언어학회 45 (45): 109-132, 2011

      2 김아영, "학업동기 : 이론, 연구와 적용" 학지사 2010

      3 김효남,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1 (41): 97-118, 2010

      4 박은실,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8 (38): 29-52, 2007

      5 신종호,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문화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47-56, 2007

      6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7 이현주, "중등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교육연구소 12 (12): 95-124, 2011

      8 임지윤, "중등 교사의 정서조절이 교사 직무스트레스, 소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05-126, 2014

      9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돌베개 2009

      10 이영석, "유아교사효능감 개념 및 관련 변인 고찰" 8 (8): 181-203, 2001

      1 안정민, "한국어 교사의 교사 효능감 연구" 이중언어학회 45 (45): 109-132, 2011

      2 김아영, "학업동기 : 이론, 연구와 적용" 학지사 2010

      3 김효남,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1 (41): 97-118, 2010

      4 박은실,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8 (38): 29-52, 2007

      5 신종호,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문화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47-56, 2007

      6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7 이현주, "중등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교육연구소 12 (12): 95-124, 2011

      8 임지윤, "중등 교사의 정서조절이 교사 직무스트레스, 소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05-126, 2014

      9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돌베개 2009

      10 이영석, "유아교사효능감 개념 및 관련 변인 고찰" 8 (8): 181-203, 2001

      11 박영신,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교사에 대한 단기 종단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491-520, 2009

      12 김영천, "네 학교 이야기" 문음사 1997

      13 주동범, "교사효능감의 개념, 측정, 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489-498, 2009

      14 김남희,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생활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5 박관성, "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6 김미진,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7 김아영,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7-58, 2004

      18 임성택, "교사효능감" 강현출판사 2011

      19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20 임성택, "교사의 학생체벌관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설명 효과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39 (39): 51-77, 2008

      21 김정휘,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연구" 배영사 1994

      22 조현주, "교사의 정서지능과 자기 효능감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51-270, 2007

      23 이혜숙, "교사에 대한 학생의 신뢰와 불신의 요인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4 양명희, "교사관심사를 통해 살펴본교사의 자기결정성 및 내재적 동기"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765-784, 2006

      25 양명희,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목표구조에 따른 교사동기 관련 심리적 특성과 교수전략 행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331-348, 2007

      26 홍창남, "교사 효능감의 제고가능성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61-186, 2006

      27 이현정, "교사 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98

      28 주동범, "교사 효능감 관련 변인의 분석: 직무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0 (40): 12-270, 2002

      29 김정원, "교사 생애단계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30 이수진, "개인 특성에 따른 정보·컴퓨터 교사효능감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113-132, 2010

      31 Smyth, J., "Unmasking teacher’ subjectivities in local school management" 17 (17): 463-482, 2002

      32 Emmer, E., "Teacher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and discipline" 51 : 755-765, 1991

      33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 783-805, 2001

      34 Ashton, P. T.,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35): 28-32, 1984

      35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36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37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37): 122-147, 1982

      38 Woolfolk, A. E.,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82 (82): 81-91, 1998

      39 Bandura, A., "Perceived self 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40 Wright, J., "Influence of affect on cognitive social learning person variables" 43 : 901-914, 1982

      41 Berman, P.,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Ⅶ.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The Rand Corporation 1977

      42 Wynne, B., "Competencies: A practical guide to understanding and applying competencies" Technical Communications (Publishing) Limited 1996

      43 Armor, D., "Analysis of the school preferred reading programs in selected Los Angeles minority schools" RAND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